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cus Debate 한국형 디베이트
박성후.최봉희 지음 / 오디세이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포커스 디베이트-란 책 부제에 "한국형 디베이트" 라는 것으로 소개된 토의 /토론에 대한 사고의 접근법에 관한 책이다..

저자에 대해선 자세히 나와 있지가 않지만 전작 -포커스리딩" 의 저자 이기도 하다.. 1, ,2 , 3부로 구성된 이책은 서론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토론 -즉 Debate 에 대한 재정으로 시작 된다 잠시 그 내용을 적으면 ,

Debate 정의 ; 하나의 주제를 정해 대립 하는 두 팀으로 나눠 , 일정한 규칙에 따라 쟁론을 벌여 이기고 지는 쪽을 결정 하는 것 ' - 즉 이기는 논쟁의 타당성을 입증 하는 것. - 그러나 이러한 정의를 좀더 폭넓게 해석 하면 사전적 의미의 Debate 는 아래와 같다.

토론 / 토의 ( discussion ), 논쟁 ( controversy ) - A debate is a discussion about a subject on which people have different views ( 어떤 주제에 대해 다른 견해를 가진 사람들이 토의를 하는것 ) .. 디베이트에는 토론 뿐만 아니라 '토의'라는 확장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소개 한다.. 일반적으로 토론이라고 표현 되는 보다 본질적 정의에 가깝게는 토의라고 보여 진다.

다시 재정의를 하자면- ' 두 팀으로만 나누는것이 아니라 여러 견해를 가진 다자토론도 가능 하며 이기고 지는 것을 결정 하는 목적이 아니라 아떤 결론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형식의 소통 방법을 모두 포함 한다....' 영어로는 Discussion과 Debate 의 차이이니 이부분의 차이를 느끼면서 책 전개를 해나가면 더욱 좋겠다..

전체적인 주제어로는 " 소통" 을 key word로 뽑아 보았다. 아마도 책 저자가 주장 하려는 이야기가 대부분을 커뮤니 케이션 방법론에 대한 절차적인 부분이 아니었나 싶다.. 흔히들 접하는 토론이라면 TV 의 100분 토론의 억지 주장이 난무 하기도 하고 , 인터넷이나 사이버 매체의 논객 진중권 씨 같은 경우도 진보 논객으로 손 꼽이고 있다.. 시야를 넓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나 G2 ( 미국와 중국의 ) 정상들과의 토의 아닌 토론?과 쟁점을 보며 과연 진정한 소통이 이뤄지는가 하는 부분에 의문점을 갖기도 한다... 다시 책으로 돌아가면 우리는 일상 업무나 기타 사회 활동을 통하여 여러가지 많은 갈등 상황을 맞이 하게 되는데 이러한 갈등 상황에서도 필요한 것이

" 소통 "하는 방식이다.. 주변인들을 보더라도 가끔식은 전화기에 대고 자기 주장만 하고 일방적으로 전화를 끊는 사람부터 , 불필요한 의사소통을 강매? ( 원하지 않는 보험 , Sales call 등 , 기타 광고성 Message ) .당하는 경우도 있다.. 근대적인 시각으로 보면

봉건 왕조까지는 토의나 토론을 굳이 할 필요가 없었다.. -절대 권력자나 힘이 있는 영주들이 명령만을 내리고 그에 따르는 일방적 소통의 시대 였으니 말이다..

유럽에서 부터 시민혁명이나 개몽주의 이후 그/현대사가 대화되면서 각기 다른 사회 계층들을 묶고 통합 하는 데에 대화가 필요하였고 의사 결정을 하기 까지의 과정에서는 당연히 게약적이든 구두 적인 합의와 협의가 필요한 부분인 것이다.. 미국의 링컨 의회 시대당시 만 해도 민주당과 공화당이 태동 하면서 각 당파들의 입자을 견지 하기 위한 Debate 가 활발이 이뤄졌고 결국 그것은 민주주의의 꽃으로도 피어났다.. 물론 바람직 하지 못한 소통의 부재을 가져오는 경우도 역사적으로도 좋은 부분만큼이나 명암이 엇갈린 결과가 도출 되기도 하였지만 말이다..

"소통"을 굳이 잘 하여서 꼭 합의를 이뤄 내야만 할까 --라는 부분에 대해서도 의문이 들기도 하다,, 한국적인 관점에서 보면 토론을 하거나 토의를 하면 어느 정도는 합의가 되어야 속?이 시원 하다고 하는 부분이 잠재 의식속에 내재 되어 있다. 그러나 아무리 하여도

나와 다른 가치관을 가친 인종이나 문화사가 다른 민족과 만나 만약 Debate 를 하게 되면 합의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 할 것이다.. 정의로운 합목적성을 가진 discussion 이나 Debate 라 할지라도 개개인의 가치에 병치 되는 입장들은 있는 법이다..

이러한 부분을 있는 그대로 인정 하는 단어 들도 있다.. - 프랑스에서 유래된 " 똘레랑스 " -- 상대방의 가치 그대로 인정 한다는

Debate 를 통해서도 합의 점이 없다면 열차 레일 처럼 수평선을 그리며 가는 방법도 있는 것이다..

" 유연성" -- 소통을 잘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유연성이라고 생각 된다.. 어떤 환경과 주제에 접근 하는 방법은 제각각 다르지만 하나의 사물을 여러가지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해 할 수 있는 자질 . 그 자체로도 귀중한 자기 자신만의 재산이 될 수 있다..

이책 에서는 다소 딱딱한 의미 전달로 많은 감동을 가져 가며 책을 완독 하지는 않았지만 전달 하려는 주제어가 " 소통" 과 올바른 목적의 토론을 하고자 하는 조직이나 사람들에게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은 선사 할 수 있으리라 본다..

아래는 정리된 포커스 debate 5 단계 요약 이다.

포커스 디베이트 5단계 개요
1단계 Focusing / 토론의 목적 이해
2단계 Organize / 생각의 구조화
3단계 Communication / 커뮤니케이션 토론
4단계 Unite / 통합하기
5단계 Solve / 적용 및 문제해결
포커스 디베이트의 활용

----------------------------------------------------------------

1단계 논제의 본질 파악과 주제 개념을 도출 하여 2 단계 생각을 논리적으로 배열 하고 토론 요약서 작성 --3단계로 올바르고 합리적인 결론에 도달 하기위한 경청과 이치와 논리에 맞는 생각과 주장 펼치기 -- 4장 지식의 통합 에서는 각자의 생각과 주장 중에서 가치 있는 주장을 취합 - 개인이 아닌 집단 지성의 긍정적 시너지 효과 창출-- 5장 마지막 단계에서 적용및 문제 해결 과정- 핵심 가치들을 선책 하고 우선 순위를 정함 , 핵심 가치에 대한 실천 방안 및 전략 수립 , 토론의 결과를 살아 있는 지식 , 즉 지헤로 전환 ...

" 모두가 하나되어 한 호습으로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것이 토론 이다.. --p121 마지막 저자 어귀에서

책 저자에게 질문 사항이 몇가지 있다.. 우선 토론 , Debate 의 목적이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서 모두가 하나되어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것에 있다면 ,,그렇지 않은 나머지 생각들은 이러한 우선 순위에 전부 수렴을 시키는 수고로움이 필요한 것인지..

책의 서두에 각 나라마다 국기 모양의 다름에 따라 그나라의 성향이 다르고 서양의 문화가 이분법적 혹은 너와 나의 독립적개체로서의 관계라 사고 하는것인 개인 적인 가치 척도인지 묻고 싶습니다.. 왜냐면 태극 문양의 국기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 사람들 중에서도 얼마든지 이분법적 사고를 사유하거나 좋아 하는 자들도 잇고 , 그렇지 않는 자들도 있는 것입니다.. 태극 문양에서 부터 출발 하는 문화가 조선 시대 붕당 정치나 사단 칠정 논변의 단초가 되는 논리 비약은 무엇인지 궁금해 집니다.

토론 ( Debate ) , 토의 ( Discussion ) 은 매칭 되는 단어 연구 인지도 추가 Study 에 필요하리라고 봅니다. 토의 ( Discussion ) 이 포괄적 개념으로 토론( Debate ) 를 부분 집합으로 가지고 있다고 밴 다이어 그램으로 까지 친절한 설명은 좋으나 . 책 제목이 한국형 디베이트 -외래어로 쒸어져 있는 책 제목이 독자들에게 더욱 어필 할 수 있다고 생각 하시는 지도 모르 겟습니다만 , 주제가 Debate 라면 여기에 집중된 서술이 더욱 바람직 하지 않을까 보여 집니다... 오히려 " 한국형 디베이트 " 라는 단어 정의에 혼동을 초래 하여

학생들이나 일반인들이 승승원리의 의미 확장된 아름 다운 개념으로 인식 하는 것이 해로울 수도 잇다는 부분을 지적 합니다.

이경우엔 차라리 ' 커뮤니케이션을 잘 하기위한 방법론" 이나 " 바람직한 통의를 통한 의사 소통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 " 이 책의 사실 관계에 근접 하지 않을까 보여 집니다..

논쟁은 논쟁 일 뿐입니다... 한국형 민주주의 라는 이상한 ? 말이 생겨 나듯이 이상한 한국형 Debate 면 세계속의 Debate 현장에서도

다른 나라들이 규칙을 다 같이 지키고 우리식으로 따라 와 줄까요 ???

아래 위키 피디아 Debate 를 적고 갑니다.. - 책력거 99

Debate is contention in argument; dispute, controversy; discussion; especially the discussion of questions of public interest in Parliament or in any assembly.[1]

Debate is a method of interactive and representational argument. Debate is a broader form of argument than deductive reasoning, which only examines whether a conclusion is a consequence of premises, and factual argument, which only examines what is or isn't the case, or rhetoric, which is a technique of persuasion. Though logical consistency, factual accuracy and some degree of emotional appeal to the audience are important elements of the art of persuasion, in debating, one side often prevails over the other side by presenting a superior "context" and/or framework of the issue, which is far more subtle and strategic. The outcome of a debate depends upon consensus or some formal way of reaching a resolution, rather than the objective facts as such. In a formal debating contest, there are rules for participants to discuss and decide on differences, within a framework defining how they will interact.

Debating is commonly carried out in many assemblies of various types to discuss matters and to make resolutions about action to be taken, often by a vote. Deliberative bodies such as parliaments, legislative assemblies, and meetings of all sorts engage in debates. In particular, in parliamentary democracies a legislature debates and decides on new laws. Formal debates between candidates for elected office, such as the leaders debates and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debates, are sometimes held in democracies. Debating is also carried out for educational and recreational purposes, usually associated with educational establishments. The major goal of the study of debate as a method or art is to develop the ability to debate rationally from either position with equal ease.

Although informal debate is common the quality and depth of a debate improves with knowledge and skill of its participants as debaters. The outcome of a contest may be decided by audience vote, by judges, or by some combinatio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