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양장) 동양고전 슬기바다 1
공자 지음, 오세진 옮김 / 홍익 / 2020년 12월
평점 :
절판




대박.

양장본인데다가 책이 엄청 예쁘고 기품이 있어 보인다.

너무나도 끌리는 <논어>.


논어는 당연히... 예전에도 완독을 한적이 있는데.

20살 되기전에 읽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논어...뭐 이름만 들어봤지 정확히 뭔지도 잘 모르던 그때도 

이상하게 재밌더라.


그냥 내 스타일인가 보다.


그러부터 몇년 후 중어중문학과로 진학한 뒤... 여태껏 그길로...; ..


그냥 운명인가 보다.









난 현대 사람이라서 그런지.

이렇게 오래된 고전이긴 하지만.

현대에 출판된 책이라 그런가. 


굉장히 오래전 사람 즉, '위인' 들이 '지은이' 로 나온다면 뭔가 어색함이 느껴진다.

하지만 당연하지.


당연히 공자님이 쓰셨으니까.


옮기신 분도 역시나 철학과를 나오신 분.

공자사상은 절대로 빼먹을 수 없지. + 유교





책이 좋은 이유가, <논어>면 논어에 대해서만 나올법한데.

공자가 살았던 시대, 공자의 일생, 논어의 뜻까지 앞에서 다루고 있기 때문에 

정말 심도있게 볼 수 있고, 또 그 시대를 들여다 볼 수 있다.

한마디로, 바탕이 깔려져 있기 때문에 배경지식을 더욱 풍성하게 섭렵할 수 있다.
















본인을 너무 겸손하게 받아들이셨다.







'사'가 낫냐, '상'이 낫냐는 자공의 질문에

공자는 '그게그거다' 라고 일깨워 주셨다.


한마디로 적당히 해라. 적당한게 가장 좋다.


하지만 말씀을 어렵게 하셨다...ㅎㅎ








자신에게 없는 지식= 모르는 것


-> 모르는 것을 배우다. -> 알게 되다


자신이 잘하는 것을 거듭 익히기= 잊지 않는 것


-> 이미 잘하는데 계속 잘하게끔 노력한다. -> 계속 잘한다.


고로, -> 다 잘하게 되니, 배움을 본디 좋아하는 사람이로구나.



자하도 참 뜻을 일깨워주었다.





정말 맞는 얘기다.

본인이 떳떳하지 못하기 때문에.

뭐라도 번드레레하게 포장하여

현혹되게 만든다.


이것을 알고 반성해야 한다.








본인의 악습을 버리고, 생각을 정리하여

새로운 자아로 거듭나기로 마음먹었을 때, 무조건 봐야하는 책.


<논어>는...두고두고 읽는것이 바로 <논어>이다.

특히 동양고전을 좋아하는 분들이라면...강력 추천한다.





YES24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