-
-
MBTI 유형별 스트레스 해소법
윤서영 지음 / 커리어북스 / 2023년 7월
평점 :

mbti 유형별 스트레스해소법이라니 굉장히 흥미가 돋는다.
본인의 mbti를 통해 스트레스 해소법을 알아볼 수도 있고, 다른사람의 mbti를 비교할 수도 있어
재미있기도 하다.

작가님의 소개는 대략 이러하다.
음...역시 감정학의 대가이신듯 하다.

목차가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나와있다.
본인의 mbti를 빨리 겟 잇! 해보자 ㅎㅎㅎ

요즘 조금은 한 숨 식었다고 할까나.
한 때 mbti가 너무 유명하지 않았나.
진짜 과몰입 그자체였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가 말 그대로 mbti로 사람 그자체를 판단했었다고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그래봤자 고작 16개 성향을 가지고 어떻게 사람의 성격을 다 판단이 가능할지는
잘 모르겠다.
그래도 어느정도는...음..그러니까 한 85% 이상은 비슷하다고나할까.
예를들어 나같아도, ISTJ가 나왔다가, ESTJ가 나왔다가 한다.
I와 E만 왔다갔다 한달까... 솔직히 좀 불변인것 같긴한데, 왜 이 둘만 왔다갔다 하는지는 잘...

일단 최근엔 ESTJ가 나왔으므로... 나를 대변하는 위주로 담아봤다.
와우. 프로 정리러라니.
우리가 아는 그 정리(?)는 아니겠지? 정리정돈(?)
상황파악 정리를 잘한다 그런건가.

스트레스를 어떻게 다루냐에 대해서도 나온다. 물론 이것보다 더 많은 페이지도 있지만
자세히 다루진 않았다.
궁금하신 분은 책을 보시면 된다~ :)

이것은 '나에게 쓰는 편지' 라고, mbti에 빗대어서 본인의 성향을 잘 파악하는 것이다.
관심있는 분은 한 번 써봐도 좋을 듯 하다.

가끔가다 돌아오는 ISTJ 도 담아봤다. ESTJ와 별반 다를바는 없어 보인다.
단지 더 꼼꼼한 듯한 느낌?

mbti는 2010년도에 학교에서 검사한다고 처음알았었는데, 그때도 ISTJ가 나왔었다.
난 13년전에나 알았던 것을 왜 이제서야 유행하게 되는지가 이해가 안됐지만...
(뭐 그러려니 하고;;;-아직도 13년전의 검사지가 집에 보존되어 있다는 것은 안 비밀)
이 책은 열등기능과 부기능을 통해 나의 무의식과 성장방향을 알려줘서 나를 더 알아보는 시간을 가질수 있게 되어 좋다.
재미로 읽어도, 심리학적으로 읽어도 좋은 책인 듯 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