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자 - 악함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EBS 오늘 읽는 클래식
배기호 지음,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기획 / EBS BOOKS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양철학]-순자




<순자>는 중문학에서도 다루는 학설이지만, <공자><맹자>에 비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진 않다. 그렇기에 '순자'의 학설을 좋아하는 난 아쉬움이 가득했었다.

이번 서평을 통해 순자를 다룰 수 있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


순자는 왜 공자나 맹자에 비해 별로 다루어지지 않았을까. 그에 대한 해답은, <순자>에서도 찾을 수 있다. 당연히 그 후대인들에게 있어서 순자의 학설은, 어떻게 보면 그리 중요하지 않은, 이상한 형태를 갖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그렇기에 어떻게 보면 많은 설움을 지니고 있는 <순자>. 오죽했으면 유가의 계승자이자 이단아로 불렸겠는가.








<순자>안에서는, 오로지 '순자'에 관한 사상만 나오지는 않는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공자나 맹자 기타등등에 관해서도 다루고 있다. 초등학교때 처음으로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을 접했었다. 솔직히 어린 마음에 예전에는 맹자의 성선설이 더 끌렸었다. 하지만 끌린 것이었을 뿐, 누가 더 맞다고 판가름 할 수는 없다. 그저 '인간은 태어날때부터 착하다''인간은 태어날때부터 악하다'라는 정의가 이상하게 여겨졌었다. 아무리 옛 선인들, 즉 똑똑하신분들이 하신 말씀이라지만, 왜저리 극단적일까 라는 생각도 했었다. 인간이 태어나자마자 무얼 안다고 그저 그냥 자체가 아닐까라는 내 개인적인 견해다.





첫 장부터 '혼란'이라는 말을 써서 개인적으로 '혼란'스러웠다. , 그렇지. 혼란이라는건 '나라'와 같은 세상에 관해 쓰기도 하고, '정신'자체에 쓰기도 한다. '순자'를 시작함에 있어서 혼란을 쓰다니... 신박하게 다가왔다.








순자도 공자의 영향을 많이 받은 철학 사상가이기 때문에, 그만큼 개인적으로 철학의 어떠한 '분야'를 성립하였다. 그렇기에 내가봤을 때는, 마땅히 존경받아야 될 인물임에 틀림없다.










이 부분에서는, 나 역시 '순자'와 같은 생각이다. "하지 않아도 이루어지고 구하지 않아도 얻어지는 것이 하늘이 하는 일이다" '盡人事待天命'과 같은 글귀다. 보통 '하늘은 공평하다'라는 말이 있다. 그말을 쉽게 풀이해보면, 그냥 가만히 있어도 어쨌든지 하늘의 뜻대로, 내가 비록 힘든 시기가 와도 나중에 잘 될 수도 있다 라고 여기면 된다.

말 그대로 하늘의 뜻을 어찌 알 수 있을까.









순자의 성악설은, 사람의 '욕구'하고도 관련이 깊다. 사람의 욕구는 끝이 없다. 그렇기에 만족이 없는 법이다. 나는 여기서 우리가 자주 쓰는 말 중에 '보는 눈은 매한가지'라는 말이 떠올랐다. 그말인 즉슨, 사람의 생각, 혹은 보는 눈은 다 똑같다. 그러니 욕구가 비슷할 것이고, 하지만 수요는 많은데 공급은 적다면, 여기에서 우리는 경쟁을 하게 된다. 이렇듯 경쟁 심리를 부추겨 악한 마음이 솟구쳐 서로가 서로를 욕하고 싸우기 된다. 순자는 이것을 말하고 있는 듯하다.



여태껏 그냥 지나쳤던 인간의 욕구의 심리에 대해 자연스레 파고들었다.









꼭 시간을 내서, 여유를 가지고가 아니라 평소에 자연스럽게 <순자:악함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를 읽으며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옛 선인의 정직하며 우직한 태도를 배울 수 있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