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관상 1~2 세트 - 전2권 - 관상의 神 역학 시리즈
백금남 지음 / 도서출판 책방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관상] 1,2  이책의 유명세가 먼저인지 영화가 먼지 인지는 모르겠지만 최근 < 관상> 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진 것 만은 분명 한듯 하다 .. 조선조 1453 년 계유 정난을 배경으로한 정치적 암투와 그 최후 승자를 가리는 단계의 추적과 반전, 그리고 대세를 읽는 흐름들...

 

지금도 만찬가지 이겠지만 세계 역사상 [권력] 만큼 중독성이 강한 것은 없다라는 표현은 지극히 적절할듯 하다.. 그래서

그많은 국가에서 아직도 독재가 존재 하고 있고 ,  독재하면서 반대파에서 숙청 당하기도 하고 쿠테타에 따른 반대 급부를 사사 받기도 한다.....   지금으로부터 약 560여년 전에 일어난 과거사 이지만 작가는 픽션의 플롯을 아주 그럴듯 하게 살려서

마치  그 당시의 궁궐안의 풍경을 , 저잣 거리의 풍경을 읽는듯한 필치를 내보인다..

 

이책의 주요 배경 인물인  수양대군과 김종서 좌의정과의 기 싸움도 볼만 하지만 ,  역학자의 아들로 태어나 역모의 죄를 뒤집어 쓰고 죽은 아들 지겸 그가 복수의 칼날을 갈며 오히려 김종서의 최 측근에 자리를 잡아 갈무렵 다른 또하나의 정적 한 명회는 수양의 오른팔로서 대업달성에 결정적인 공을 세운다는 플롯 ....

 

얽히고 설킨 실타래 처럼 우연과 필연이 섞여 ,어느 것이 먼저의 인연이고 선/ 후의 구별이 그사람의 관상에 따라 바뀌는 것인지

아님 귀인의 도움으로 배경적인 영향으로 좋아 지는 운세로 관상이 좋아 진 것인지는 모르나 , 결과론적인 관점에서만 보자면

당시 [ 금상의 상]을 타고난 사람은 이미 정해져 있다라는 < 운명론> 적인 부분도 어느 정도 작용을 했음에랴... 그 운명의

한 귀퉁이를 돌려 세워 보려는 한 관상가의 담대한 이야기와 그와 함게 어우러진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는 결코 가볍게 흘러가지는 않는다..

 

필자는 또한 중간 중간 책 내용의 재미를 더하기위해서인지 모르나 < 연홍이> 라는 마스터 기생오너를 투입 시킨다..  왕권과의 치열한 싸움 이면에 민생들의 소박한 말씨름과 거친 육두 문자들이 오고 가는 저잣거리의 풍경들이 그 시대의 살아있는 거리를

상기 시킨다...

 

하나 하나 , 한발욱씩 권력에 정점에 도달 하고 있는 지겸과 그와는 다른 길을 가고자 하는 그의 아들 ,   결국 부자지간의 인연을 끊게 만든  수양의 화살 한발은 그간 그가 그렇게 많은 상법공부를 한것에 대한 아무러한 보람을 남기지 몯한체 그렇게 스러저 간다...  [ 인생 무상 ]  화는 화를 부르는 법 ,  또한 세상은 돌고 도는 것이라는 세상이치를  나중 ,  두눈을 망쳐 앞을 보지 못한 체에도 음성 만으로도 사람들의 길흉화복을 점치며 시골 마을에 살고 있는 그를 찾아 나선 < 연홍이> 라는 여자를 통하여  그럭 저럭 그의 인생 살이도 < 다홍 치마 > 격이 아니였을가 하는 생각을 자아 내게 한다..

 

나중의 에필로그에서 그의 맞수 [ 한자준- 명희] 는 당대에는 부귀를 누렸을지는 모르지만 연산군시절에는 결국 [ 부관 참시]를 면하지 못한 것을 보면 그 또한 인생의 한축 수례바퀴의 살날 이었다는 것을 증거 하는 지도 모른다..

 

참고로 , 아래 수양대군의 집권기를 보면 즉위한지 14 년이 채 되지 못한다..

--------------------------------------------------------------------------------------------------------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1], 재위 1455년~1468년)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다. 조선 왕조에서 최초로 왕세자를 거치지 않고 즉위한 임금이자, 최초로 반정을 일으켜 즉위한 군주이다.이씨(李氏), 는 유(瑈),본관전주(全州), 는 수지(粹之). 생전의 존호는 승천 체도 열문 영무(承天體道烈文英武)였고, 사후 정식 시호는 세조혜장승천체도열문영무지덕융공성신명예흠숙인효대왕(世祖惠莊承天體道烈文英武至德隆功聖神明睿欽肅仁孝大王)이고, 약칭으로는 시호는 혜장대왕(惠莊大王)으로 불렸다. 세종대왕소헌왕후 심씨의 둘째 아들로서, 문종의 동복동생이자 안평대군 용, 금성대군 유의 친형이며 단종의 숙부이기도 하다. 즉위전 호칭은 수양대군(首陽大君)으로 초봉은 진평대군(晉平大君)이었으나 여러차례 개봉된 끝에 수양대군이 되었다.

------------------------------------------------------------------------------------------------------------

 

지금 북한에 있는 3대 김씨들의 멤버들만 보더라도 독재 재위 기간 어언 60여년을 넘어가고 있고 ,, 쿠바의 피델 카스트로 같은 자는 혼자만의 독재 기간 52년을 넘어 기네스 북에 올라가 있다..

 

책을 통하여 < 관상> 이라는 역법을 재미 있게 보고 느끼고 구상 하였고, ,사주나 다른 명리학과도 좀 차별성이 잇는 듯 하다는 생각을 가져 보았다..  관상이 변하여 운명이 바뀌는 것인지 ,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여 < 관상 > 바뀌어 지는 것인지는 각자의 공부로 혹은  통계적인 데이터 베이스가 잇다면 좀더 과학적으로 밝려 볼 수 있는 기술 적인 사료도 될 수 있을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눈이 들여다 보지 못하는 부분, 이책에서도 관상이면의 기저를 바꾸는 그러한 역할이 < 심상> 이라고 하였고  마음 올바로 쓰는 것 만큼 외양의 기세를 누르거나 바꿀수 있는 것도 없다라는 말에는 공감 하는 바이다..

 

결국 마음쓰기에 따라 자신의 운세를 좌지우지할 수 있는 영향력이 있다면  오늘부터라도 그러한 <올바른 심상 가꾸기 > 에 더욱 열을 올려야 하지 않을까  하지만 다른 한편으론 사람이 대세에 살고 죽는 것은 심상보다도 그 상황에 따른 변화의 대처능력이

더 맞지 않을까 싶다... < 사육신> 들은 죽기를 자처 하고 단종 북위및 일편 단심 예전 임금을 향한 마음은 심상 자체의 문제가 아닐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충신들이  오늘날에 태어나 정치를 한다고 하면 어떤 역할을 할지 자뭇 궁금하기까지한 < 책력거99 > 였습니다..

 

에필로그 ; 나라를 지키는 무관이였다가 좌의정까지 오른 호랑이 [ 김종서 ] 장군도 다른 한축으로 보면 역모자며 반역자에 다름 아닌 것이 , 역사는 무릇 존재되어있는 권력를 쟁취한 자들의 관점에서의 대 서사시 인것만은 분명 한듯 하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