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사랑한 대표 한시 312수 - 한시가 인생으로 들어오다
이은영 편역 / 왼쪽주머니 / 2020년 7월
평점 :
# 한시 # 우리가사랑한대표한시312수

동양 고전을 사랑한다.
일반적인 시는 별로 관심도 없는데.
아이러니 하게도.
이렇게 옛 것은 좋아한다.
이것이 바로 '옛 것'의 매력이란 말인가.
'한시'라고 하여 당연히 '중국' 시 만 있을 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우리나라 위인분 들도 계시고.
일본분도 보인다.
이 책을 만나게 되어 정말 기쁘다.

중문학을 전공한 사람으로서는.
정말 최소한.
최소한의 예의지만.
'한시' 정도는 기본적으로 알아야
아~ 이 사람이 중문학을 전공하긴 했구나. 라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대학땐, 그 수많은 시인 중...
初唐四傑, 竹林七賢, 唐宋八大家 등등을 떠나서...
그냥. 王維 를 가장 좋아했었다.
그땐 그냥 넘 힘들었다고나 할까. 그렇기에 더욱 王維 를 좋아할 수밖에 없었다.
일단 유유자적한 멋스러움이 시에 묻어난다.
속세를 떠나, 자연을 벗삼아 살아가는 모습이... 정말 좋아보였다.
시구가 거진 다 비슷해 보인다.
모든게 거의 다 '칩거하는 은자와의 조우' 라는 구절이 많다.
세속되지 않는 삶을 살아가는 길을 택했다.
모든 것이 다 종남산에서부터 시작된다.
방향의 척도가 그러하다.
마음이 고요히 가라앉고, 온갖 번뇌가 사라진다.
王維의 시는 거의 모두 이러하다.
마음의 평온을 찾고 싶다면 추천한다.

누구나 다 아는, 그 유명한 詩史, 杜甫 다.
두보는 우리가 다 알 정도로 유명한 시인인데 반해,
두보의 인생은 순탄치는 않았다.
일단 내가 아는 두보의 시들은 거의 다 긴장되어 있고, 본인의 좋지 않은 상황을
한탄하는 듯한 태도가 엿보인다. 그런게 대다수다.
그러므로 좀 더 나아질 수 있는 상황을 희망하기도 하고,
항상 이백을 존경하며 그리워 하기도 하지만.
역사적으로 이백과 두보의 나이는 대략 100살 정도 차이가 나고.
(한 마디로 어떻게 보면 1세기가 차이가 나기 때문에 만날 수 있다거나 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역사적으로도 두 사람이 만났다는 내용은 기록으로 남아 있지 않다.
두보는 계속 이백을 좆아, 시를 짓고 읊었으며, 꿈에서도 이백을 보았다는 시도 전해진다.
하지만, 이백은 정작 두보에 대해 논한게 한 마디도 없으니.
두 인물이 동시대 사람이라고 하는 것은 단정할 수 없다.
<절구>는 내가 좋아하는 시 중에 한 수 라 한번 담아 봤다.
중문학과에서도 자주 다루는 내용이며, '대구'를 아주 중요시 여기는 시 중에 하나다.
보다시피 이 시에서도, 날이 좋은데도 불구하고 두보의 가슴은 답답해있다.
두보의 형편이나 상황은 항상 좋지 않다는 듯이 나온다.
하지만 시 하나만큼은 정말 아름다우니, 잘 감상해 보자.

李白, 너무나 유명하여 남의 나라 전래 동요의 가사에 까지 나오는 이백.
어릴때부터 이태백. 이백은 아주 많이 듣고 사람인지도 알고 자랐지만
정확히 뭐하는 사람인지 몰랐던터라, 머리가 좀 크고 나서는
아 옛날 시인 이었구나. 근데 이 사람이 한국인이야, 중국인이야? 라고 생각했다가
찾아볼 생각은 한번도 안해본 채
대학생이 되어서야 이 사람의 진가를 완전히 알았던 터.
중국 최고의 시인이라하면, 詩仙, 李白 이라고 하지.
개인적으로 명작으로 꼽는 시 한수는, <月下独酌> 이지만.
안타깝게도 이 책안에는 없으므로, <山中問答> 을 걸작으로 꼽으리라.
이 시를 읽자마자 왜...
李芳遠:太宗-何如歌 가 떠오르는 건지....?
느낌 아니까.
이백은 한탄을 한다거나 세상에 대한 경계심, 상황이 좋지 못함에 대한 설움을 표현해는 시는 거의 없다고 본다.
솔직히 말해서 약간 '한량' 스럽다.
그렇긴한데, 그것이 지닌 온정한 멋이 있달까.
이러쿵 저러쿵 해도 그냥 거나하게 취하며
좋고 싫음이 없이 그냥 인생 마이웨이다 라는 듯의 욜로적인 내용이 다소 있는
시가 많다.
이백=술 , 술을 친구로 본다. 술이 없는 인생은 인생이 아닌지라 흥미가 없는 듯한 이백.
하지만 거의 시는 아무렇게나 써도 명작이니.
모두 다 그를 롤모델로 삼지 않나.
이러니 저러니 해도 멋있는 이백이다.

韋應物은 산수전원시파(山水田園詩派) 시인으로후세 사람들은 왕유, 맹호연, 유종원등과 함께 ‘왕맹위류(王孟韋柳)’라 불렀다.
아까전에도 언급했다시피, 자연친화적인 요소를 주제로한 시를 참 좋아한다.
왕유나, 위응물이 그러하다. 앞서 언급한, 위응물, 왕유, 맹호연, 유종원 등의 시인들은, 다 내 개인취향(..) 이신 분들이다.
위응물은 관리로서 백성들을 위하기도 했다고 한다.
이 시에서도 묻어나오듯이, 백성들을 아끼고 사랑한다.
그걸 시로 표현했다니, 이 얼마나 아름다운 마음인가.
이 분은 시도 잘 지으시고, 성품도 고와서. 정말 마음에 드는 인물이다.

白居易. 이 분은 개인적으로 절대로 건드리면 안 될 분이지만.
칭찬을 하는 것이니, 이러니 저러니 해도 괜챃지 않을까.
이 분의 대표작은 <장한가(長恨歌)> 이지만, 아 쉽게도 실려있지 않으므로
한번도 본 적이 없는 시를 넣어봤다. 이로써 또 하나의 시를 탐색할 수 있는 계기가 되니.
이 또한 좋지 않은가.
대학생때 이 분에 대해 배울때도 솔직히 별다른 느낌 없이.
아, 이분은 천재구나. 그냥 '대단하신 분' 이라고만 생각이 들었다.
'완벽한 사람' 어디 흠잡을 게 아예 없다.
세월이 빠름을 저렇게 묘사하다니...
邯鄲之夢 을 이런식으로 표현을 할 줄이야... 이 또한 아름답다.

현재 중국에 관한 일을 하고, 중문학도 여서 그런지...
익숙하신 분들이 많아... 그런 분들만 다루었다.
사실은 조선조때 분들도 다루고 싶었지만.
그래도 이왕이면 좀 익숙한 분들을 다루는게 좋을 것 같아
白話체로 편하게 다루었다.
시 자체가 엄중하여, 설명은 이왕이면 통통 튀는 매력이 있듯 하는게
나을듯 하여서다.
동양고전을 사랑하고, 시를 사랑하고, 고전문학을 사랑하고,
중국문학에 대해 깊이 배웠던 사람 입장에서는.
이 책은 잔잔한 매력이 있으며, 동양고전에서 우러나오는
그 아름다운 美와, 편안함이 한데 어우러져서
사람을 매료시킨다.
게다가 우리나라 위인분들의 글 솜씨도 엿볼 수 있어
완벽한 책이다.
추천한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