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국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1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유숙자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을 읽고.

"고도를 기다리며" "데미안"을 넘어 "좁은문"을 지나 "토지"를 밟고나오자 "설국"이었다.
(그 유명한 책의 첫 문장을, 한 달간 내가 읽어온 문학 작품의 순서대로 패러디해봤다. 의미없음.)

얼추 파악했다고 생각한 스토리, 난 그것이 책의 마지막까지 지속될 줄은 미처 몰랐다. 내심 어떤 사건을 기대했고 그러는 와중에 긴장까지 했다. 어떤 복선이 그려지지 않나 싶어 작가가 묘사하는 자연의 풍경이라든지 여자들의 행동과 말에서 단서를 찾으려고 했다. 그러나 아무런 사건도, 아무런 갈등도 없이, 그렇게 밋밋하게 책은 마침표를 찍어버렸다. 추운 날 겨울, 휑하니 스쳐지나 가버린 기차처럼 마흔이 되어서야 처음 맛본 "설국"은 그렇게 내게 왔다가 가버렸다.

한참 동안 책 앞 표지를 바라보며 "설국"이 남긴 잔상에 잠겨 있는데, 갑자기 책 제목이 왜 "고마코"나 "요코", 아니면 "게이샤"가 아니라 "설국"인지 알 것 같았다. 내 몸과 마음을 가득 채우고 있는 것은 책의 스토리가 아니었고 눈의 나라, 설국이었던 것이다. 그렇다고 descriptive하기만 한 책도 아니다. 잔잔한 여운이 남기 때문이다. "이상한 사람", "싫어요", "가세요", "어머"를 연발하는 고마코의 모습이 그려지고, 그와 묘하게 반대 이미지를 가지는 듯한 요코의 모습도 하얀 눈 고장에서의 찬 기운과 나도 한번 들어가고픈 여관 온천의 더운 증기와 함께 떠오른다. 책의 끝부분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듯한 요코의 모습에서조차 작가는 그다지 큰 의미를 두지 않는 것 같았다. 오히려 죽음도 그냥 자연 속에서 일어나는 단편들일 뿐이라는 걸 말해주는 것 같았다. 시마무라가 다시 도쿄로 돌아가서 정상적인 가정 생활을 할 수 있을지도 궁금해 하지 않는다. 고마코와의 관계가 어떻게 이어질 지에 대해서도 별 말이 없다. 그저 일상이다. 그렇다. "설국"은 그렇게 일본의 눈 고장에서의 일상을 허무하리만큼 담담하게 그려내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내게 남은 여운은 글이 아니라 그림에 가까운가 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