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학개론 기억의 공간 - [건축학개론]에 담긴 나를 위한 공간의 재발견
구승회 지음 / 북하우스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워낙 유명한 제목이다 [ 건축학 개론 ] 2012년 스크린을 달군 영화 중에 한편으로 기억 한다.. 많은 분들이 그러 하겠지만

영화로 본걸 책으로 반복해서 볼 필요 가 있을까 ? 이다. 그렇지만 볼만 하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특히나 자신의 기억들이 스민 공간들을 기억 하는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이라면 ,,,

작가의 소개이다..

---------------------------------------------------------------------------------------------------------------

저자 : 구승회

저자 구승회는 연세대 건축공학과 졸업. Columbia University 건축대학원에서 건축을 공부. 창조건축과 Yamasaki Associates, Inc, 야마사키코리아건축사사무소를 거쳐 현재 (주)크래프트 대표 재직 중. 현재 세종대학교 겸임교수이며 영화 <건축학개론>의 총괄 건축 자문과 제주도 서연의 집을 디렉팅하였다. 즐겁게 일하는 것과 행복하게 노는 것에 많은 노력 중이다.

---------------------------------------------------------------------------------------------------------------

우선 저자와 영화감독의 만남이다. 우연치 않은 이들의 만남에서부터 이영화의 모티브는 싹을 틔웠는지 모른다..

"전축학개론" 이란 하나의 담론처럼 시작된 스토리는 우리들 일상 곳곳을 다른 뷰 파이더로 들여다 보기를 한다..

오래전 걸었던 기차길 , 학교앞 도서관 계단 , 첫사랑의 고백 장소인 노란 수은 등 밑에서의 그림자... 어두워저 가는 마을길 ...

트인 공간에 대한 소고---수평선 , 제주도 밤바다 ,, 별 ... 노래 ,, 그리고 MT 가 생각 나는 대학 시절의 기차길 까지 ,,, 필름을 뒤감듯 시간의 흔적 따라 앞서거니 뒷서거니 기억을 되살려 보면 그 곳이 정확 하게도 나의 기억에 각인되었던 공간이었다... .

이 책은 총 PART 3 로 나뉘어서 공간에 대한 주제어를 달리 보여 준다

PART 1 . 사람이 담긴 공간 <건축학 개론 >

PART 2 의 공간의 기억 - 숨은 이야기

PART 3 의 공간은 무엇 , 공간을 더 깊이 이해하는 법

에필로그 / 인터뷰등

PART 1 의 주제어는 영화를 보았던 사람들은 그들의 이동 경로에 따른 공간 감각을 같이 느껴 본다.. 특히나 제주도의 현무암 앞바다로 펼쳐지는 먼 수평선의 바다 ... 생각 만으로도 평온함을 느끼게 하는 구도 이다.. 주인공이 밀어 젖히는 폴딩도어의 마력으로 우리는 온통 제주도의 바다에 빠져 든다.----

건축가인 저자는 이 책을 통하여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 내듯 건축과 사람 , 사람과 공간 그리고 거기에 담겨져 있는 철학을 내비춘다... 이 들 건축 사무실을 얻기위해 돌아 다닌 소소한 일상 부터 , 이태원 자락의 전망 좋은 뷰를 얻기 까지 ,,그리고 인테리어 .. 이러한 책을 쓰기 위한 공간은 또한 어떠 했는 지를 건축가는 건축가 답게 그만의 저작 공간을 소개한다..

" 카펜터즈' 라는 LP 레코드 판을 틀어 주는 뮤직 바라고 하는데 그 근처에 갈일이 있으면 꼭한번 들러 맥주 라도 한잔 마시면서

작가의 공간 감각을 살펴 보면 좋을 듯 하다...

개인적으로 건축 구조물이나 이러한 디자인들을 틈틈이 보기도 하지만 이책에서 주는 이미지는 편하면서도 독자를 현재 살고 있는 자신들의 공간을 둘러보게 하는 묘한 마력이 숨어 있다.... 마치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공간이 자신을 가장 잘 표현 할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건축물이란 디자인의 다른 말이 아닌가 싶다... 작게는 집과 방 , 사무실 건물 들이지만 확대하면

우리의 마을, 도시 ,, 강변 환경 , 시설 등 확대 해석이 가능 한 철학적 명제 이다..

어느 유명한 분의 말 처럼 공간은 채우기 위해 존재 하는 거라면 , 비움 의 미학은 너무 채워져서 식상 하거나 소통 되지 못한

현대인을 위한 하나의 탈출구로 존재 하는가 ....

마지막 에필로그의 대화 형식의 인텨뷰는 우리들 공간에 대한 익숙함과 낯섦에 대한 소통의 한 토막 이다.

나의 공간은 어떠한가 ,, 나만의 사색할 공간이 있는가 .. 누군가를 배려하는 공동 공간이 있는가 ..앞으로의 세대를 위한 공간은 남겨져 있는가 ......

간단한 주제어 같지만 많은 뜻을 내포한 에세이다 . 그래서 신선한 느낌을 받았다... 처음 제주도 성산포 밤바다를 바라보며 ..

시원한 맥주를 들이켯을 때를 떠올리며,,,, 그러다 성산포 라는 시라도 흘러 나오면 더욱 좋았다...

2013/1/ 2 계사년 새해 서설을 바라보며 글을 마치다...

HAN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