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부자 16인의 이야기 - 조선의 화식(貨殖)열전
이수광 지음 / 스타리치북스 / 2015년 9월
평점 :
절판


[조선 부자16인의 이야기 ] 조선의 화식 열전이라는 부제가 붙은 이책은 조선 시대를 조망 하며 쓴 , 부자들의 자전적 스토리에 역사성을 가미한 팩션 적인 책이이라고 볼수 있다. 

 

최근에 와서도 그렇지만 , 예전의 부를 모으는 매커니즘은 시대의 변동성이라던가 , 혁명적 군주와의 만남에서 얻어지는 절대 권력의 부가가치 ,혹은 남들 과는 다른 궤적을 그리며, 다른 방식으로 사고 하고 행동하여 부를 이룬 사람들이 주종을 이룬다. 또한

밑에서 부터 차근 차근 신뢰와 사회적 인프라를 구축 하여 , 나름데로의 시장을 형성 하며 부를 일궈내는 방법을 사용 하기도 하다.

 

여기 이책에서 소개된 대표적인 16인의 면면을 보자면, 나름데로의 내공을 간직 하고 있다. .- 조선 보부상의 원조 - 백달원  , 유기 장인 - 한순계 ,  경주 부자의 첩 - 김 기연 , 나라을 위해 돈을 번 부자 - 김근행 , 조선 운송업의 대부 - 엄웅찬 , 장사로 도의 경지에 이른 상인 -임 상옥,  노블레스 오블라주를 실천한 부자 - 경주 최부자 , 또한 해외의 부자들로서는 러시아의 따뜻한 남자 - 최재형 , 근대화를 틈새에 부자가 된 사람 - 이 경봉 등 이다.

 

[ 화식 ] 이란 - 재산을 모으로 늘리는 것이라고도 하고 다른 말로는 축적과 증식 이라고도 한다. 사마천의 정의에 의하면 " 재력이 없는 자는 노동을 하고 , 재력이 다소 있는자는 지혜로 재산을 증식하고 , 재산이 풍부한 자는 기회를 보아 더 많은 재산을 소유 하는 것이다. " 라고 했다.

 

주로 이책에서 나오는 부자들의 심성은 곧다 , 자신만을 위한 부를 축적 하지 않았고 , 반듯이 보은에 대응 하는 보담을 하였으며 주변 이웃이 어려울 때에는 자신들의 집의 곡식을 풀어 구휼에 나서기도 했다.  즉 [ 나눔과 배품] 을 통해 노블리스 오블리쥬를 실천 하는 진정한 부의 달인인 것이다.

 

최근 에는 우리 주변 혹은 전 세계적인 거부들의 탄생은 IT 를 배경으로 하거나 , 기존 금융 거래를 위주로 한 변동성의 장세에서 제대로된 투자를 한, 워런 버핏이나 , 마이크로 소프트의 빌 게이츠 , 구글 레리 페이즈등 , 신흥 부자들의 대열에는 또 다른 새로운 이름들이 올라온다. 한국은 어떠한가  한국도 마찬가지로 , 이전 조선 시대이후 부터 변동성이나 혁명에 기반해 부를 일군 사람들도 있고 , 전쟁이나 사회적인 큰 변화를 남들보다 앞선 발빠름으로 대처해서 부를 일군 사람들 또한 많다. 사람들에게서 기회란 양날의 칼과도 같다,  그 어떤 현장에 있을 때에는 상황 파악이 되지 않는 환경이었으나 벗어나면 그또한 기회의 일부분 이었다라는 사실 말이다.

 

이 책에서도 설파 하였지만 부를 쌓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쌓아온 부를 지키는 것 또한 더 어려운 일인지도 모르겠다. 부자가 3대를 가지 못한다라는 말은 그만큼 지켜내기가 어렵다는 말과도 일맥 상통 하지 않았을까 .

 

다시 책으로 돌아 가자면, 조선 시대 당시에 부를 일구는 혹은 부를 키울수 있는 기회를 만들수 있는 길이 크게 3가지가 있었다라고 본다면 첫째는 과거 급제를 통한 벼슬길로 나아가는 것이고 둘째는 농업을 바탕으로 많은 땅을 소유하는 지주가 되는 길이있고 , 셋째는 장사로 돈을 버는 일이 있는데 조선 중기 이후 구한말에 이르닌 길에 많은 부자를 탄생 시킨 일도 장사를 통해 돈을 버는 일이었다.  여기에 소개된 16인의 부자들 중 반수 이상을 차지 하는 상인들과 나머지 지주 ,  역관을 이용한 무역을 일으켜 부를 일군 -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해외 거래를 통한 부의 차익을 실현 하는 방법등이 일반 적인 방법들과 차별화를 이룬다.

 

부자가 되는 데에는 왕도는 없는 법이지만 기본 황금률은 가지고 있지 않을까 한다. 간단히 언급한 순서로는  1. 입지를 세워서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에 대한 뜻을 세우는 것,  2 번째로는 그 샐행에 있어서 강한 실천력을 가지고서 도전 하는 것 , 3 번재로는 작은 돈도 헛되이 사용 하지 않는 절약 정신 , 4 번재로는 누구에게나 통할 수 있는 근면 하라라는 것이다. -가장 기본 적인 도덕률이기도 한 절약 , 검소 , 근면이 부를 일구는 마음가짐과 방향을 선전 하는데 황금률이 된다라고 하면 누구나 시시해 하겠지만 이역 시 올곧으로 한길 꾸준히 실천 하는 것은 보기보다 쉬운 일이 아니다.   모 대기업의 선친의 경우 매일 새벽 5시면 일어나 출근 준비를 마치고 항상 임원들의 아침 시작 전에 일과를 보았다라는 일은 한 두변은 쉬울 지 몰라도 꾸준히 지속 하는 것은 그 사람만의 기질 이기도 하고 내공이기도 하다.

 

누구나가 부자되기를 희망 하지만 누구나 부자가 되지는 않느다. 작은 부자 큰 부자가 있고 , 자신 만이 아닌 사회적인 배려를 통해 주변을 이롭해 하는 부자야 말로 참 부자가 아닐가하는 생각이 이책을 덮으면서 드는 생각이다 마지막으로 최부자 진설 몇가지를  다시 기억해 보고자 한다....

 

                - 과거을 보되 진사 이상 하지 마라

                 - 재산을 만석 이상 모으지 마라

                 - 과객을 후하게 대접하라

                - 사방 백리 안에 굶어 죽는 사람이 없게 하라

                - 최씨가의 며느리는 3 년동안 무명옷을 입게 하라  등

 

지금 도 우리 사회에는 사회적 약자로서 혹은 생활의 부족함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많이 잇습니다. 이들이 하나 하나 나름 대로 자신들의 인생을 펼쳐 나가고 도움이 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 하여 주는 것도 진정한 부자들의 자세가 아닐까 합니다만 , 큰 부자는 하늘이 내린다는 말이 있는대 시대가 낳은 부자들은 그 쓰임새도 당연히 다르리라고 보고 , 또한 사회적 기반이나 역할 분담에 대해서도 다른 잣대로 매김 하는 것이 맞지 않을가 나름 생각해 보는 < 책력거 99 > 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