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통 이하의 것들
조르주 페렉 지음, 김호영 옮김 / 녹색광선 / 2023년 12월
평점 :
익숙한 것들을 기꺼이 껴안는 삶
조르주 페렉 저, ‘보통 이하의 것들’을 읽고
처음 읽는 조르주 페렉. 그에게 ‘일상의 글쓰기’라는 타이틀은 적절치 않다는 생각이다. 오히려 그 자체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이 책에 소개된, 다분히 실험적이고 집요하여 당황스럽기조차 한 그의 글들은 넌지시, 그러나 직접적으로 말하지 않고, 말을 건네는 것 같았다. 익숙한 것들, 대부분의 일상을 이루지만 익숙하다는 바로 그 이유로 어느새 일상에서 탈락되고 배제되어 버린 그 소중한 것들을 다시 애정 어린 시선으로 바라보라고 말이다. 그리고 나는 생각했다. 내게 주어진 인생의 후반전이 빛날 수 있는 길도 바로 여기에 있을 것 같다고. 그래서일까. 오늘 아침에 집을 나서며 내 눈에 들어오는 건물들, 장소들, 공간들이 다르게 보였다.
페렉의 글이 내가 예전에 썼던 문장들을 기억나게 해서 여기 소환해 본다. 프레드릭 비크너 (뷰크너)의 ‘주목할 만한 일상‘을 읽고 쓴 감상문의 앞부분이다. 일상에 눈을 돌린 작가들의 글은 한결같이 조용히 마음 깊은 곳을 터치하는 것 같다.
“프레드릭 비크너 (뷰크너)는 일상이 주목할 만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주목하라고 외친다. 멈추고, 바라보고, 귀 기울이라고 요청한다. 우리들의 삶이 있고 우리들의 이야기가 있는 곳, 우리들의 현재가 살아 숨쉬는 곳, ‘지금, 여기’의 무대, 즉 우리들의 일상을 알아채고 느끼고 누리라고 말한다. 버젓이 존재하지만 좀처럼 인식되지 않는 존재들의 향연. 뒤돌아보면 또 놓쳐버린 아쉬움으로 가득 찬 기억들. 아침에 해가 뜨고 저녁에 해가 지듯 매일 우리들을 찾아오지만, 마치 투명인간처럼 우리들을 그냥 스쳐 지나가버리는 그 소중한 시간들. 늘 높고 빛나는 특별함만을 찾는 이들에게는 언제나 무시나 희생을 당하지만, 성숙한 어른이 되어 한층 낮은 자세로 두 번째 인생을 시작하고 마치 자신의 인생을 재방문하듯 평범함 가운데 비범함을 발견한 소수의 무리들에게는 항상 만족과 행복의 근원이 되어주는 삶의 터전. 비록 누구에게나 주어졌지만, 아무나 볼 수 없고, 또 아무나 들을 수 없는 것들로 가득한 삶의 조각들. 이는 곧 신비, 그리고 그것의 다른 이름은 바로 우리들의 일상일 것이다.”
문득 어른으로 성숙해졌다는 지표가 무엇일까 궁금해졌다. 눈이 깊은 자의 시선은 어디를 향할까. 무대 위가 아닌 무대 아래, 낯선 영화 같은 찰나가 아닌 묵직하게 삶을 차지하고 있는, 빛바랜 일상이 아닐까. 그래야만 하지 않을까. 페렉의 낯선 글쓰기 덕분에 평범하고 익숙했던 내 삶을 낯설게, 하지만 더욱 애정 어린 눈으로 다시 바라보게 된다. 미지의 보물을 찾아내기 위해서가 아니다. 이미 내 손에 쥐어진 보석을 재발견하기 위해서다.
페렉이 말한 대로 최소한의 경험과 적극성을 갖고 작은 행운에 자신을 내맡기며 살아가고 싶다는 바람이 생겼다. 한가로이 산책을 하며,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나로부터 배제되었던 익숙한 것들의 이름을 다시 불러보며 보듬는 삶을 살아가고 싶다. 저 높고 빛나는 곳을 향한 눈을 낮추어 겸손하고 경건한 자의 마음으로 내 소소한 일상을 기꺼이 껴안는 삶을 살고 싶다. 페렉이 지적한 것처럼, 그것들을 결코 제대로 알 수는 없더라도 적어도 그것들과 친분을 시작할 수 있을 것 같기 때문이다. 그거면 충분하다.
*녹색광선 읽기
1. 감정의 혼란 (by 슈테판 츠바이크): https://rtmodel.tistory.com/1608
2. 결혼, 여름 (by 알베르 카뮈): https://rtmodel.tistory.com/1646
3. 미지의 걸작 (by 오노레 드 발자크): https://rtmodel.tistory.com/1650
4. 눈보라 (by 알렉산드르 푸시킨): https://rtmodel.tistory.com/1682
5. 보통 이하의 것들 (by 조르주 페렉): https://rtmodel.tistory.com/1735
#녹색광선
#김영웅의책과일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