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섯째 아이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7
도리스 레싱 지음, 정덕애 옮김 / 민음사 / 1999년 3월
평점 :
영원한 건 없다
도리스 레싱 저, ‘다섯째 아이‘를 읽고
당혹스러움을 넘어 공포를 느꼈다. 남편 데이비드와 함께 아이 여덟을 낳고 큰집에서 행복하게 살고 싶은 소박한(?) 꿈을 가졌던 헤리엇이 다섯째 아이 벤을 가졌을 때부터 다소 목가적이고 낭만적일 것 같았던 이 소설의 장르는 호러가 된다. 다섯째 아이는 해리엇과 데이비드가 꿈꿨던 삶에 단절을 가져왔고, 급기야 그들의 오랜 꿈이 과연 실현 가능했는지, 그저 몽상에 불과했는지를 재고하게 만든다. 그뿐만이 아니다. 두 사람 사이에 거리가 생기고, 부모님과의 관계도 서먹해지며, 첫째부터 넷째 아이들과의 관계도 깨지거나 소원해지는 계기가 된다. 그렇다면 다섯째 아이 벤의 존재는 모두의 불행과 저주의 씨앗이었던 걸까?
저자 도리스 레싱이 벤을 태어나기 전부터 폭력적인 존재로 그리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해리엇은 이미 아이를 네 번 낳은 경험이 있는 터라 벤이 남다르다는 사실을 일찍부터 알았다. 임신 기간이 고통스러웠고, 급기야 아이는 평균적인 아이들에 비해 약 두 배 정도 큰 상태로 태어났으며, 태어난 이후에도 성장이 두 배 정도 빨랐다. 벤에게서는 아이의 순수하고 귀여운 눈빛과 얼굴 표정을 발견할 수 없었다. 대신 벤은 마치 조그만 악마가 들어가 있는 존재처럼 비열하고 이기적인 어른의 차가운 시선으로 주위 모든 사람을 바라보았으며, 그를 본 사람이면 누구나 그를 피하게 만들었다. 또한 벤은 아주 어린 나이에 친척의 애완동물을 목 졸라 죽이는 행동도 서슴없이 하게 된다. 과연 벤은 아이의 몸에 들어온 악마였을까?
소설은 그리 말하지 않는다. 저자는 벤이 악마가 아니라 네안데르탈인처럼 좀 더 원시적인 종족인 것처럼 묘사한다. 벤의 폭력성과 이기성을 악마와 같은 영적인 이유나 환경의 영향이라는 학습적인 이유도 아닌, 선천성이라는 생물학적인 이유로 설명하려는 듯하다. 정확한 원인은 모르지만 어쨌거나 데이비드와 해리엇 사이에서 벤과 같은 야만인 같은 아이가 태어난 것처럼 말한다. 어쩌다가 이런 아이가 태어나게 된 걸까?
한 가지 가능성으로 저자는 해리엇 부부의 부주의함과 비현실적이고 어쩌면 이기적이었던 꿈을 원인으로 드는 것 같다. 넷째 아이까지 낳고 나서 그들 역시 다섯째를 가지기 전에 시간을 가지자고 생각했었으나 피임도 하지 않고 새로운 생명의 탄생을 하룻밤의 정욕으로 결정해 버린 이 부부를 부주의하다고 말하는 건 결코 과한 판단은 아닐 것이다. 게다가 이미 그들의 부모와 친척들로부터 그들은 경제적인 부분만이 아니라 실질적인 육아에 도움을 받고 있었다. 계속해서 아이를 임신하고 낳는 일에 열중하는 부부가 이미 낳은 아이들을 잘 키우는 일에는 소홀할 수밖에 없지 않았겠는가. 아이는 그냥 낳기만 하면 되는 게 아니라 건강하게 성장하도록 부모로서 의무를 다해야 하지 않겠는가. 해리엇 부부는 이 당연하고도 신성한 진리를 함부로 여겼던 게 아닌가 싶다. 단순히 그들의 무모할 정도로 부주의한 꿈을 성취시키기 위해서 말이다. 그들은 행복의 열매만을 바랐을 뿐 그것을 얻기 위한 과정이 어떠한지에 대해서는 생각이 짧았던 듯하다. 그러니 그 긴 과정 자체로부터 행복을 느낄 수가 있었겠는가. 불가능했을 것이다. 내 눈에 그들은 거짓 행복을 위해 참 행복을 잃어버린 자들과 같았다.
이런 점에서 다섯째 아이 벤의 탄생은 여덟 아이를 낳겠다는 해리엇 부부의 계획이 현실적이지 않다는 사실을 폭로하는 사건으로 해석할 수 있다. 벤 때문에 그들은 이미 그들 빼고 모두가 알고 있는 그들의 이기적인 부주의함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그들은 남은 가족을 지키기 위해 벤을 요양원에 보내는 결정을 하고 실행에 옮기기도 하는데, 모두가 반대했으나 모성애에 충만했던 해리엇은 홀로 요양원을 찾아가 벤을 다시 데리고 온다. 벤의 복귀는, 아니 벤을 복귀시킨 해리엇의 독단적인 행동은 데이비드와 네 아이들, 그리고 부모와 친척들과의 모든 관계를 포기하고 벤을 선택한 행동으로 해석되고, 그 이후 해리엇은 벤을 다른 평범한 아이들처럼 키우기 위해 갖은 애를 쓰게 된다. 과연 이러한 해리엇의 행동을 모성애라는 아름다운 단어를 사용해서 표현할 수 있을지, 혹시 자신의 죄책감 아닌 죄책감을 제거하기 위한 행동에 지나지 않은 건 아닌지 진지하게 생각해 볼만한 부분일 것이다.
작품은 해피엔딩으로 끝나지 않는다. 해리엇 가정은 벤의 탄생과 복귀 이후 와해되었고 회복할 수 없는 트라우마를 갖게 된다. 벤을 평범한 아이들처럼 키우려고 했던 해리엇의 시도도 실패로 귀결되는데, 벤 안에 각인된 야만과 폭력의 디엔에이는 모든 것을 희생시키고 벤을 선택했던 해리엇의 모든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들고 말았다. 벤은 갱들과 어울리며 집을 떠나 다시 돌아오지 않을 존재로 그려지며 작품은 마무리된다.
이 작품의 메시지를 나는 벤이 아닌 해리엇에서 찾는다. 저자 도리스 레싱은 전통적으로 소박한 아름다움으로 여겨지는 해리엇의 꿈과 모성애, 그리고 행복이라는 개념에 대해서 조롱이라도 하는 듯한 뉘앙스를 텍스트에 숨기지 않으면서 독자들에게 그것들의 의미와 본질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만든다. 이 작품을 읽고 어떤 윤리 도덕적인 결론을 내리는 건 부질없는 일이다. 벤과 같은 인간은 존재하지도 않을뿐더러 해리엇 같은 인물도 현실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니체의 눈을 빌려 자명한 개념, 통념들에 대해 다시 묻고 의심하며 내가 사는 이 시대와 문화라는 콘텍스트에서 해석해 보는 기회를 갖는 건 분명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영원한 건 없기 때문이다.
#민음사
#김영웅의책과일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