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이풀 Joyful - 바깥 세계로부터 충만해지는 내면의 즐거움
잉그리드 페텔 리 지음, 서영조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깥 세계로부터 충만해지는 내면의 즐거움

 

 

 

... 신기한 책이다. 책 표지만 봐도 행복해지는 느낌이 든다. 마성의 책이랄까.

 

 

이 책은 색을 이루고 있음이 틀림없다.

 

 

난 그중에서도 3개의 챕터를 다룰 것이다.

 

 

 

CHAPTER 1 에너지

색과 빛은 언제나 마음을 흔든다

 

- 노래 가사 중에 '잿빛'이라는 단어가 있었다. 그전까지는 '우울' 이나 '공허'에 대해 크게 생각하지 않았었는데, 그 단어를 읊조리고, 그 가사를 계속 떠올리고, 그 노래를 계속 하다보니 어느덧 우울해진 내가 되어 있었다. 하지만 밝은 색을 가진 노래를 들었을땐, 나도 모르게 기분이 좋아졌다. 이렇다보니, 색은 사람 마음을 좌지우지 하는, 심리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있는 듯 하다. 선명한 색과 화려한 패턴은 디자인감으로도 제격이다. 만약에 세상에 잿빛만 있다고 생각하자. 혹은 암흑만 있다고 생각하자. 그 얼마나 쓸쓸한가? 아마 누구 하나 죽어도 모를만큼 처량하기 그지 없을 것이다. 난 이 페이지를 보면서 떠올린게 있는데.

예전에 '이경규의 몰래카메라' (?) 라는 프로그램이 있었다. 그 동네에 따로 쓰레기 버리는 곳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어느 전봇대 밑에 계속 버리는 것이었다. 한 사람이 버리니 그 다음 사람이, 또 그 다음 사람이. 어느덧 그 전봇대는 졸지에 쓰레기장이 되어버렸다. 그래서 제작진은, 그 전봇대 밑에 어느날 꽃 화단을 심어놓았다. 그랬더니 분명히 본인이 예전에 쓰레기 버리던 그 장소가 맡는데도 불구하고, 그 밑에 화사한 꽃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아무도 안버리더라. 마지막 즈음에 어느 나이 좀 있으신 아저씨가 처음에는 밑에 꽃이 없던게 생기니 이상해서 둘러보고 주위를 살펴보고 머뭇거린 뒤에 역시나 전봇대 밑에 쓰레기를 버리는 것이었다. 100% 까지는 아니더라도, 화사한 색감을 가진 꽃 하나만으로도 사람들의 인식이 바뀌는 케이스가 되었다.

 

이처럼 사람의 마음을 변화 시키는게 색의 힘이다.

 

 

 

 

 

CHAPTER 5 놀이

우리 안엔 늘 놀고 싶은 아이가 있다

 

chapter은 제법 신선했었다. 세상에~ '놀이'로 글을 쓸 줄이야. 유아책에서나, 초등학교에서나 볼 듯한 주제인데. '자기계발서' 에 등장하다니!!

놀이는 즐거움을 얻는 가장 훌륭한 수단 중 하나.

굉장한 사전적 의미임이 틀림없다. 솔직히 사람은 살면서 노는 것보단 일하는데 더 치중하지만, 놀면서 '놀이'라는 걸 해야 스트레스도 풀고, 또 그만큼의 열정적인 에너지를 얻는 것이다. 사람마다 즐거움에 대한 척도가 다른데, 놀이는 그 중에서도 가장 쉽게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굉장히 신선했다.

 

 

 

 

 

CHAPTER 8 마법

세상은 생각보다 더 크고 신비롭다

 

와우. 나랑 똑같은 마음이시네. 나는 그 유명한 '공주 시리즈' 중에선 <잠자는 숲 속의 공주>를 가장 좋아한다. 솔직히 너무 어릴 때 본거라, 완전까진 아니어도 대략적인 내용만 기억했는데. 그런 어릴 때의 기억을 다시 일깨워주는 계기가 되었다. 너무나 좋아했기에, 꼭 넣고 싶었다.

보라색은 내가 좋아하는 색이기도 하다. 솔직히 동양학적 의미로라면 보라색은 좋지 않은 색일 수도 있으나, 또 중국에서는 황제의 색이라고 할 때도 있고 하니, 좋은지 나쁜지 잘 모르겠다. 하지만 나는 이 색을 좋아하니 좋다고 할 수 있겠다.

갑자기 보라색은 왜 튀어나왔고 하니, 이번 chapter 8의 주제 색깔이 보라색이기 때문이다. 혼탁하기도 하고, 섞인것도 맞으나 그렇기 때문에 더 오묘하여 마법의 색이기도 한 듯 하다.

작가는 말한다.

 

우리는 마법의 감각을 잃어버리지 않는다. 외국의 거리에서 친구를 마주치는 것 같은 우연과 정류장에 도착하자마자 버스가 오는 것 같은 행운은 마법에 걸린 느낌을 준다.

 

 

?

 

'마법에 걸린 느낌' 이랬지 '마법' 이라고 결론 짓지는 않았다.

이 역시 엄청난 긍정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나 역시도 마찬가지다.

저번달 초였다. 우연히 가입한 독서모임이 있었는데, 가입만 해놨었지 정작 나간적은 없었다. 4월에 처음으로 나가게 되었는데, 글쎄. 거기에서 16년정도만에 초등학교 동창을 만났다. 이사온지 얼마 안됐을 때 그 친구가 계속 떠오르긴 했었으나 연락처를 알 길이 없어 그저 묵묵히 지냈는데 ...너무 오랜만에 만난 것이다. 정말 신기했다.

. 작가님께서 이런걸 바로 마법에 걸린 느낌이라고 하셨구나!

 

ㅎㅎ 책은 솔직히 많은 chapter로 구성되어 있고, 그에 따른 색깔이 뚜렷하다. 평범하지만 비험한 행복을 만든다는데. 어떻게 보면 맞는 것 같기도 하다.

그러니까 보잘것없고, 그저 평범한 이 하루가 행복이 이미 왔던 것이다!!!

 

내게 있어서 '행복'은 너무 큰 의미이니, 욕심 부르지 말고.

'긍정적인 마음' 으로 하루하루 잘 살아가야 겠다.

 

 

  

 

 

이 책은 '한국경제신문 출판사에서 선물해주신 도서로써, 읽는 내내 공감이 많이 되었고, 행복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