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는 사람들 - 놀이하듯 공부하는 새로운 인류의 탄생
더글라스 토마스 & 존 실리 브라운 지음, 송형호 외 옮김 / 라이팅하우스 / 2013년 6월
평점 :
절판


공부 하는 사람들 - 부제 ( 놀이 하듯 공부 하는 새로운 인류의 탄생 ) 이라는 설명이 붙어져 있는 이책은 공부에 대한 기존 패러다임을 넘어선 새로운 학습 공동체에 관한 이야기이다...

 

전통적으로 "공부 " 하면 학교를 떠올리거나  " 연구소 "내지는  도서관의 이미지를 연상 한다.. 하지만 오늘날의 학습 방법에 대한 여러가지 다양한 매체의 개발로  단방향 하나로만의 교육은 이제 상당히 제한적이 될 수 밖에 없고 새롬고 흥미롭지 않은 방법으로 여러가지로 다양한 성향의 학생들을 상대로한 동기 부여 에서도 차별화가 필요로 하는 시점이다..

 

최근 몇년사이 인터냇 망과 이를 이용한 양방향 커뮤니 케이션의 발달로 온라인 학습의 증가세가 이어 지고 있다.. 왠만한 중등 .고의  학교외 ? 수업은 이러한 온라인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이러한 온라인 방법으로도 해결 되지 않는 이슈가 있다.. 단방향의 코뮤니케이션이다 보니 중간 중간 네트웍을 통해서 서로 질의 하고 응답 하는 양방향 컨텐츠의 부족이 그것이다...  제작작의 입장에서는 일정 부분의 수고와 노력을 들여서  불특정 다수의 회원 가입으로 수익을 얻을 수는 있지만 전통 적인 교실 수업 방식에서 처럼 , 질의 하고 응답 하는 이러한 상호 교류 방식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물론 이책 [ 공부하는 사람들] 이 내건 주제어들은 좀더 포괄적인 학습 공동체에 관한 스토리이고  자발적인 구성원들을 통해

스스로 탐구 하고  소속되어 있는 집단의 주제어에 맞는 서로의 노하우를 공유 하면서 자연 확장해 가는 긍정적인 피드백의 소규모 " collective networking " 에서의 시너지 효과는 배가 될 수 있다...  

 

[TED ] 나 [ KAHN ] 아카데미 의 경우도 다르지 않아서 주요 관심사항들만을 따로 모으거나 블로깅 , 아님 페이스북 , 기타 온아인 공동체 커뮤니티를 통한 자발적인 교수법과 학습에 대한 정의를 일부 실현해 나가고 있기도 하다.. 얼마전 미국의 일부 대학에서는  전체중의 일부 강의롤 무료로 일반 사람들에게도 청취를 할수있도록 매체를 열어 놓았다... 전통적인 방식이라면  대학 입학 자격을 취득한 일정 수준의 학생들만이 그 강의를 들을 수 있었다.. 하지만 오늘날은 자신이 들을 능력과 열정만 있다면

MIT 던 스탠퍼드 대학이던 Even 하버드 대학의 강의 조차로 청강 할 수 있는 시대가 된 것이다...

 

[인지능력] 혹은 [ 다중지능] 의 대가 하워드 가드너의 경우도 이러한 새로운 트랜드의 발달로 인류는 더욱 진보 할 수 있다고 보았다...

 

21 세기는 [ 암묵적 지식의세계 ] 라고도 한다.. 전통 과정의 명시적인 방법의 학습법과 교수 법이 아닌 우리가 스스로 체득하여 나가는 암묵적 지식의 세로운 장이 서로 서로 에게 새로운 시너지를 부여 할 것이다... 수년전 브리테니커 백과 사전 회사가 신큐 의키피디아에 고전을 면치 못하고 결국 파산신청을 하듯이 , 새로운 지식 산업에서는 그러한 암묵적 지식의 유용성과  불특정 다수의 [ 집단 지성]을 근간으로한  새로운 [ 학습 ] 방법에 대해 우리의 태도를 열어 놓아야 할 일이다... 

 

이러한 교육 방식의 개혁과 개방은 우리삷의 많은 부분을 바꿔 놓겠지만 , 특히나 오늘날 배움의 길에 있는 10대와 20대 , 그리고 사회생활을 영위 하는 30- 50 대도 다르지 않아서  10 년전 20년전에 명시적 학습 방법으로 체득된 교육에서 탈피해  평생 학습의 장으로  무한 이동 해야 하는 시점에 와 있는 지도 모른다.... 

 

어떤 일을 해결 하기 위한 [ 노하우] 는 전통 적인 기법에 의하면 옆집 사람이거나 동네 지식인들이나 장인들 이었다면 지금은 지구촌 반대의  어느 마을의 청소년 이거나  북유럽의 은퇴한 은행가 일수도 있다.. 그에 대한 혜택 또한 커져서 이제는 광대역 인터넷 망이 연결된 지구촌 어디에서난 즉시성의 답을 가진 현지자를  [24 ] 시간 이내에 만날 수 있다....

 

당신 또한 그러한 지식 교육자의 한 축을 담당 하게 될 지도 모를 일이다.... 그러니 10년전 20년전 대학 교육의 학습 반복 만으로는  새로이 변모 되는 세상에 적을 하여 나가기에는 역부족 일 수 도 있는 측면이 있겠다....

 

어쩌면 21 세기의 문맹자들이란 글을 모르는 것이 아니라  주변의 이러한 학습 기회들을 유효 적절하게 자신의 것으로 만들지 못한 뒤처짐이 아닐가도 생각해 보게 된다...

 

2013 / 7/29  조만간 교실은 Off line 시험을 보는 장소로만 사용 되지 않을까 라는  상상력을 ?   발휘해 봅니다만 기계적인 만능 학습 효능 보다는 아직 까진 인문학적인 인성 교육이 교실에서 더욱 중요하다고 믿는 ....책력거99 였습니다....

 

아래는 Khan 아카데미 동영상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