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애매한 사이 - 애매 동인 테마 소설집
최미래 외 지음 / 읻다 / 2024년 7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식사 자리로 사람 파악하기>
당신은 어떤 식습관을 가지고 있는가? 어떤 음식을 좋아하는가? 당신이 이 말에 대답하는 것만으로 나는 당신을 파악할 수 있다.
소설에서는 말한다. '음식을 대하는 태도, 식기구 사용 습관, 입맛 등 식사 자리는 사람을 파악하는 꽤 괜찮은 방법이었다. 반대로 내가 어떤 사람인지 보여주는 수단으로도 좋았다.' 우리는 사람을 만날 때 흔히 밥을 먹는다. 밥을 먹을 때, 서로 차이를 느낄 때가 많다. 가령 밥 먹는 속도나 젓가락을 올바르게 잡는 것, 같이 먹는 국물에 숟가락을 아무렇게나 넣는 것 등 우리는 밥 먹을 때 사소한 것에서 정을 쌓아가기도, 정이 떨어지기도 한다.
소설 속 '나'는 20대 초반에 닭발을 가장 좋아하는 음식으로 꼽았지만, 20대 중반에는 연어스테이크와 일본 가정식을 좋아하는 음식으로 꼽는다. 지금의 우리는 어떤 식습관을 가지고 어떤 음식을 좋아하는가? 식사자리는 나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나-선정, 나-아빠는 식사 자리로 서로를 알아간다. 때론 좋아하는 음식을 공유하기도, 요리하기도 한다. 음식의 취향이 당신과 내가 다르지만, 조금씩 맞추어간다. 주인공 '나'가 선정의 음식 맛에 익숙해지듯이, 그것이 좋아지듯이.
<세상의 깊이를 가늠할 수 없는 것들>
세상의 깊이를 가늠할 수 없는 것들이 무엇일까? 소설에서 힘겨운 생활을 보낸 아빠는 '나'에게 조언한다. 바다, 가난, 인간은 세상의 깊이를 가늠할 수 없다고.
먼저 바다는 흔히 끝을 알 수 없다는 말을 쓴다. 바다에 들어가기 전까지 발바닥이 땅에 닿기까지의 깊이를 알 수 없는 것과 비슷하다. 무서워진다.
두 번째로 가난은 벗어나기 힘들어 그 깊이를 가늠할 수 없다. 가난은 함부로 이해한다고 말해선 안 되는데, 그것은 눈앞에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인간 또한 세상의 깊을 가늠할 수 없다. 어떠한 인간이 한 인간을 완전히 이해하는 일이란 불가능하듯이, 우리는 한 사람의 세계를 완전히 가늠할 수 없다. 즉, 깊이를 가늠할 수 없다. 이는 '나'와 선정이도 그랬다.
<미래와 미래>
우리는 한때 미래를 꿈꿨던 사이. 왜 헤어졌을까? 그리고 왜 슬플까?
선정이와 '나'는 미래를 꿈꿨던 사이다. 둘은 연인이 되었고, 선정이의 제안으로 함께 살아갈 집을 보기 시작한다. 그러나 미래를 꿈꿀수록 조금씩 둘은 멀어진다. 앞서 말했듯, 깊이를 가늠할 수 없었기 때문인다. 깊이를 가늠하지 못한다는 건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우선 세상에 대해 정말 '모르기 때문에' 깊이를 가늠할 수 없다. 두 번째로는 '알기 때문에' 깊이를 가늠할 수 없다. 한 사람에 대해 우리는 조금의 정보를 얻었을 때, 가장 궁금해진다. 그리고 그것은 알기 때문에 그 사람에 대한 감정의 깊이는 가늠할 수 없다. 어디까지 그 사람에 대한 감정의 깊이가 들어갈지 모른다.
다시 질문으로 돌아가자. 우리는 한때 미래를 함께 꿈꿨던 사람을 떠올리면 왜 헤어졌을까? 그리고 왜 슬플까? 그건 우리의 현실 앞에서 멈추었던 경험이 있었기 때문이며, 여기서 말하는 '현실'은 바다일 수도, 가난일 수도, 인간일 수도 있다. 우리가 가로 막았던 현실들은 당신은 이해할 수 있는가?
'나'와 선정이는 알기 때문에 헤어졌을까? 모르기 때문에 헤어졌을까? 아마 함께 바라본 바다의 깊이가 달랐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지 않더라도, 그렇다고 하자.
<그 외 소설>
대표적으로 소개한 최미래의 「얕은 바다라면」뿐만 아니라 조시현, 성해나 등 다양한 작가들도 'ㅇㅁ'을 주제로 다양한 이야기를 함께했다. 다채로운 이야기들은 모두 다른 소재와 다른 느낌이 들었지만, 공통점이 있었다. 비로소 너와 나의 사이가 경계적이라는 것. 즉, 애매한 사이일 때 소설은 비로소 완성됐다.
맛을 알면 더 먹고 싶은 음식들처럼, 누군가 옆에 있었다면 외로움을 잘 느낄 수밖에 없는 것처럼. 조금씩 알아버린 경계의 측면에서 우리는 '애매한 사이'이며, 그럴수록 우리의 다음이 더 궁금해질 것이다.
음식을 대하는 태도, 식기구 사용 습관, 입맛 등 식사 자리는 사람을 파악하는 꽤 괜찮은 방법이었다. 반대로 내가 어떤 사람인지 보여주는 수단으로도 좋았다. - P16
우리는 왜 헤어졌을까. 선정이가 손해를 보고도 가만히 있어서? 그 모습이 답답해서? 그런 걸까. 우리가 함께 바라본 바다의 깊이가 달라서? 그랬던 것 같아. 그렇다고 하자. - P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