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프랑스 여자는 80세에도 사랑을 한다 - 존재감 넘치는 그녀들의 생각과 관계의 방식
노구치 마사코 지음, 장은주 옮김 / 더퀘스트 / 2018년 5월
평점 :
절판


 

"글쎄요. 남들에게 어떻게 보였으면 좋겠다, 이런 생각은 평소에도 하지 않아요.
그건 내가 컨트롤할 수 있는 일이 아니거든요.
굳이 몇 가지 얘기해보자면, 대화하는 게 즐겁다, 함께 있으면 지루할 틈이 없다,
이런 얘기를 듣는다면 기쁠 것 같아요.
품위가 있다거나 머리가 좋다거나 매력적이라는 말도 좋고요."
결국은 내면이다. 지적이고 품우이 있는 여자가 매력적이라는 것.
알렉산드라가 말한 매력저깅라는 표현은 프랑스어로 '세뒤상트'인데,
이는 성적인 매력보다 사람을 끌어들이는 매력을 뜻한다. 어쩐지 용기가 나는 것 같다.  


 '프랑스 여자'라고 도서 검색만 해도 몇권의 책들이 쏟아진다. 대체 왜 이들은 매력적인가. 왜 우리는 그녀들에게 끌리는가. 어떤점을 느끼고 배울 수 있는가에 대한 이야기. 저자가 실제 프랑스에서 살면서 만난 50여명의 여자들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어쩐지 처음에는 조금 거부감이 들기도 했는데 결국 여성의 매력은 자기 자신을 꾸미는 것, 집을 깔끔하게 유지하는 것 등의 요소로 구성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그러고 보니 어떤 상황에서든 거절이 지극히 자연스럽다.
거절의 의사표시를 했다고 신경질적으로 변하지도 않고 상대를 공격하지도 않는다.
폭력을 쓰는 것도 아니고 누군가의 인격을 부정하는 것도 아니다.
...거절해야 한다는 생각만으로도 마음이 불편했던 경험이 있는가?
아마 다른 사람에게 미움 받고 싶지 않아서 그런 마음이 들었을 것이다.
그렇다고 억지웃음을 지으며 스스로를 속이지 않았으면 한다. 전혀 엘레강스 하지 않으니까!


 그러나 이런 모든 것들은 비단 여성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닌 듯하다. '여자'로서의 매력과 연애, 삶을 대하는 태도를 이야기하는 점도 인상깊지만 결국 우리 모두가 서로서로 편한 삶과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이다. 의사표현은 확실히 하고 주고받는 관계의 법칙도 확실히 하되, 자신에 대한 확신과 타인에 대한 배려를 갖출 것. 어쩌면 살아가면서 평생을 노력해도 몸에 익히기 힘든 그 어떤 것들 말이다.



나와 친구의 사생활을 똑같이 존중하다.
친한 친구에게 한동안 연락이 없다면 그냥 가만히 둔다.
특히 프랑스인들이 그걸 잘하는데, 그들에게는 무엇이든 가만히 두는 재능이 있는 것 같다.
어딘가에서 유명인을 봐도, 누군가의 스캔들을 알아도 혼자 알고 있지 함부로 떠벌리지 않는다.
우리도 가만히 두는 연습을 하자. 관계에서 가만히 두는 연습은 여러모로 도움이 될 때가 많다.


 대통령조차 스캔들이 종종 있음에도 국민들은 그의 정치적 수행 능력에 더 집중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좀처럼 힘든 일이기도 한데, 이러한 무관심이 어떠한 사람의 사생활과 직업적 능력을 분리시켜 본다는 점에서는 아주 좋다. 그러나 친구의 사생활을 존중한다는 부분에서 나는 어쩔수 없이 한국에서 친구들과 하루종이 붙어 초중고 생활을 해서 그런가, 좀처럼 받아들이기 어려웠다. 어쩌면 그래서 내가 생각하는 나의 인간관계가 불행한 지점이 생기는 것일지도 모른다. 관계에 애정을 갖고 성심성의껏 대하되, 너무 집착하지 않고 가만히 두는 것, 내가 늘 서운해지는 이유라서 그렇게 하기로 마음 먹는다(자신은 없다).



"특이해요."
"조금 엉뚱해요."
이런 말을 듣는다면 칭찬으로 받아들이기 바란다.
그 말은 나에게 다른 길을 걸어갈 용기가 생겼다는 반증이다.
동시에 나만의 개성이 살아 있고 군중 속에 묻히지 않는 사람, 즉 내 신념을 가진 사람이라는 뜻이다.
어느 시대든 특이하다.  엉뚱하다는 말을 들은 사람이 낡은 인습에 얽매이지 않고 세상을 리드해왔다.
무난해지지 말자.


나도 정말 당당하고 꿋꿋하게 나의 특별한 삶을 살아가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