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대인 1퍼센트 부의 지름길 - 가난하더라도 부자의 줄에 서는 유대인의 부자 습관
김정한 지음 / 레몬북스 / 2020년 4월
평점 :
전세계의 부자들의 다수는 유대인인 경우가 많다고 한다. 그들의 탈무드를 통해서 어린시절부터 돈의 가치에 대해서 알려주는 문화가 그들의 인생에 전반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고 생각이 든다. 누구나 부자가 되고 싶어하지만 그 방법은 막연하기만 한것도 같다.
이 책'유대인 1퍼센트 부의 지름길'은 유대인들의 탈무드를 부와 연결해서 풀어 쓴 책이다.
책은 성공하며 가치 있게 사는 삶,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하며 사는 삶, 부를 실천하며 사는 삶, 사랑하며 용서하며 지혜롭게 사는 삶
이렇게 네가지 삶에 대해서 각 부분을 나누어서 이야기를 들려준다.
파트 1의 예를 들면 이런 것이다. <세상의 성공을 파는 가게> 라고 쓰여진 곳에 부자가 들어가 가장 큰 성공을 사겠다고 하였다.
종업원이 그건 정말 비싸다고 하자 그게 얼마나 비싼지 꺼내보라고 하였다. 그리고 부자는 그 값어치를 보고선 가게를 나왔다.
<가격 : 세상에서 가장 큰 성공을 사려는 사람은 자신의 남은 생에서 편안함을 모두 포기해야한다.>
이 이야기를 통해서 유대인들은 토론도하고, 이야기 한다. 유대인들이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경쟁 상대는 누구일까? 이 질문의 답을 '나'라고 대답한다고 한다. 이 대목에서 공감을 많이 하였는데 무언가를 얻거나 이루고 싶다면 나의 간절함이 있어야 하고, 그 감절함을 바탕으로 계속 용기를 내어서 도전을 해야 한다는 교훈을 준다.
파트3에서는 부를 실천하며 사는 삶이며, 아이를 어떻게키우는게 좋을까라는 전체적인 주제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버지의 역할이나 아이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 하는 것들이다. 나 자신도 중요하지만 역시 다음세대에 어떻게 이 탈무드를 전달해 주어야 할지의 가이드를 주는 파트인것 같다.
<강자와 약자> 에 대한 예화를 이야기 하면서 모기는 사자에게 강자이고 거머리는 코끼리가 봐도 징그럽고, 하늘의 날쌘 매도 거미줄에는 공포감을 느낀다고 한다. 이처럼 아무리 힘없고 보잘것없는 미물이라도 조건만 충분히 갖추면 강자를 이길 수 있다고 한다.
여기서 한반 더 나아가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강자는 돈이 많은 사람, 권력을 흔드는 사람 능력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하지만 책에서는 그런 사람들보다도 자신의 마음가짐을 다스릴 줄 아는 사람이 강자라고 이야기한다. 앞서 말한 그들은 그저 나보다 조금 많이 가졌을 뿐이라고 말이다. 탈무드는 읽으면 읽을 수록 생각하면 생각할수록 좋은 책인것 같다.
부자 그 자체도 좋지만 부자의 마음가짐을 키우기에 좋은 책인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