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한강 지음, 최진혁 사진 / 문학동네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코 더럽혀지지 않는, 절대로 더럽혀질 수 없는


한강 저, '흰'을 읽고


‘흰’이란 소설은 하나의 이야기를 하는 것 같지만 다분히 독립적으로 보이는 많은 짧은 글들의 모음이다. 자신의 이야기를 털어놓는 에세이 같은 느낌을 준다. 중간중간에 사진도 여러 장 끼어 있어 마치 시집 같은 느낌도 있다. 그래서 그런지 읽고 나면 이미지가 남는다. 짧은 텍스트를 읽었는데 남는 건 그림이다. 이 작품은 한강 작가 특유의 문체가 묻어나는 텍스트로 그린 그림집인 셈이다. 


한강 작가의 여느 작품처럼 이 작품 역시 서사가 아닌 묘사 위주로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을 읽는 데엔 여백을 음미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텍스트 대비 물리적 여백이 많기도 하다. 나는 그것을 그만큼 천천히 읽으라는 뜻으로 받아들였고 그렇게 읽었다. 하지만 책을 다 읽고 나서도 작품은 모호하기만 했다. 공중에 붕 뜬 느낌을 어떻게든 처리하고 싶었다.


마침 한강 작가가 이 책을 쓰고 나서 남긴 인터뷰 기사를 찾아 읽을 수 있었다. 존재하지만 안개 같아 손에 잡히지 않던 것이 물방울이 되어 피부로 느껴진 순간이랄까. 그제야 선명해졌다. 소설 속에 나타난 이미지들의 윤곽이 의미를 가지고 실체를 드러냈다. 그것은 그녀의 전작 '소년이 온다'가 남긴 흔적인 것 같았다.


'소년이 온다'는 지금까지 읽은 소설 중 내게는 가장 무거운 작품이었다. 한국 역사의 커다란 비극이라고 할 수 있는 1980년 5월 18일 광주 (광주민주화운동)를 그 어느 논픽션보다도 선명하고 사실적으로 전달해 주었기 때문이다. 역사에 큰 관심이 없던 나는 그 책을 읽고 조금이나마 역사에 관심을 가질 수 있었다. 거짓 역사와 참 역사를 분별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도 진지하게 생각해 보게 되었다. 역사 선생님이 하지 못했던 일을 소설 한 편이 해낸 것이다. 이는 왜 그녀가 박근혜 정부에서 블랙리스트로 올랐는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인터뷰에서 알게 된 사실 몇 가지를 소개한다. 작품 이해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책에서는 지명을 직접 거론하지 않지만 언급되는 ‘어느 도시’는 한강 작가가 실제 4개월 정도 머문 폴란드 바르샤바다. 2014년 8월부터 12월까지였으니 ‘소년이 온다’를 탈고한 직후다. 한강 작가 역시 이 부분을 언급한다. ‘소년이 온다’를 쓸 때 가까이 와 있다고 느꼈던 혼에 대한 생각을 계속하고 있었고, 흰 것에 대해 쓰고 싶다는 생각을 늘 하던 차에 바르샤바에 머물게 되는 기회가 찾아왔노라고. 전쟁에 의해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던 도시가 복원된 모습을 보면서, 그 도시를 닮은 사람을 상상하게 됐고 그런 이미지가 확장되어서 책을 쓰게 되었노라고. 

 

그녀가 말하는 ‘흰 것’은 결코 더럽혀지지 않고 절대 더럽혀질 수 없는 그 무엇이다. 희다는 표현도 여러 색 중 하나를 묘사하는 것을 넘어선다 (물론 어떤 면에서 흰색은 색이라고 할 수 없지만). 인터뷰 글을 가만히 읽어보면 그녀는 ‘소년이 온다’ 이전에도 흰 것에 대한 애착이 있었던 것 같다. 단지 ‘소년이 온다’가 담고 있는 참혹하고 어두운 기운이 흰 것에 대한 갈망을 더 짙게 만들었을 뿐. 그러고 보면 ‘소년이 온다’ 차기작으로 ‘흰’이 쓰인 건 당연한 수순이었던 셈이다. 어두울수록 조막만 한 빛도 밝은 법이니까.


책의 서두에서 그녀는 흰 것의 목록을 나열한다. 거기엔 생명의 시작도 끝도 모두 담겨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강보와 배내옷부터 시작해서 백발과 수의로 끝나기 때문이다. 마치 삶과 죽음이 모두 흰 것 안에 들어 있기라도 한 것 같다. 작품 속에서 그녀가 직접 거론하는 죽음은 그녀가 태어나기 전에 같은 엄마의 자궁 속에 먼저 있다가 세상의 빛을 잠시 보고 숨을 거둔 언니의 죽음이다. 언니가 죽지 않았다면 그녀는 태어날 기회를 갖지 못했을 거라고 말한다. 나에겐 마치 그녀의 삶이 죽은 언니에게 빚지기라도 한 것처럼 읽혔다. 작품 속에서 그녀의 언니는 언니가 되기도, 아기가 되기도, 또 그녀가 되기도 한다. 어떤 모습으로도 자꾸만 살아나고 또 죽고 또 살아나고 죽는 존재인 듯했다. 그리고 언니는 그녀가 바르샤바를 보며 떠올린 사람이었다. 파괴되었으나 복원된 한 사람. 책을 읽으면서도 왜 그녀는 보지도 못했고 함께 하지도 못했던 언니의 존재를 이렇게나 의식하는 걸까,라는 질문이 내 안에선 끊이지 않았다. 혹시 그녀의 언니는 실재했던 한 사람의 의미를 넘어 파괴된 모든 넋을 상징하는 건 아니었을까. '소년이 온다'에서 학살당한 그 수많은 영혼들처럼 말이다. 그렇다면 그녀가 바르샤바에서 본 것은 그 혼들이 복원되는 모습일지도 모르겠다. 그것이 흰 것의 궁극적인 이미지였던 건지도 모를 일이다. 삶과 죽음뿐 아니라 부활의 의미까지 흰 것은 담고 있는 것은 아니었을까.


사실 이 작품을 '소년이 온다'를 읽기 전에 먼저 한 번 읽은 적이 있다. 아마 6년 전이었던 것 같다. 그땐 이해하지 못했던 것들이 이번엔 많이 이해가 되었다. '소년이 온다'를 읽은 후이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나에게도 파괴와 복원, 죽음과 삶이라는 단어들에 대한, 그리고 결코 더럽혀지지 않는 그 무엇, 흰 것에 대한 어떤 갈망 같은 것이 그동안 생겼기 때문이지 않을까 한다. 인간의 추악한 본성을 그동안 더 많이 보았고 체험했기 때문일까 (하기야 그동안 도스토옙스키 작품들을 많이 읽었으니). 물론 흰 것이 빛을 낸다면 그 빛의 세기는 한강 작가의 그것보다 더 세진 않겠지만 말이다. 다행히 '흰'은 '채식주의자'와 '소년이 온다'에서 느꼈던 폭력성이 희미한 잔재로만 남아 있는 것 같아 읽기가 수월한 편이었다. 그러나 그 희미한 잔재마저도 이 작품을 이해하는 데 있어선 중요한 도구가 되는 것 같다. 그러므로 아직 이 작품을 읽기 전이라면 적어도 '소년이 온다'는 먼저 읽고 시도해 보길 추천한다.


* 한강 읽기

1. 채식주의자: https://rtmodel.tistory.com/362

2. 소년이 온다: https://rtmodel.tistory.com/791

3. 작별하지 않는다: https://rtmodel.tistory.com/1360

4. 희랍어 시간: https://rtmodel.tistory.com/1409

5. 흰: https://rtmodel.tistory.com/1886


#문학동네 

#김영웅의책과일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