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의 교사는 온라인에서 어떻게 가르치는가 -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고 학습력을 높이는 수업 매뉴얼
더그 레모브.TLAC 팀 지음, 김은경 옮김 / 해냄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온라인교육_최고의교사는온라인에서어떻게가르치는가




해냄출판사의 신간. 

아마도 요즘에는 온라인 시대이다보니, 교육까지 온라인에서 활성화가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계속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는 나로서는, 이 책이 엄청나게 필요한 책일 수밖에.



어떠한 노하우가 있는지 궁금하여 읽어보았다.







작가님과 팀의 소개를 담고 있다.












목차는 이렇게 구성되어 있는데, 온라인교육에서 절실한, 그리고 본인이 원하는 목차를 훑어 본 뒤, 바로 페이지를 펴면 그만이다.








개인적으로 요새 논문을 쓴다면 이런 온라인 교육과 오프라인 교육/ 실시간 수업과 비실시간 수업을 나뉘어서 쓰면 좋지 않을까이다.

장단점 및 그에 상응하는 통계자료 등등.

학생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하나의 논문집을 완성하는 것도 꽤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는 비실시간 수업 보다는 실시간 수업을 좋아하는 편인데,

이건 온라인이든 오프라인이든 상관없이 무조건 실시간이면 좋겠다.


단점에서 보는 '일정 조율' 문제는,

강의자가 조절해서 정하면 좋겠다고 본다.


수업은 강의자가 이끄는 것이니까.


저번에 '실습'을 '온라인 수업' 그것도 '실시간 수업'으로 한 적이 있는데,

실습을 어떻게 온라인으로 하지 라고 생각은 들었지만...

다 할 수 있긴 하더라.


하지만 온라인을 실시간으로 하려니... 처음 겪는 상황이어서

너무 피곤하긴 했었다.

어쩔 수 없이 감시당하고 있는 느낌이랄까. 


그래서 두가지를 놓고 봤을 때, 이런저러한 점의 차이가 있는 듯 하다.






난 온라인으로 수업을 받아봤고, 또 내가 수업을 진행하기도 했다.

둘 다 힘들다.


수업을 받을 때에는 실습을 할 때여서 녹화를 한다.

그러면 녹화하는 중이라는 것을 온몸으로 실감하고 있기 때문에

긴장이 되며, 신경이 많이 쓰여 물 한모금 마시는 것도 신중하게 된다.


그래서 오히려 수업 외에 행동을 할 수 없게 되어 온 몸이 고단하다.


내가 수업을 진행할 때에는, 학습자들의 태도에 대해 신경이 많이 쓰인다.

교실에 있지 않고,  편히 집에서 하는 것이라 여겨

학습자들의 태도가 불량할 때가 많다.

드러눕는 다던지, 시끄러운 소리를 낸다던지, 과자를 먹는다던지 등등.

그러면 강의자 입장에서는 그것 또한 상당한 스트레스다,


난 이 수업을 하기 위해 열심히 준비했는데, 그걸 몰라주는 학습자가 야속하기만 하다.

한 마디로 매너가 나쁜 학습자를 정말 많이 만나길 마련이기 때문에.

그때부터 무료 강의하는 것을 관두게 되었다.


처음부터 빠르고 적극적으로 시작하는 것은 옳은 것이나,

이게 마음처럼 쉽지는 않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내 진도와 맞춰서 따라오진 않는다.

학생은 느리고, 교사만 빠르다면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기가 힘들다.

수업 중간중간 질문도 해야하는데, 나는 학습자를 최대한 배려하기 위해 수업 중간중간 몇 페이지까지 다 말해준다.


온라인 수업은 정말 힘들다.






어떻게 하면 참여도가 높아질까.

이게 가장 중요하다.


내 기준으로 봤을 땐,

상이 있다던지 아니면 경쟁심을 심어주는 것이 좋을 듯 하다.


누구와 비교를 당하면 풀이 죽던지, 아니면 더 잘하기 위해 노력을 하던지.

양날의 검 일 수도 있지만, 어쨌든 참여도는 높아진다.









공평한건 물론이다.


현재 1:1로 학습자에게 강의를 하는 데,

그 학습자는 다른 사람들과 온라인 학습을 한 뒤 바로 내 강의를 듣는다.

그런데 여러 명이서 다 같이 하다보니 질문도 못하겠고, 아예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한다.


그리고 이어서 내 강의를 들으면 바로 궁금한 것을 많이 묻곤 한다.


온라인이든 오프라인이든 간에 수업 중에 공평하긴 하지만,

교사는 공평한 것을 염두해 두지 않고 그냥 진도만 나가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렇기 때문에 이것은 두고두고 고민해봐야 할 문제다.








학생은 기다린다.

교사는 준비한다.


이건 당연한 것이다.


그래서 온라인이건 오프라인이건 수업 준비하는 것은 당연지사고, 또한 힘들기도 하다.

하지만 열심히 하고, 또 학습자들에게 양질의 강의를 제공할 수 있기에 기쁘고 보람된다.






이 책은 온라인 교육을 처음 접하는 학습자 및 교수자한테 정말 도움이 많이 되는 책이다.

학습자는 교수자의 입장에서, 강의를 어떻게, 어떤식으로 제공이 되는지 알 수 있게 되고

교수자는 이 답답한 온라인 강의를 풀어나가며 학습자 입장에서 어떻게 하면 지루하지 않을 수 있는지 많이 고민해 보는 요소를 심어 놓았기 때문에 이 책을 추천하는 바이다.


답답하고 힘든 세상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이지만,

그래도 다 해답은 있길 마련이고, 

학교에서 강의를 할 수도, 교육을 받을 수도 없는 입장이지만

그래도 우리는 강의를 해야 한다.


그러기 때문에 강의하기 전, 이 책을 열독하는 것을 추천한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