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를 즐겁게 - 우리말의 어원과 유래를 찾아서
박호순 지음 / 비엠케이(BMK)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만나게 되어 정말 기쁘다.

실생활에 정말 도움이 많이 되는 책이다.

 

 

 

 

작가님은, 교육계에서 대단하신 분 같다.

세종대왕님이 반겨주고 계신다.

 

 

 

 

 

목차는 이러하다.

흥미진진한 내용들이 많이 자리잡고 있어

나의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예로부터 '귀신 씨나락 까먹는 소리' 를 들어본 적이 있지 않은가.

근데 씨나락이 아니라 '씻나락' 이라는 건 처음인데...

왜냐하면 속담이니, 인터넷이 발달하고 나서도 굳이 검색까진 하지 않아서 이다.

 

이 구절이 반가운 것은,

'두시언해' 가 표기되어 이다.

 

한국어사를 배우던 시절, 음... 나를 힘들게 했던 녀석중에 한놈 인데...

 

어쨌든.

 

저 '씻나락' 이 뭔지 한국사람은 아무도 몰랐는데

이제서야 알게 되다니.... 저절로 통감하게 된다.

 

 

 

 

 

우리가 호칭에대해 골똘히 생각할 때는 언제일까.

 

아마도 없을 것이다.

 

나는 '짐'과 '과인' 이란 뜻은 정확히 무슨 뜻인지 알고는 있었으나,

유래를 모르고 있었다.

 

하지만, 이 책은 평소 궁금했던 상식의 선에서

유래와 기원을 잘 알려주고 있다.

 

게다가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원래의 '본질'을 알 수가 있다.

 

국어국문학 혹은 중어중문학에 관심이 많은 사람은 이 책을 읽으면 정말

말 그대로 '국어를 즐겁게' 공부할 수가 있을 것이다.

 

 

 

 

 

 

중국에서 유래한 말인데, 이상하게도 우리나라에서 더 철저히 지켜지고 있다.

현재 중국은 전혀 그러하지 않지만 말이다.

아무래도 조선시대의 유학의 영향을 받아 그러하게 된 듯하다.

 

우리나라가 왜 동방예의지국을 주장하고 있는지 정확한 근원을 몰랐지만

이 책에서는 뚜렷하게 나타나 있다.

 

정말 여태껏 궁금했던 점을 쏘옥 담아놔 해석해주는 아주 소중한 책인 듯 하다.

 

 

 

 

어려운 말도 있고 쉬운 말도 있고 생소하며 낯선 말도 있다.

 

하지만 그 또한 모두 우리말이다.

 

우리말을 쓰는 사람으로서,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우리말을 더욱 아끼고,

항상 공부하는 마음으로 임하면 아름다운 우리말을 바르고 곧게 쓸 수 있을 것이다.

 

# 청소년문화 # 국어를즐겁게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