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느 삶의 음악
안드레이 마킨 지음, 이창실 옮김 / 1984Books / 2022년 8월
평점 :
**#김영웅의책과일상 270번째 감상문입니다. Yay!**
삶: 그림과 음악, 그리고 글
안드레이 마킨 저, ‘어느 삶의 음악’을 읽고
천천히 음미하며 읽어야 하는 글이 있다. 휘몰아치는 서사 위주의 (흔히 ‘페이지 터너’라 불리는) 작품을 선호하지 않는 나는 언젠가부터 문장이 갖는 무게를 중시하게 되었다 (물론 이 무게는 주관적인 해석의 산물이다). 문장의 무게는 그 문장이 담아내는 사건이나 상황의 무게에 있지 않고, 그 사건이나 상황을 바라보고 해석하고 글로 써내는 작가의 시선과 내면에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동일한 것을 보더라도 누군가는 기계적인 묘사에 급급한 글을 써내는 반면, 다른 누군가는 그 ‘순간’을 담아내는 글을 쓴다. 여기서의 ‘순간’이란 공감각적인 통찰의 반영이며, 그래서 고유하고 정확한 글을 요구한다. 그것은 즉흥적이라기보다는 관찰과 성찰을 거친 진한 열매일 때가 많고, 작가 내면에 웅크리고 있던 무엇인가가 마침내 그 상황으로 인해 표출된 결과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어느 정도 무게를 가지는 문장을 구사하는 작가는 그 작가만의 색 (사상이나 관점 혹은 세계관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으리라)을 갖기 마련이며, 그렇기 때문에 그 작가의 글을 좋아한다는 말은 곧 그 작가의 시선과 내면에 암묵적으로 동조한다는 표현과 다르지 않다. 어떤 글을 읽고 그 작가의 다른 작품이 읽고 싶어지는 것도 바로 이런 연유에서일 것이다.
자극적인 사건이나 충격적인 상황 등으로 독자의 시선을 사로잡는 (나는 이런 글을 ‘가볍다’고 표현한다) 글과 거리가 아주 먼 작품을 만났다. 가만히 멈추게 하고 가끔 책을 덮고 허공을 응시하게 만드는 이런 작품을 나는 사랑한다. 처음 들어보는 작가의 짧은 작품. 다 읽고 나면 글이 아닌, 그림과 함께 음악이 남는 작품. 누군가에게는 무미건조하기만 할 텍스트가 독자로 하여금 ‘보게’ 하고, 또 ‘듣게’ 하는, 이 오묘한 작품. 기억이 가지는 특유의 흐릿함에 묻어가며 표현되는 주인공 알렉세이 베르그의 기묘한 삶은 읽는 이에게는 잔잔한 향수의 옷을 입고 있지만, 가히 절망적이고 치열했던 한 개인의 서사다.
숙청 대상으로 죽임을 당하지 않기 위해 도망치던 그날은 공교롭게도 그의 피아노 연주가 계획된 이틀 전이었다. 그는 부모님이 잡혀가는 걸 두 눈으로 목격했고 본능적으로 도망칠 수밖에 없었다. 더 이상 피아니스트로 살 수 없게 된 피아니스트 알렉세이 베르그. 그는 전쟁 중 죽은 어떤 군인의 정체성을 입고 그 사람이 되어 살아간다. 피아노 건반 위에서 행복했던 그는 전쟁의 참사로 인해 구부지고 터지고 꺾인 시체들 위를 걷게 된다. 그러한 기구한 나날들을 뒤로하고 어느날 피아노 앞에서 그는 그동안 숨어지내던 자신의 경계를 풀어버리는 사건을 만나게 된다. 그의 내면 깊숙한 곳에 숨어있던 피아니스트의 정체성이 자유함과 함께 분출한 순간이었다. 그로 인해 그는 수용소 생활을 해야 했고, 그 치열하고 허망했던 시절을 이 책의 화자에게 들려준다.
깊은 겨울날 우랄 지방의 어느 기차역에서 우연히 듣게 된 알렉세이 베르그의 삶. 그의 삶은 그림이었고 또 음악이었다. 그러나 소설의 첫 장면과 마지막 장면에서만 자신을 드러내는 화자와의 만남이 없었다면 그 그림도 음악도 눈보라에 휩싸인 채 조용히 사라져버렸을 것이다. 지난 밤의 꿈처럼 화자의 글을 매개하여 들려온 어느 음악가의 삶. 어느 삶의 음악. 책을 덮고 사뭇 숙연해진 나는 글에 감사하게 된다. 베르그의 그림 같은, 음악 같은 삶을 존재하게 해준 화자의 글에 감사를 표하게 된다. 나도 그런 소중한 글을 쓰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1984BOOKS
#김영웅의책과일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