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작은 도시의 유쾌한 촌극
스티븐 리콕 지음, 허윤정 옮김 / 레인보우퍼블릭북스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미소설 #어느작은도시의유쾌한촌극

 

 

책 표지가 정말 예쁘다. 화사한 노란색이 봄이 온것을 상징하듯,

나를 안정 시켜 준다.

솔직히 책 표지만 보고 무슨 내용인지 너무 궁금했었다.

그렇다면 이 책은 성공한 셈이다. ?

표지와, 도서명만으로도 호기심을 불러일으켰으니까.

촌극. 촌극이 뭐지?

그 뜻은 책 뒤에 친절히 설명 되어 있다.

 

작가는 스티븐 리콕.

솔직히 누구신지 몰랐기에 열심히 찾아 봤다.

안 찾아봤다면 나와 동시대 인물인 줄 알았다.

알고 봤더니 19세기 분이라니.

약간의 충격.

 

1869년 잉글랜드 햄프셔 지방의 스완모어에서 출생한 후 캐나다 온타리오주로 이민. 토론토 대학교에서 언어학과 문학을 공부하였고, 미국의 <Truth><Life>, 토론토에서 발행되는 <Grip> 같은 잡지에 글이 실리면서 유머 작가로 명성을 얻음.

 

...

 

사후에 최고의 유머 문학 작품을 쓴 캐나다 작가에게 주는 스티븐 리콕 유머상(Stephen Leacock Medal for Humor)’이 생겨났다.

 

라고 책 앞 장에 작가소개가 나와 있다.

. 어쨌든 대단하신 분(?). 본인명의 상이 생기다니...

 

 

 

목차는 책 표지에 비해선 소소한 편.

12장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다.

당연히 전부 다 연결되는 구조이긴 한데, 난 그냥 보고 싶은 것부터 골라 봤다.

물론 처음에는 1장부터 봤지만, 아무래도 뒷내용이 너무 궁금하기에. ㅎㅎ

 

 

처음에는 무조건 3인칭 화법이라서. 좀 답답한 면이 없지 않아 있었다.

도대체 그래서 주인공은 누구야? 라고 내내 생각했다.

아직도 의문스럽기는 한데, (보기엔 그냥 다 주인공 같아 보였던? 아니면 특정 주인공이 없고 마을 사람 모두가 같이 출연한다던가...하는 느낌.)

그래도 몸집이 큰 거구의 사나이 스미스호텔 사장을 기준으로 둥글게 둥글게~ 에피소드가 돌아가는 느낌이랄까.

정말 다양하며 소소한 주제들로 가득가득 이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굳이 앞부터 뒤까지 쭈~욱 본게 아니라,

이 에피소드 읽다 저 에피소드 읽다 이런식으로 읽었다.

어떻게 신기한게, 내용이 안이어질듯 하면서도 이어진다. ㅎㅎ

 

마리포사는 캐나다의 가상 도시이다. 진짜 책만 보면 마리포사라는 도시가 있는줄... 오죽했음 검색해볼까 했다.

책에서 가장 좋았던 점은, 이 마리포사 풍경묘사를 정말 절묘하고, 또 상상할 수 있게 해놨다.

 

이 도시로 말할 것 같으면 호수에서부터 이어지는 큰 길이 하나 있는데 이 거리는 보통 중심가라고 부른다. 거리의 너비에 대해서는 말이 필요 없다. 마리포사는 비좁고 답답한 뉴옥의 월스트리트나 런던의 피카딜리처럼 근시안적으로 길을 설계한 도시가 아니다. 중심가인 미시나바가는 무척 넓어서 그 위로 제퍼슨 소프 이발소를 굴리면 길 맞은편까지 절반도 채 닿지 못한다. 그 길을 쭉 따라서는 엄청나게 두꺼운 삼나무 전신주들이 다양한 각도로 서 있다. 전신주에는 대서양횡단 해저 케이블보다 훨씬 많은 전선들이 걸려 있다.

 

. 정말 멋진 풍경이다. 그리고 싶을 정도로.

제법 다양한 얘기들이 있어서 심심할 틈이 없다.

스미스 호텔 얘기, 투기 얘기, 사랑 얘기, 은행 얘기, 출마 얘기 등등...

 

사람들은 제각기 특색이 있고, 다들 한 운명 공동체 같은 느낌을 선사한다.

이 마을 사람들과의 상부상조 관계(?) 가 떠오르기에,

난 오히려 우리 마을과 마리포사 마을을 비교해가며 감상했다.

 

머리를 비우고, 기분 좋은 느낌이 들고 싶다면.

이 책. 정말 추천한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