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렙이 알렙에게 환상책방 9
최영희 지음, PJ.KIM 그림 / 해와나무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 속에 있는 독특한 속성은 어는 곳에 있어도 빛을 발하게 된다. 그래서 언제나 인간은 마지막까지 희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 기업들 또한 주먹구구로 빠르게 일을 처리하여 기술적 빚더미에 앉는 경우를 주위에서 많이 보고 듣는다. 반면 아마존의 방식은 애초에 시간을 들여 제대로 일을 하는 것이고, 결과적으로 채무를 최소화하여 시간을 자신의 편으로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96
아마존에서는 ‘기술적 채무‘ 라는 말을 자주 쓴다. 이는 당장의 쉬운 방식으로 대충 일을 처리하면 나중에 시간이 가면서 이자가 붙어 훨씬 큰 대가를 치르게 된다는 은유적 표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실제로 이마존에서 많이 듣는 말 중 하나는 "바보 같은 질문 하나 해도 될까요?" 라는 말이다.

회의에 참가한 누구나 잘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나 궁금한 점이 있으면 가감 없이 묻는다. 크게 중요하지 않거나 이미 설명한 내용에 대한 질문을 하더라도 질문자를 민망하게 만드는 일은 절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86
미국에는 한국과 정반대로 ‘바보 같은 질문은 없다‘ 라는 오랜 속담이 있다. 미국 아이들은 어릴 적부터 이 말을 수도 없이 듣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