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나는 늘 불안한 걸까
마거릿 워렌버그 지음, 김좌준 옮김 / 소울메이트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나는 늘 불안한 걸까 ]  부제 불안감을 다스리는데 가장 효과적인 10 가지 방법의 저자 마거릿 워렌 버그는 임상 심리 전문가 이자 심리학 박사 이다... 현대인들의 원인 모를 불안감과 우울증을 해소 하는 여러가지 방법중 대표적인 10가지 방법을 친절하게 소개해 놓은 책이다..

 

우선 , 책 제목에서 애기를 하지만 현대인들은 왜 불안한 걸까 라는 근본적인 화두에서 부터 시작을 하고 있다.. 가만히 곰곰이 생각해 보면 그다지 불안해 할 필요도 없는 일상적인 일들까지도 하나 하나 불안해 하면서 생활을 걱정 하거나 아직 닥쳐오지도 않을 미래 100년후를 미리 걱정 하는 전 우주적 불안가 ...  건강이 염려되어 한달에 수번씩 이상이나 건강 검진을 받아 야만 직성이 풀리우는 사람들.  사람과 사람들 관계에서 서먹 하여 남들이 나를 어떻게 쳐다 볼지 남들의식하며 불안해 하는 사람들 등등 ,

 

신체적 ,마음적으로 부터 발생된 이러한 불안의 근본의 기적핵을 두가지 큰 카테고리 에서 분석해 본 책이라는 데 의미가 있다.  하나는 뇌의 근원적인 구조와 뉴런, 혹은 신경 전달 물질의 대사 관계, 대뇌 피질과 번연계 , 그리고 위험이 닥쳤을때 반복 신호를 주의 시켜 보내 주는 뇌속 경고 알람계 인 편도체 까지 , 다영한 방식으로 현대 의학에서 정의 하는 뇌의 일반적인 결정 , 혹은 반응 시스템에 대하여 잘 풀어 놓았다.. 처음에는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에 뇌의 구조적인 부분이 무슨 도움이 될까 했었지만  자신의 일반적인 뇌 반응 시스템을 알고 나서는 외적으로 혹은 마음적으로 대처 할수 있는 영역이 횔씬 커질 수 있음을 알수 있었다.  

 

그다음으로 접근 하는 방법이 , 신체적인 이완을 줄 수 있는 복식 호흡법이나 명상 하기 등과 아울러서 마음 하나 하나 의 쓰임새에 너무 심각하지도 , 또는 너무 자세히 , 면밀히 하나 하나 혹은 매 시간 체크 하면서 살아 가야만 한다는 완벽주의 자의 생활 패턴을 버리는 길이 오히려 불안감을 해소 하는 데에 더욱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다.

 

일반인들 중에는 자신이 불안하거나 알지못하는 일이 닥치면 과장 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그것을 무시 하려는 경향이 존재 한다. 사회적인 관계에 있어서도 이는 타인에게 오히려 해가 될 수도 있고 , 커무니케이션의 부족으로 외톨이가 되거나 조직 문화의 소외감을 발생 시키기도 한다.  과잉대응 , 혹은 공황 장에 에서 올수 있는 심리적인 여러면에서의 대처 방법은 실제로 이러한 느낌을 가지고 있거나 , 자신이 불안감을 대중속에서라도 느끼는 사람이라면 한번 쯤 시도해 볼만한 방식이 아닐까도 본다.

 

현실을 잇는 그대로 직시 하는것 , 혹은 있는 사건과 실제를 있는 그대로 받아 들이는 것이 가장 좋은 불안감 해소 방법이 아닐까 합니다만,  미래의 과도한 준비 계획이나 , 현재 가지지도 못하는 능력을 염원하며 기대치를 높이는 일또한 나중에 자신이 해내지 못하는 일에 대한 자신감의 결여로 불안감의 또다른 요소가 있을 수 있음을 생각하면 ,  과유 불급 이라는 옜 선인들의 지혜 로움을 마음속으로 부터 받아 들이는 자세가 무엇 보다 중요 하지 않을까  생각해 보는 < 책력거99 > 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