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의 하이스트리트 - 명동, 홍대, 강남, 성수, 한남, 도산 대한민국 6대 상권의 비밀
김성순 지음 / 디자인하우스 / 2025년 7월
평점 :

쇼핑 보다 흥미로운 거리
⠀
📌
우리는 왜 결국 홍대로 향했을까?
⠀
오랜만에 나선 주말 쇼핑.
예쁜 옷과 액세서리를 고르며
중1 딸과 함께 작은 추억을 만들고 싶었어요.
⠀
한때 여성 패션의 중심지였던
이화여대 앞 거리를 목적지로 삼았지만,,,
⠀
”엄마, 여긴 좀 조용한데...홍대 갈까?“
⠀
제가 기억하던 이대 앞 거리 풍경이
예전과 얼마나 달라졌는지 확 느껴졌어요.
⠀
딸이 원한 건 감각적인 브랜드와 활기를 품은 거리.
결국 우리 가족은 홍대로 발걸음을 옮겼죠.🛍️
⠀
⠀
⠀
⠀
⠀
⠀
⠀
⠀
⠀
⠀
⠀
⠀
⠀
📌
홍대는 딸이 기대한
그 감각과 활기가 그대로 살아 있었어요.
⠀
개성 넘치는 패션 매장들이 즐비하고,
팝업스토어와 감성 편집숍, 독립 브랜드들이
저마다의 색을 뽐내고 거리를 채우고 있었죠.
⠀
<메가 하이스트리트>로 분류되는 홍대.
⠀
거리 공연, 프리마켓, 디저트 가게들까지
Z세대와 외국인 관광객들이 섞여 걷는 홍대 풍경은
서울의 트렌드를 실시간으로 마주하는 느낌이었어요.
⠀
이대와 홍대를 오가며
도시 트렌드의 흐름과 상권의 온도를 피부로 체감했고
⠀
‘사람이 몰리는 거리는, 왜 몰리는 걸까?’
⠀
소비자 시선을 넘어
내가 걷는 거리의 전략과 의미가 궁금해졌어요.
⠀
⠀
⠀
⠀
⠀
⠀
⠀
⠀
⠀
⠀
⠀
⠀
⠀
📌
『서울의 하이스트리트』, 김성순 저📚
⠀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C&W) 코리아 부대표
📍리테일 부동산 기획 · 투자 전문가
⠀
📍대표 프로젝트
-티파니, 펜디, 자라, H&M 등 플래그십 전략 총괄
-애플, 블루보틀, 세포라 등 글로벌 브랜드 국내 진출 기획
-디타워, IFC, 파라다이스시티 등 복합 상업시설 기획 및 컨설팅
⠀
서울을 만든 거리들이 어떻게 브랜드와 자본을 연결하며
진화하고 있는지를 날카로운 인사이트로 풀어낸 책입니다.✨
⠀
⠀
⠀
⠀
⠀
⠀
⠀
⠀
⠀
⠀
⠀
⠀
📌
저자는 서울의 주요 상권을
메가 하이스트리트(Mega High Street)와
네오 하이스트리트(Neo High Street)로 분류하는데요.
⠀
그 기준은 단순한 위치가 아니라,
브랜드 전략, 소비자 성향, 문화적 분위기,
공간의 상징성과 감각적 이미지까지 복합적이에요.
⠀
📍메가 하이스트리트 : 명동, 홍대, 강남
전통성과 대중성, 넓은 면적과 높은 상업 밀도를 지닌 상권
⠀
📍네오 하이스트리트 : 성수, 한남, 도산
트렌디하고 실험적인 브랜드들이 몰려 있는 신흥 감성 상권
⠀
이 구분은 브랜드의 입점 전략과 소비자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실질적 ‘상권 지도’가 되어줍니다.
⠀
⠀
⠀
⠀
⠀
⠀
⠀
⠀
⠀
⠀
⠀
⠀
⠀
📌
현재의 흐름 속 가장 흥미로운 사례는
성수의 디올 팝업스토어와 명동 애플스토어인데요.
⠀
📍 디올이 왜 성수에 팝업을 열었을까?
오래된 공장 옆 주차장 부지에 등장한 럭셔리 브랜드.
⠀
이 선택은 상권의 기준이 “부유한 지역”에서
“문화가 흐르는 곳”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
성수는 브랜드에게 실험의 무대이자,
Z세대에게 감성을 증명할 수 있는 거리예요.
⠀
📍 애플은 왜 성수가 아닌 명동을 택했을까?
많은 사람들이 Z세대가 몰리는 성수를 예상했지만,
애플은 오히려 전통적 상권인 명동을 선택했습니다.
⠀
명동은 여전히 ’랜드마크의 거리‘이고,
애플은 그곳에서 브랜드를 확실히 각인시키는 전략을 택했어요.
⠀
⠀
⠀
⠀
⠀
⠀
⠀
⠀
⠀
⠀
⠀
⠀
⠀
📌
명동과 성수, 홍대와 한남처럼
누군가에게는 ’브랜드의 무대‘인 공간들이
나에게는 그저 일상 속 풍경으로만 보였다는 사실.
⠀
『서울의 하이스트리트』를 읽고 나면,
평범한 동네 골목에도 사람을 모으고 자본을 끌어들이는
전략이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됩니다.
⠀
나의 동네도 하이스트리트가 될 가능성이 있을까?
『서울의 하이스트리트』와 함께 그 가능성을 들여다보세요.🔎
⠀
📍리테일 · 부동산 · 도시기획 종사자,
📍브랜드 · 마케팅 · 기획 담당자 뿐만 아니라
📍도시를 흥미롭게 바라보고 싶은 모든 독자에게 추천해요.
⠀
⠀
⠀
⠀
⠀
⠀
⠀
⠀
⠀
⠀
⠀
⠀
⠀
📌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책을 읽고 담은 리뷰입니다.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