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숙의 나라
안휘 지음 / 상상마당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소 역사에 대해 관심이 많은 나로서도, 이런 내용은 처음이다. 한 마디로 알게 되어 기쁘다. 몰랐으면 평생 모르고 살았을지 않을까.

좋든 나쁘든 간에 어쨌든 이것 또한 역사의 한 획을 그은 스토리다. 그렇기 때문에 받아들이고, 우리의 하나의 역사로써 인식해야 할 것이다.

 

 

 

애숙이란 이름도 처음이요, 의순공주님도 처음이다. 표지만 보면 도대체 애숙이란 이름을 가진 조선의 의순공주님께서 무슨 일을 당하셨기에, '야만의 역사에 짓밟힌 한 소녀의 처절한 일대기' 라고 표현을 하였을까. 라는 의문을 품게 된다.

 

 

 

별로 길지 않은 쪽수. 그에 반해 너무나 빽빽한 스토리.

 

책은 정말 재밌다. 어떻게 시간이 흘러갔나 싶을 정도로. 내용도 빠르게 진행되는 편. 하지만 그와 동시에 내 인상은 구겨지고 만다.

슬프기 때문에.

 

 

 

임금도 무심하시지. 왕실 종친이란 이유만으로 공주도 아닌 한 가정의 영애를 청나라 섭정왕에게 시집을 보내다니. 그게 바로 애숙이다.

 

 

애숙은 원래 공주는 아니고, 그저 왕실 종친의 자손이다. 헌데 아버지가 임금에 대한 충성스러움이 얼마나 강한지, 기생이나 사노를 데려다가 공주로 둔갑시켜 청나라에 보내도 될 것을, 본인의 친 딸을 보내다니. 처음부터 아 이건 틀렸다, 틀렸어. 끝났네 라고 생각하며 줄거리를 이어봤다.

더욱이 안타까웠던 것은, 그런 애숙을 사모하는 김담이라는 남정네도 있었건만, 그냥 빨리 그 자와 혼인하였으면 굳이 청나라로 팔려가는(?) 일 따윈 없었을텐데. 그저 안타깝기만하다. 그냥 아버지가 원망스러울 뿐.

 

 

 

애숙은 청나라로 시집가자마자 일곱 여달만에 남편인 섭정왕이 죽고, 재가를 하였지만 또 그 남편이 죽고, 또 재가를 하게 되었다. 얼마나 모진 세월일까. 먼 타국에서 온갖 고초를 다 겪어가며 그 삶을 여인 혼자 지탱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였을터.

게다가 아끼던 시녀 마저 팔려버리고... 조선에서 같이 온 몸종 부슬이만이 그녀 곁을 지켰다.

 

 

 

그러고 있던 중 아버지 이개윤이 청황제에게 정문을 올려, 칙서를 내리게 되자 애숙은 다시 조선에 왔건만, 이야기는 어떻게 보면 여기서부터 였을지도.

 

 

 

 

그 당시, 한마디로 말해 조선의 국력이 약하여 청나라에게 매일 주물림을 당하고 있어, 할 수 없이 처녀들을 청나라 황제에게 시집보냄으로 인해 조선이 핍박을 받는 일이 줄곤 하였는데. 그렇게 끌려가는 여자와 노비가 한둘이 아니었던 것. 애숙 또한 신분만 다를 뿐, 그들과 전혀 다를 바가 없는 삶을 살게 되는 것인데.

이렇다보니 조선에서는 청나라만 생각하면 속이 부들부들 떨리고, 이를 갈게 되는 나라가 된 셈이었다.

 

 

 

나중에, 아주 오랜 세월이 흐른 후에 그 여인네들이 조선땅을 밟았는데, 그들의 가족을 찾아가도 나몰라라하고 더 심하기로서니, 그들을 가두고, 온갖 학대를 하며 쫒겨나게 한다.

 

 

이것이 바로 환향녀(還鄕女) 의 기원이다. 이 소설은 청나라로 끌려갔다가 천신만고 끝에 돌아온, 수만 여인들에게 환향녀(還鄕女) 딱지를 붙여 비정하게 내치고 죽음으로 몰아간 '사대부'라는 이름의 냉혈한들에게 내미는 아주 오래된 고발장이다.

 

 

 

정말 대단하다. 조선. 못사는 나라, 못난 나라, 쇠약한 나라 하나 살리자고 안갈려고 해도 어쩔 수 없이 가게 되었는데, 기를 쓰고 돌아와 보니 환영해주는 이 하나 없고, 오히려 타박과 학대를 하여 내쫓겨나 그저 '할미꽃마을' 이라는 곳에서 영면하게 되는 목숨 없는 목숨을 살다가 처참하게 죽게되는, 혹은 자살하게 되는. 그런 것이라니.

 

 

 

정말 보면서 답답했고, 그때의 당신들에게 미안했다. 여자도 똑같이, '()'을 가진 사람일 뿐인데, 그저 여자라는 이유로, 여성이라는 이유로 괄시와 핍박을 받는 모진 시대.

 

 

 

더 깊이 들어가면 현대와 다를바가 없다. 비운의 희생양 의순공주(義順公主) 이야기.

 

 

 

현대에서는 이런 이야기를 다루는 소재가 아예 없다. 이것은 반드시 누구나 알아야 하고, 알려야 한다. 그렇게 끌려가서 온갖 고초를 다 겪은 사람이, 겨우 돌아왔는데 가족이란 인간들이 손가락질하며 핍박하다니. 사람이 아닐 짓이다.

보다 보니 슬픔 반, 화남 반 이 된 셈이다. 누구나 다 그럴 것이다.

 

 

 

어쩐지 처음부터 '환향녀' 라고 했을 때부터 알아봤다. 그 말에 이런 기원이 얽혀 있을 줄이야.

의순 공주님은 역사 속 인물이신데, 모진 핍박을 못 견디고 시름시름 앓다 돌아가셨다. 병이 들어 돌아가신게 아니라 수망초를 먹고 창자가 썩어 돌아가신 것이다.

왜 먹었겠는가. 자결하기 위해 먹었겠지. 돌아와 보니 살 수가 없는 곳이라서, 못 살게 하니까. 지나가다 돌던지고 그 때문에 시력을 잃게 돼고. 그런 야만인들 속에서 말이다.

 

 

 

책을 보는 내내 '소크라테스'가 떠올랐다. 악법도 법이라니. ...정말 그런것인가. 인정해야 하나. 인정하고 싶지 않은 명언이다. 여성들은 왜 이리 힘이 없는 것인가. 사상이 바뀌지 않은 이상 현재를 절대로 바꿀 수 없을 것이다. 참담하고 아픈 역사. 이 역사도 역사의 하나 이미 받아 들여야 한다. 현재로서도 개정해야할 법이 상당히 많다. 아픈 현실이다.

 

 

 

 

 

이 책은 상상마당에서 선물해 주신 도서로써, '삼전도의 굴욕'만 알았던 저에게, 그와 얽힌 이런 뼈 아픈 역사들을 알게 해주었습니다. 이렇게 아프고 힘든 역사도, 한국의 하나의 역사라는 것을 받아들여야 겠습니다. 안휘 작가님의 소설은 정말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항상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