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로 읽는 사마천의 사기 1 - 중국사의 시작
이희재 지음 / 휴머니스트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두 사마천의 <사기>를 알지 않은가?

난 정말 사기를 좋아하는데.

집에서도 가끔가다 생각나면 읽는 역사서 중 하나이다.

이 책은 그 어려운 사기를 만화로 쉽고 재미있게 풀어내었다.

역사서는 간혹 이해 못할 단어나 어려운 말로 풀이한 구절들이 꽤 있는데.

이 책은 초등학생도 이해가 쉬울정도로 간결하며 재미있게 나와있다.

추천한다.

 

 

 

 

 

작가님의 행보.

작가님의 만화는 힘이 실려 있다.

보기에도 편하고, 정말 유쾌하게 잘 풀어내셨다.

 

 

 

 

 

 

내가 읽은 책은 1권인데, 2권까지 구성되어있다.

딱봐도 눈에 띄게 목차가 구성되어 있는데

누구나 한번쯤 들었던 이야기가 여기에 실려 있다.

 

예를 들어 제 3장 은나라 주왕, 희대의 폭군은

주지육림酒池肉林 이라는 사자성의 유래이지 않은가.

예전에 대1때 처음으로 주지육림이라는 성어를 배웠는데.

이 성어는 잊을래야 잊을 수도 없고, 또 유래도 너무 재미있는데다가

한자까지 엄청 쉬운 한자이기 때문에 여태까지도 뇌리에 콕 박혀있다.

 

 

 

또한 제 6장 백이와 숙제伯夷叔齊, 지조와 의리를 지키다.

백이 숙제 이야기는 어디서 한번 쯤 들어봤을 법하다.

단지 이름만 들어봤지, 구체적은 내용은 잘 모르는 사람도 많다

 

난 그저 그들의 이야기가 안타까울 뿐이다.

그들은 왕좌의 자리를 탐내지 않고, 둘째에게 물려주었는데,

자기의 나라를 등지고 거리를 떠돌며 몸을 의탁하고 다녔다.

하지만 형제가 우애가 깊어 정말 보기 좋다.

 

내가 떠올리는 인물은 고려 마지막 충신 정몽주인데.

정몽주와 그들은 전혀 다를바가 없어 보인다.

그렇지 않은가. 고려가 망할 쯔음, 이방원은 정몽주를 알아 본뒤, 그를 스카웃(?)하기 위해

온 갖 달콤한 말로 그를 꾀었는데, 정몽주는 들은체도 안하고 오직 고려만을 섬기며 선죽교에서 이방원에게 죽임을 당하지 않았나.

 

백이와 숙제도 마찬가지다. 그들에게 있어서 죽을때까지 은나라를 섬기다 굶어 죽었으니.

어떻게 보면 우매하기 그지 없다지만, 그들에게 있어서 순정은 은나라를 섬기는 일만이 전부였던 것.

 

 

 

제 8장 관중과 포숙, 관포지교의 주인공

관중과 포숙도 어디서 들어본 이야기.

솔직히 이런 친구 사이면 ...정말 아무것도 부러울게 없다는 생각.

다 아는 내용이지만 볼때마다 마음이 훈훈해지고 눈시울이 붉어지는.

 

사마천 사기에 보면, 고대 중국의 이야기는 잔인하며, 원초적인 내용이 무수한데.

관중과 포숙은 정말로 제 환공의 이야기만 없다면 완벽한 이야기다.

 

근데 솔직히 관중과 포숙의 이야기만 중요하긴 한데.

가장 팩트는 제 환공이 아닐까.

이 이야기는 어떤 역사서이든지간에 처음엔 관중과 포숙의 우정을 다루는 걸로 시작하다가

끝맺음은 항상 제환공이 관중의 말을 듣지 않았기 때문에 비참한 최후를 맞게 되고,

제나라가 망하게 되었다는 좋지 않은 결말로 인도한다.

 

제 환공은 따로 논하고, 그냥 관중과 포숙의 아주 좋은 우정으로만 이루어졌다면 얼마나 좋을까.

제 환공 이야기 까지 간다면 너무나 이야기가 산으로 샌 것 같은 내용...?

 

난 중문과를 나오고... 사마천 사기의 원문도 다뤘으며, 발표도 하고, 아직도 사기를 품에 끼고 사는 사람인데.

동양사상이나, 동양 이야기를 공부하면 ...항상 관중과 포숙아는 제환공 이야기로 끝난다.

아쉽도다.

 

솔직히 누구나 다 아는 내용이라 여기서 내용을 더 말한다면 화사첨족할게 뻔한지라.

그만 하겠다.

 

 

 

 

 

 

작가님이 묘사하여 그리신 만화는 기개가 있고 활기차며 힘이 융성하다.

묘사를 정말 잘하셨기에, 어린 아이들도 부담없이 읽을 수 있다.

개인적으로 사기를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너무나 만족한 작품이다.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