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페다고지 - 탈토건 시대를 여는 생태교육 생태경제학 시리즈 2
우석훈 지음 / 개마고원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이 책에서 저자는 현재 전세계적 흐름은 아이들 사이에서 그린 섬(Green thumb)을 숭배할 정도로 생태주의가 사회전반에 중요한 가치로 자리잡고 있는데 유독 한국만 아직도 개발주의 이데올로기하에서 토건공화국으로 삽질만하고 있다고 말한다. 탈토건시대를 위하여 초등학생에게는 생태적 감수성이 중학생에게는 생태적 지혜가 고등학생에게는 생태적 용기가 필요하다고 역설하고 있다. 

내년에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아들을 둔 엄마로서 나는 아이가 어릴 때 약간의 아토피 증세를 보일 때부터 생태적 가치의 중요성을 몸으로 느꼈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모든 육아의 책임을 부모에게 떠맡기기에 내가 아이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생협에서 먹을거리 구입하고 집에 공기청정기 들여놓고 정수기 구입하는 일이었다. 그러나 아무리 부모가 돈을 발라서 이런 일을 한다고 해도 미세먼지의 위협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에 아이는 시골에 있을 때 없던 비염증세를 달고 살았다. 나는 정책결정권자들이 농업이나 환경의 중요성을 무시하는 마인드 - 핸드폰 팔아서 쌀사먹는다는- 가 개발독재시대에 형성된 것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어린시절에 생태적 감수성을 길러야 한다는 우박사의 말에 전적으로 공감한다. 

내가 그동안 흔히 말하는 웰빙의 개념으로 생태주의를 이해했다면 이 책을 통해 생태적 감수성을 통해서 다양성의 감성을 키울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했다. 다양성의 감성이란 마치 세상을 거대한 하나의 생태계처럼 이해하고 그 속에서 "약한 것" 혹은 "보호받아야 할 것"들에 대한 감성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 사람들이 현재의 행복을 미래에 저당잡혀가면 열심히 살아도 행복하지 않았던 가장 큰 이유가 다양성의 감성이 없이 "돈"이라는 하나의 척도로 획일화되어 있었기 때문이구나.... 불현듯 떠오른 깨달음이었다.  

결국 생태적 감수성은 다양성의 감성으로 이어지고 다양성의 감성이야 말로 배려의 덕목으로 또한 획일화되지 않은 척도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게 해주는구나. 나는 아이를 무조건 생태적 감수성이 있는 아이로 키우고 싶다. 그래야 세상을 다른 방식으로 바라보고 또한 본인이 행복한 지점을 적확하게 찾아낼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