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20시간의 법칙 - 무엇이든 가장 빠른 시간 내에, 가장 완벽하게 배운다
조시 카우프만 지음, 방영호 외 옮김 / 알키 / 2014년 1월
평점 :
절판


[처음 20시간의 법칙] 의 지은이 조시 카우프만의 퍼스널 MBA 적 사고 방식은 신선하다,,,, 작심 삼일의 원리를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는 심리학자이자 전략가 라는 생각 마저 들게 한다..

 

우리는 새해가 되면 누구나가 되든 한번쯤 새로운 도전 목표를 세워보게 된다.. 공부 하는 학생이면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도서관 가기 ,  회사원이면 , 업무에 필요한 어학이나 OA 익히기를 필두에 넣어 두기도 하고 ,  나이가 드신 중 장년층 이라면 취미 새왈반에  골프나 요가 , 수영 등 문화 생활 전반에 걸친  특기를 한가지 씩은 익히기를 희망 한다..

 

가장 작심 삼일이 심한 것은 단연 운동과 다이어트 , 규칙적이 생활 습관이 수반 되어야 하는 러닝과 웨이트, 식사량 조절 등이다.. 아무리 자신이 제어 하려고 하여도 주변의 유혹에 1주일이 넘기가 무섭게 다음 분기 계획으로 이관 되고는 한다.

 

학원 등록의 경우도 초반에만 잠간 열심히 다니다가 학원비용 절반을 회수 하지 못하는 직장인들도 수두룩 하다.. 의지 박약으로 하기에는 너무나도 일상화된 모습이라 남의 일 같지가 않다... 

 

무언가를 해내기 위한 달인의 시간이 필요한 경우에는 몇 해전부터 꾸준이 강독 되어온 아웃라이어의 저자 말콤 글레드웰의 < 1만 시간의 법칙> 이 선두를 달린다.. 갈고 딱은 습관을 어느 정도의 성공적인 경지에 올려 놓는 일 , 그것은 인고의 시간과 초인적인 집중력에 따른 열정을 필수 불가결의 요소로 치부 한다..

 

하지만 일반 사람들이 꽃꽃이 하나 , 서예 그림 한점 ,   드로잉 스케치 한개 배우고, 음치 탈출 음악 학원 등록 하여, 기타 반주 3-4 개 기본 코드 익히는 시가 까지 모두가 1만 시간의 이상의 노력과 열정이 소요 되어야 한다면 인생이 너무 어렵지 않을까 .

이러한 즈음에 나타난 이책은 - 쉬운 습관 길들이기 학습편- 으로 이해 하면 좋을 듯 하다.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들이 너무 전문 적인 수준이 아니 더라도 취미 수준에서 혹은 관심도 수준엣 이해하고 배워 보려는 사람들에게는 적당량의 강도 훈련과 관심 ,

쉽게 지치지 않을 만큼의 게임 적인 요소의 재미는 필수 불가결 이다.  뭔가를 해보려는 태도 자체는 무언가를 배워 보려는 의지의 다른 표현 아니 겠는가 ?

 

세상일들이 모두 쉽거나 어렵지만 안겠지만은 자신이 원하고자 하는 일상 생활의 목표를떠올려보면 , 하나 하나 이뤄나가는 자기 만족을 위한 사람들이라면 한번 가벼운 마음으로 읽어 내려가도 정신상 전혀 부담이 될 게 없는 책이다.

 

자신에 맞는  상황은 , 4 가지 익히기중 , 편한거 하나를 골라서 바로 시작 해 보는 것이다 ~~ 지금 당장  < 책력거99 >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