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톨스토이, 도덕에 미치다 - 톨스토이와 안나 카레니나, 그리고 인생
석영중 지음 / 예담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희석된 감동, 농축된 이해: 톨스토이 삶의 맥락에서 재해석한 안나 카레니나와 그의 인생관과 도덕관.
석영중 저, ‘톨스토이, 도덕에 미치다’를 읽고.
작가의 필력이란 이런 걸 말하는구나, 하고 인정할 수밖에 없는 글. 이런 쉽지 않은 내용으로 이렇게 재미있게 글로 풀어낼 수 있다는 게 놀라웠다. 중간중간에 웃음을 참지 못하고 여러 번 웃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 또 어떤 부분에선 사뭇 진지해진 나머지 작가가 바라보는 톨스토이에 대한 연민이 생기기도 했으며, 대문호라는 간판의 어두운 그늘도 볼 수 있었다. 톨스토이라는 러시아 고전문학 작가와 그가 쓴 작품 여러 편을 다루면서 석영중은 톨스토이의 사상과 삶에 대해 고찰한다. 제목에서 ‘도덕에 미치다’라는 표현은 이 책을 절반 정도 읽게 될 즈음이면 아마 대부분의 독자들이 그 의미를, 그리고 거기에 아주 약간 냉소적인 뉘앙스가 담겨있다는 점까지도 알아챌 수 있을 것이다. ‘도덕에 미치다’라는 말은 너무나 도덕적이라서 본받고 배워야 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도가 지나치다고 표현할 수도 있고, 모순이나 반어법의 표현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단지 이 문장만 읽고는 무슨 말인가 싶기도 하겠지만, 석영중이 풀어나가는 글을 가만히 읽어나가게 된다면 아마 나처럼 그녀의 시선에 충분히 공감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톨스토이나 이 책이 주로 다루는 작품 ‘안나 카레니나’의 위대함을 쉽고 재미있게 풀어나간 석영중의 유쾌한 필력을 감상하는 용도만으로도 이 책은 충분히 읽을만한 가치가 있다.
이 책의 목차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만 봐도 흥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1부 ‘나쁜 삶’은 1장 ‘나쁜 사랑’, 2장 ‘나쁜 결혼과 아주 나쁜 결혼’, 3장 ‘좋은 결혼’으로, 2부 ‘좋은 삶’은 1장 ‘채소만 먹자’, 2장 ‘시골에서 살자’, 3장 ‘예술을 박멸하자’, 4장 ‘메멘토 모리’로 구성되어 있다. 톨스토이의 작품 ‘안나 카레니나’를 읽어본 독자라면 그렇지 않은 독자보다 훨씬 더 깊이 몰입하여 공감하면서 읽을 수 있을 것이며, 읽는 속도 또한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나 역시 몇 달 전에 읽었던 그 작품을 상기하면서 작가의 해석에 고개를 끄덕이기도 했고, 톨스토이 작품을 세 편밖에 읽지 못한 나로서는 도저히 파악할 수 없는 ‘톨스토이의 삶’이라는 전체 맥락으로부터 나온 해석 앞에선 가만히 멈춰 서서 귀를 기울이며 이전보다 더 깊고 풍성하게 작품 그 자체는 물론 톨스토이가 어떤 사람인지까지도 이해할 수 있었다.
‘안나 카레니나’는 방대한 작품이지만 다루는 내용이 어려운 건 아니다. 사랑 이야기라고도 할 수 있고, 조금 더 자세히 말하자면 결혼 이야기라고도 표현할 수 있다. 줄거리를 간단하게 한 문장으로 요약하자면, 유부녀 안나가 어느 날 우연히 만나게 된 브론스키라는 미혼 남자와 외도를 감행하게 되고 결국 자살로 생을 마감한다, 정도가 될지도 모른다. 조금 경박하게 여겨질 수도 있겠지만, 요컨대 줄거리 자체는 삼류 소설의 그것과 거의 다르지 않다는 말이다. 물론 작품은 줄거리만으로 평가할 수는 없다. 같은 줄거리라도 그것을 전개해나가는 작가의 시선과 사상이 등장인물 안에서 어떻게 발현되게 설치해놨는지, 어떠한 서사 가운데 어떤 묘사를 혼합하여 크고 작은 그림을 그려나가는지, 어떻게 시대와 문화와 역사를 담아내어 작품이 평범하면서도 비범하게 보이도록 만들어나가는지에 바로 작가의 내공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내공은 비슷한 내공을 가진 사람에게만 제대로 관찰되고 마침내 저자의 메시지가 가능한 온전하게 전달되는 해석에 이를 수 있을 것이다. 아무리 독자가 제2의 저자라는 말이 있다고 하지만, 원 저자의 메시지를 이해하려고 하지도 않은 채 독자 맘대로 해석해버리는 행위는 자유가 아닌 방종이라 해야 옳다. 이런 면에서 우린 석영중과 같은 러시아 문학 전문가의 말에도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석영중은 ‘안나 카레니나’를 사랑 이야기나 결혼 이야기가 아닌 ‘어떻게 살 것인가’에 관한 소설로 읽는다. 줄거리나 작품 그 자체보다는 저자라는 그 글의 근원을 먼저 조명한 뒤 다시 작품을 읽는 것이다. 나무 하나의 아름다움을 묘사하고 극찬하는 것도 안 하는 것보다 언제나 좋지만, 전체 숲의 맥락을 인지한 뒤 나무를 살펴볼 때의 상이함을 인정하지 않을 사람은 아마 한 명도 없을 것이다. 그렇다. 이 책은 석영중이 ‘안나 카레니나’라는 작품을 대표로 하여 톨스토이의 인생관 혹은 도덕관을 살펴보는 데에 집중하고 있다.
톨스토이의 인생은 그의 중년의 위기 (소위 ‘회심’) 이전과 이후로 나눠질 수 있다고 한다. 그 위기 이후에 쓴 대부분의 글은 무언가를 비난하고 촉구하는 글이었다. 석영중에 따르면, 톨스토이는 불륜, 사교계, 도시의 삶, 육식, 탐식, 흡연, 음주, 그리고 거의 모든 예술까지도 당당하게 비난했다고 한다. 당시 러시아 시대 정황을 살펴보면 그의 삶의 전환을 어느 정도는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그가 전환기 이후에 자신의 모든 작품마저도 다 부인하고, 마치 설교자나 ‘톨스토이교’ 교주가 된 것처럼 ‘어떻게 사는 것이 잘 사는 것인가?’에 대한 자신만의 해법을 알리는데 열을 올리다가 덜컥 생을 마감했다는 점에 대해서는 뭔가 석연치 않은 감정과 생각이 든다. 아무리 맞는 말이라도 그것이 이론만으로 들린다면 무슨 소용이 있을까, 하고 생각하면 그의 화려한 삶의 이면이 슬퍼 보인다. 이에 대해서 석영중은 딱 잘라서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이 책을 압축하는 문장으로 해석해도 무리가 없을 것 같다.
“확실히 톨스토이의 주장에는 일리가 있다. 그러나 일리가 있다는 것이 진리는 아니다. 톨스토이의 비극은 여기에 있다. 그는 일리 있는 것을 진리라 믿고 싶어 했다. 부분적인 진실을 진리 그 자체라고 단정했다. 그는 진리를 사랑했고 자신이 진리를 발견했다고 믿었다. 세상을 하직하기 이전에 그가 인류에게 남긴 말 역시 ‘진리’라는 단어였다.”
앞서 언급했듯이 톨스토이에 대한 연민이 생겼다. 그의 삶 전체를 훑어보지 않고 ‘고백록’을 읽었을 때 느꼈던 감동이 어느 정도 희석됨을 느낀다. 어떤 사실을 모르는 상태로 작품을 읽고 감동받는 그것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의미를 가질 수 있을 테지만, 아무래도 전체를 조명한 뒤 다시 돌아와 이전에 받았던 감동을 재해석하는 것은 더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 같다. 많이 배웠다. 참 고마운 책이다.
**톨스토이 읽기.
1. 고백록: https://www.facebook.com/youngwoong.kim.50/posts/2487697067941727
2. 이반 일리치의 죽음: https://www.facebook.com/youngwoong.kim.50/posts/2562696140441819
3. 안나 카레니나: https://www.facebook.com/youngwoong.kim.50/posts/3851864358191651
4. 톨스토이 도덕에 미치다 (석영중 저): https://www.facebook.com/youngwoong.kim.50/posts/4362158683828880
#예담
#김영웅의책과일상
출처: https://rtmodel.tistory.com/1250 [흩 어 진 행 복 의 조 각 을 찾 아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