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짓기 해부도감 - 가족 구성원의 감성과 소박한 일상을 건축에 고스란히 녹여내다 해부도감 시리즈
오시마 겐지 글.그림, 황선종 옮김 / 더숲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집짓기 해부도감] 오시마 겐지 는 건축사 이다. 약 20여년간 현장에서 발품울 팔고 인간 친화적인 건축물 을 만들어온 그의 장인 정신이 고스란히 이책에 숨겨져 있는것 을 느낀다. 특히 이책은 아주 쉬운 일러스트레이트를 통해서 직감적으로 평면도와 3차원 도면을 보듯이 위에서 집안 구조를 내려다 보는 드로잉으로 실제 이러 이러한 모양으로 집을 짓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매우 유용한 아이디어의 팁을 줄수 있지 않을까 한다.


이전 그의 다른 해부도감 시리즈 - < 가게 해부도감> 을 통해서도 오시마 겐지의 간결한 메시지는 잘 앍을 수가 있었는데 불필요한 디자인과 인테리어는 과감히 없에 버리고 꼭 필요한 소품과 가게안에 들어오는 손님과 주방 , 그리고 카운터의 절묘한 조화에서 오는 공간 활용적인 측면으로 보자면 전작을 뛰어 넘은 개인 건축물에 대한 따스한 인간적인 공존이 뭍어 나는 설계가 아닌가 싶다.


서두에서도 , 나타 내었지만 우리나라 아파트 평면도과 일본의 그것과는 상당이 다르 겠지만 소가족 , 혹은 핵가족화 되어 가는 추세에서도 때때로 할아버지 할머니를 모시는 중간 규모의 가족 형태에서  가구 수별 개인 프라이버시를 침해 하지 않고 방과 부엌 그리고 거실 동선을 처리 하는 것에서 부터 , 아빠 들의 아지트인 비밀 공방이나 오디오 뒷 벽 , 그리고 서재 , 아이들이 좋아 할 만한 다락방 구조와 ,  앞마당과 뒷뜰에서 아이들이 뛰노는 것을 조리 주방에서 바로 보면서 ,  아이들의 상황을 알수 잇는 섬세함까지 건축주의 거의 대부분의 바램을 이 책 한권에 담고 있다면 과장된 표현 일런지..


책의 챕터는 크게 5장으로 구성 되어 있는데 , 기승 전결의 구조가 아니어서 어느 장을 펼쳐 들더 라도 부담 없이 읽어 내려 갈수 있다. 그리고 관심이 가는 장르를 먼저 선태 하면 세세한 내부 목록으로 파고 들수도 있다. 예를 들면  쾌적한 생활 구조의 1장의 경우는 부엌의 동선과 거실 TV 등의 배치 , 혹은 토방과 아이들 놀이 공간에 대한 고찰 이라면 2 장은 집 전체적인 배치를 고려한 거실 , 다이닝 룸  , 현관 , 부엌등의 조화 , 그리고 좁은 공간에서의 건축에서 고려 하여야 하는 자투리 공간에 대한 활용 - 미니 테라스 라던가 , 반 지하 형태의 방과 , 다목적실 , 그리고 채광을 염두해 논 천장과 유리 , 통풍구의 위치 선정 까지 꽤나 꼼꼼한 부분 까지를 언급 하는 세밀함을 느껴 볼 수가 있다.


3장 , 4 장 5장 의 벽면의 구성 소재나 지붕의 형태 설정 , 그리고 신발장의 위치나 거울의 재질과 위치 등 , 건축가의 시선에서 하발 더 나아가 실제 살고 있는 구성원들의 시선으로 어떻게 하면 주어진 공간에 제대로된 역할 부여를 할 수 있는지가 명확이 들어와 있어 실제 설계 구성시에 이러한 한 아이디어를 활용 한다면 매우 짜임새 있는 건축 집짓기가 될 수 있으로란 예상을 해 볼수 있다.  특히 마지막 장의 경우에는 집안의 편리적인 동선도 중요 하지만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 피난처와 방범에 대한 대책을 같이 고려 해 보는 디자인과 구조를 제안 한다라는 점에서 한편으로 이러한 개인 집짓기를 희망 하는 사람들에게는 하나의 가이드 라인이 될 수 있으리라고 본다.


사실 요즈음의 트랜드는 획일화되고 편리 하기는 하지만 개성이 없는 아파트 보다는 자신만의 꿈을 키우고 , 재미 있는 일상을 지내기 위한 공동 공간으로 개인별 집짓기에 대한 관심은 높아 져 가는 것이 현실이다. 다만 그러한 비용과 공간을  원하는 구조에 맞춰 , 기존 아파트 입주 비용 대비 경제적인 만족감을 가지는 방향으로 보편화 대중화 되기 까지는 아직도 시간이  좀더 걸리지 않을까 본다.   타운 하우스라는 명목으로 일반 서민층이 다가가기엔 너무 거리감과 위와감이 있는 막대한 비용 보다는 작은 규모 10평 ~ 20평 짜리라도 공간  곳곳에 편의 성과  실용성을 두루 갖춘 개성있는 건축물들이 하나 둘 동네 마다 늘어 날때에  몰 개성적인 집단 콤플렉스도 점차 사라지지 않을까 생각 해 봅니다만 ,  일반인들의 입장에서 편하게 자신만의 공간을 집짓기 위해서  다른 경제적 환금성을 떨쳐 버리고  투자 하는 안목을 만들어 내는 것이 만만치 않는 것이 처한 한국적 현실 이라면 현실 이겠습니다.... 그러나 나름데로 자신만의 집짓기 꿈을 가져 보는 < 책력거99 > 였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