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테리오소
아르네 달 지음, 변용란 옮김 / 밝은세상 / 2012년 10월
평점 :
절판


요즘 스웨덴쪽의 추리소설이 많이 번역되어 나오네요.

아직 많은 작품들을 읽어보지는 못했지만 

제가 읽어본 몇편을 보고 얘기 하자면 전혀 관계없는 몇가지 사건들이

씨줄과 날줄이 얽히듯 얽혀 만들어 내는 한편의 사건들이 

천처럼 짜여져 한편의 이야기가 될때에는 감탄하게 만드는  힘이 있네요.

일뽄쪽의 심리적 추리물이나, 우리나라의 끈적끈적한 추리물과는

또다른 매력이 인기의 비결인 것 같습니다.

아르네 달의 <미스테리오소>역시 우연의 우연이 겹쳐 필연이라 여긴 범인과 운명처럼 엮어드는

형사의 이야기가 펼쳐 집니다.

사람이 자신의 의지가 아닌 몇가지 우연의 산물에 끌려 다닐 때 어떤 식으로

망가져 가는지, 또 거기에 엮여드는 비슷한 운명의 형사를 집어 넣어

닮은 두사람이 어떻게 양극의 길을 가게 되는지 보여 줍니다.

그리고 수수께끼 같은 과거를 가진 형사들을 조합.

인물들 하나하나에 매력을 부여하며 그들의 과거를 궁금하게 만듭니다.

(그도 그럴게 이 책은 시리즈물로 TV드라마로도 만들어져

성공 했다고 하니 그럴만 하죠)

 

비슷한 방식으로 일어난 기업재벌들의 살인으로 인해 스웨덴 정부는

A유니트라는 특이한 경력의 형사들로 팀을 구성.

사건을 해결하게 합니다.

세번째 살인마저 일어나고 현장에 유일하게 남겨진 증거를 바탕으로 각기 다른 

방향에서 추적해 들어가는 형사들...

 

이 작품에서 미스테리 보다도 현실의 일들이 더욱 모호하게 그려집니다.

서로가 궁금해 하는 형사들의 과거.

(몇명은 밝혀 지지만)

옐름의 사생활에서 부인의 돌발적인 행동들...

사건은 파헤칠 망정 자신들의 사생활은 오히려 어쩔줄 모르는

그렇기에 더욱 인간적인 형사들의 매력을 뽐내는 소설 <미스테리오소>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허기진 인생, 맛있는 문학 - 생을 요리하는 작가 18인과 함께 하는 영혼의 식사
유승준 지음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항상 책을 읽어도 읽어도, 또 다시 책에 목마름을 느낍니다.

많은 글귀들을 읽어가면서 제안에 불안감 역시 커지고...

이 책들에서 얼마나 내가 인생에 건질 수 있을까 하는...

이 책은 국내문학 작가들을 인터뷰 하며 그들의 작품에 대한 해설과 작가

개인의 생각. 더 나아가 사는 모습을 담아내고 있습니다.

작가가 그들을 인터뷰 하며 받은 인상과 그들의 약력까지...

어떤 사람은 수 많은 직업과 역경을 겪은 후에 작가가 되고,

어떤 사람은 작가가 되기 위해 수 많은 직업과 사연을 겪으며 꿈을 포기하지 않고

매진 했더군요.

어떤 작가는 노년의 데뷔를 해서 아직 작품이 적은 반면,

젊은 나이에 데뷔한 작가도 있고.

바른 언어로 본보기를 보여야 된다는 분도 있는가 하면,

요즘 세대의 언어를 통해 그들의 공감대를 끌어 내려는 작가 역시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다양한 작가들의 인터뷰를 보며 느껴지는 하나는 

그들의 작품에는 사람사는 모습이 담겨 있구나~ 하는 겁니다.

다들 사람들과 부대끼며 살아가며 그 모습을 자신의 작품속에 녹여 내기를 바랍니다.

자신의 작품 속에서 위안을 얻기를 바랍니다.

자신 역시 작품에 대한 허기를 풀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들 역시 불안과 인간다움을 보여주기에 저는 오늘도 문학에 대한

목마름을 마음껏 드러내며  몇권의 책을 들고 다니며 갈증을

풀어낼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편하고 행복하게 1 - 시골 만화 에세이
홍연식 글 그림 / 재미주의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좁디좁은 방을 몇명이 작업실로 나눠쓰며 거기서 신혼 살림마저

시작해야 했던 가난한 만화가라면 넓은 뜰과 산 전부를 담고 있는 집으로 이사 가라면

어떤 기분 일까요?

아마 세상을 다가진 기분 아닐까? 싶으시겠지만 산다는 것은 아마 이럴것이다~와

실제로 겪는 것은 천양지차라는  것을...

서울에 집 얻을 돈조차 없어 시외로 알아본 집.

집에서 살며 손본다는 조건으로 포천쪽.

택시가 아니면 들어갈 차편도 없는 산밑에 있는 집에 세들어 살게 됩니다.

조용해서 만화작업이 잘 되지 않을까 했던 마음은 

주변에 집도 없어 밤이되면 모든 걸 삼켜버리는 어둠과 시시때때로 산에 불법으로 들어가기

위해 찾아오는 등산객들의 쓰레기 투기.

외떨어진데 살아간다는 무서움.

보일러 땔 돈도 없어 연탄으로 연명하며 희망은 스트레스로 바뀌어 몸도 마음도 

엉망으로 만들어 갑니다.

일어날 기운도 없어 누워 앞날을 걱정만 하고

옆에 있는것은 서로밖에 없기에 서로가 서로를 상처주고 또 보듬어 가며

거대한 자연과 살아가기 위해 발버둥치는 하루하루.

모든 독기를 빼내기 위해 아팠던 양.

자신에게 있던 욕심을 포기하고, 하고 싶던 일을 시작하고, 조금씩 텃밭 가꾸는 재미와

자연을 있는 그대로 즐기는 법을 깨달아 가는 도중 다시 만나게 되는

인간의 이기심.

작가는 자신의 어리석음을 고백하 듯 정성을 다한 그림으로 엮어내고 있습니다.

자신의 행복이 어떤 형태고 그것을 얻기까지 어떤 죽을 맛이었는지.

산다는 것은 마냥 기쁜 일만 있는것도 죽어라 죽어라 몰아 부치는 일만

있는 것도 아니라는 걸 알리고 싶으셨던 듯.

그림 하나하나에 고뇌와 정성을 담아 내셨습니다.   

중간중간 사진과 함께 설명하는 글을 담아내어 그때

어떤 상황이었는지 눈에 보듯 자세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토로스 & 토르소
크레이그 맥도널드 지음, 황규영 옮김 / 북폴리오 / 2012년 8월
평점 :
품절


 예술과 광기는 뗄수없는 양상을 보인다.

미치지 않고는 예술의 궁극의 경지에 오를 수 없는 듯.

모든 예술에는 조금씩 어딘지 사람을 매료 시키는 광기가 숨어 있다.

그리고 그 광기가 정점에 다다랐을 때 우리는 그것이 우리가 두려워 하는

죽음과 닮아 있음을 느끼게 되는 것이 아닐까?

이 소설의 처음 부분에는 만 레이의 초현실주의 사진 <le minotaure>로 시작 합니다.

 

위로 올린 두팔은 뿔과 닮았고, 가슴과 유두는 툭 튀어나온 소의 눈을...

메말라 움푹 들어간 배는 주둥이를 음영으로 표현한 사진.

제목도 미노타우로스.

이 사진은 신화속 괴물의 이미지 처럼 어딘지 음습해 보입니다.

소의 얼굴에 사람의 몸뚱이를 가지고 태어난 이형의 생물.

작가는 이 소설에서 초현실주의를 미노타우로스에 빗대어 표현 합니다.

기괴하고 있어서는 안되는 광기의 산물.

그 초현실주의의 예술을 실제로 표현하기 위해 죽음을 작품으로 만드는 사람.

이 하드보일드 소설은 이처럼 광기와 매료의 경계를 아슬아슬하게 걷습니다.

당대의 문호 헤밍웨이와 천재 배우 오손웰스,

달리와 리타 헤이워드등 실존 인물들과 가공의 헥터라는 미스터리 소설가를 사실인양

잘 버무려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이 소설이 일어났던 사건을 추적하는 양 만들었죠.

사실 이 소설의 소재는 충격적인 일련의 사건들을 소재로 삼고 있기에

더 혐오감과 몰입을 유도 합니다.

그 유명한 '블랙 달리아'사건 -여자의 입을 귀까지 찢어 놓고 자궁과 내장을 끄집어 낸 사건.

과 이와 비슷한 초현실 작품을 모방한 사건들이 모티브 입니다.

 

잔혹한 이야기가 흥미로운 이유는 사건 묘사 때문이라기 보다 이야기를 들려주는 사람이

스토리 내면의 증오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그것을 알더라도 비극과 살인 이야기는 동요없이 들을 수 없다.

                                                     -존 도스 파소스

 

상상력을 부풀려 끔직하면서도 그렇기에 이야기를 쫓아가지 않을 수 없도록

만드는 작가 역시 작품을 쓰면서 찾아본 수많은 초 현실주의 작품들의

기괴한 이미지 속에서 어떤 광기를 엿본 건 아닐지...

그러면서도 역겹기 보다는, 꼬리에 꼬리를 무는 사건을 뒤따라가게 만드는 걸 보면

작가의 의도는 충분히 성공한 듯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 페이지에 죽음 하나
다니엘 포르 지음, 박명숙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죽음은 우리 주변에 흔히 널려 있고,

우리의 삶도 죽음을 향해 나아간다.

인간이 일생을 살며 무의식중에 먹게 되는 벌레의 수만도 수만마리라고 하니

우리는 매일 죽음을 접하며 산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에 한 페이지마다 죽음을 등장 시키겠다는 작가의 시도 역시 

기발하고 그 실험정신 역시 높이 산다.

작가들에게 모험은 필수적이며 아이디어가 고갈 된 글들만큼 독자를 실망 시키는 것도 없으니까.

그런면에서 죽음은 훌륭한 소재랄까?

사람은 살아가며 죽음을 무의식속에서 나마 끊임없이 의식하며 그것만큼

충격적인 것도 없으니...

우리 주변에 널려 있는 죽음들...

곤충일 때도...그림일때도, 너무커서 죽여버린 음악소리 일 때도 있을 것이다.

작가의 실험정신과 그걸 소설로 써서 많은 사람이 읽게 하겠다는 시도는 참신 하지만

역시 소설 이라면 재미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기본적으로 주제만 있고, 스토리가 없다면 족자로선 당혹스러울 수 밖에...  

한페이지마다 죽음에 관련된 단어를 넣기 위해 스토리는 멜로에서

자기혐오의 에세이로, 거기서 희망찬 성장소설에서 미스테리까지

왔다갔다 하다보면 어느샌가 소설은 독자에게 읽히기 위한 것이라기 보다는

작가 스스로의 만족을 위한 도구가 되어 있다.

여러가지를 너무 한군데 뭉뚱그려 끓이다 보면 이도저도 아닌 꿀꿀이죽이 탄생하고 만다

그럴바엔 차라리 한가지에만 집중해 깔끔하게 만드는게 낫지 않았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