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X 2024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 - 세상을 변화시키는 DX 플랫폼
윤커뮤니케이션즈 디지털미디어랩 지음 / 연두에디션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책 서두에  ; 디지털 전환, 생성형 AI, 클라우드 네이티브, 로봇 등 다양한 기술들이 비즈니스와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명쾌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책의 내용은 크게 두 가지로 구성했다. 우선 첫 번째는 ‘디지털 전환’이 무엇인지, 어떻게 흘러왔고, 앞으로 어떻게 흘러갈 것인지 를 설명했다. 두 번째는 현재의 IT 트렌드이다. 스스로 학습하고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 필요한 곳에 제공하는 생성형 AI와 로봇, 디지털 헬스케어에 주목해 최근의 트렌드를 모아봤다. ]] 


2024년 디지털 대전환 이라 이름 붙이지 않아도 이미 우리 곁에는 많은 주변 변화가 세계적으로 있다. 그 선두에는 아마도 AI ( 인공 지능 생성형 ) 알고리즘이 아닐까 한다. 


사실 인공지능이란 단어는 1950년대에도이미 인공 신경망의 연구가 있어왔고 , 1980년대의 exert system 이라는 전문가 시스템의 분석 분류를 수행하는 일정 부분 사람에 의해 개입되는 도구 였다.  

1990~ 2000년대 인터넷의 발전과 아울러 스스로 학습 규칙을 찾아서 실행하는 버전이 몇 해전 이세돌과의 바둑 대결에서 우승 하였던  머신 러닝 , ( machine leaning )  - 수집 한 데이타를 바탕으로 AI 가 스스로 튜칙을 찾아내서  해결 방안을 내어 놇은 2012 -2020 년 Deep learning 으로 이어 지는 계보 이다. 

아래가 2016년도 구글 딥 마인드가 개발한 ai 알파고가 4대 1로 바둑 기사 이세돌9단을 꺽어 내린 딥 러닝 알고리즘. 몬테카를로 트리 탐색 알고리즘을 결합한 결과 이기도 하다. 


https://youtu.be/WXuK6gekU1Y


지금은 2022년말 개발된 오픈 AI 의 챗 GPT 를 이끌어 내며 생성형 AI ( Generate AI ) 시대를 열게 된다. 

이후 거의 인간을 모방한 인공 일반 지능 (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개발 이고 보통의 인간이 사고 하고 창작 하고 판단 할수 있는 대부분의 역할을 스스로 수행 할 수 있다라는 점에서 인간적인 판단 혹은 윤리적인 딜레마 처리에는 기계적인 판단이 따를 수 밖에 없는 한계를 돌 파 할수도 있느냐가 관건이기도 하다. 이후 더빠른 GPU와 처리 시스템 알고리즘의 학습으로 인간을 훨씬 능가 하는 인지 능력을 보유한 슈퍼 인공지증 (  Artifical super intelligence ) 의 출현이 머지 않았다고 보는 과학자들도 많다. 


만일 이렇다면 더 나아가 스스로 복제 하고 인간을 통제 하기까지 하려는 AI 의 출현을 예측해 볼 수 잇고 인간이 상상 하는 이상으로 똑똑한 네트웍을 바탕으로 위험 한계치를 넘어 선다면 우리 인류와 ai 미래는 예측 조차 할 수 없을 지도 모를 일이다. 

[ SOURCE ;  SK Hynix news room ] 


산업 전반에 걸친 앱과 어플리케이션 ,. 그리고 실제 TV나 세탁기 스피커 , 냉장고 , 를 비롯 수많은 산업 현장과 사무실 에는 이미 로봇의 적용과 인공 AI의 결합으로 최적화의 시험에 돌입 하였다고 보아도 무방 하다. 


자율 주행차량의 경우에도 이미 2-3단게를 학습 추진 하고 있는 단계라고 한다면 4-5 단계도 빠른 기간안에 

달성 될 수 있다고 보고 있고 이경우 운전자의 개입이 불필요한 운전시 위험 상황에 직면 했을때 어떤 방식으로 방어 운전 내지는 사람을 보호 할 수 있는 지는 아직도 윤리적인 테마이다.  대부분의 경우 운전자를 보호 하지만 차량의 반사 회전이나 돌발 상황에서 더 많은 사람이 희생 될 것으로 예상 된다면 공공의 이익을 위해 운전자를 희생 시킬 수도 있는 로봇 머신 이기 때문 이다.... 



전반적 사회전체적, 그리고 세계화는 이러한 신경망 네트웍을 가속화 하고, 사람보다 더 진단이 빠르고 정확한 분야 - 즉 법적인 판단 처리, 의사의 판독이 필요한 영상필름,  바이오 산업에 의한 배양액 임상 시험 에측 시나리오등 모든 분야에 착착 적용이 되어가는 중이다.  선한 목적으로 각 분야의 어렵괴 힘든 일과 기계적인 반복등 인간의 노동과 얼마간의 지능을 대체 하는 선이면 좋겠으나 , 얼마전 OTT로 본 인공지능의 미래에 대한 영화의 단상이 쉽게 떠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 또다른 터미네이터를 우리 스스로가 만들어 가는 것은 아닐까 .. ㅇ오늘의 단상 .. Written by E HAN 


https://youtu.be/n8yGXUh_7mY?si=u6obg9bClcNphp8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