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가 사랑한 수식
오가와 요코 지음, 김난주 옮김 / 이레 / 200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일본에서는 서점인들이 선정한 '서점대상'이 꽤 효력을 발휘한다는 얘기를 듣고 호기심에 산 책이다. 사실 서점인은 책을 가까이에서 접하기에 책을 가장 빨리 읽고 소비자(독자)에게 자기 나름의 기준을 제시하며 권할수 있는 역할을 해야 하는데 사실 그냥 고객이 원하는 책이 어디에 분류되어 있어 어디에서 찾을수 있는지를 알려주는 기능인의 역할을 하기 쉬운 것 같다. 그런데 일본에서 제대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생각에 예전에 서점에서 일하는 것을 꿈꾸었던 나로서는 그들이 제시하는 책을 접해보고 싶었다.

며칠전에 "첫키스만 50번째"라는 영화를 보았는데 그 영화에서 여주인공이 교통사고로 뇌의 측두엽이 손상되어 기억이 사고나기 전 시점에 멈추어버려 자고나면 그날이 항상 사고나던 날의 아침이라고 생각하고 그리하여 그날 만든 일은 그 다음날에 까맣게 잊어버리는 것이었다. 그래서 이 여자를 사랑하는 남자는 매일 자신을 처음보는 사람처럼 바라보는 여자에게 자신을 인지시켜야 한다. 이영화에서 의사가 이 여주인공의 경우는 운이 좋은 경우라고 하더니 사실 이 책에서 나오는 박사는 80분 동안만 지속되는 기억력으로 모든걸 80분마다 다시 시작하여야 한다.

기억이 80분밖에 지속되지 않는 박사와 그 집에 고용된 미혼모 파출부 그리고 그녀의 아들 루트 사이에 쌓이는 우정에 대해 쓴 책인데, 박사의 어린아이에 대한 무조건적인 애정과 그의 애정에 감사할 줄 아는 아들, 박사에게 인간적인 신뢰를 갖고 참을성있게 대하는 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인간애가 맘을 설레게 한다. 박사는 수학박사이다. 아직도 악몽은 수학문제를 푸는 꿈이라고 생각하는 나에겐 수학을 소재로 삼을 소설은 신선하고 신기했다. 그리고 그 수학을 소재로 쓰면서도 지루하지 않게 정말 소수가 너무나 사랑스러운 수라고 느껴지게 만드는 작가는 참 대단하다. 사실 나는 읽다가 박사가 열정적으로 수학의 여러가지 법칙-... 벌써 기억이 안난다..^^;;;- 에 대해 설명할 때면 좀 지루하기도 했는데 파출부가 박사의 설명에 열심에 귀기울이는 장면을 읽다보면 그 파출부가 정말 대단하게 느껴졌다. 특이한 소재로 감명을 주는 그런 소설이다.  다음은 소수에 대해 나도 공감하게 만든 소설에 나온 문장이다.

"나는 소수의 매력은 그것이 어던 질서 속에서 출현하는지 설명할 수 없다는 데 있지 않을까 하고 생각했다. 1과 자기자신밖에는 약수가 없다는 조건을 만족시키면서도 각각은 제멋대로 흩어져있다....... 그 무질서가 완벽한 미인을 추구하는 박사를 사로잡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