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휘슬블로어 - 세상을 바꾼 위대한 목소리
수잔 파울러 지음, 김승진 옮김 / 쌤앤파커스 / 2021년 10월
평점 :
책 서두에,
『휘슬블로어』는 내부 고발을 결심한 이들이 겪어야만 했던 고통을 잘 알고 있었음에도 우버에서의 일들을 용기 있게 밝히며 결국 세상을 바꾼 수전 파울러의 삶을 담고 있다. 그는 “현대 미국 서부 지역에 존재할 수 있는 가장 깡촌”일 것이라고까지 표현한 곳에서 성장해 정규 교육의 혜택마저 받지 못했지만, 독학으로 아이비리그에 들어갔고 모두가 선망하는 실리콘 밸리에까지 입성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렇게 세상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기 위해 고투하는 사이 보이지 않는 사회적 계급은 그를 “백인 쓰레기”라 낙인찍었고, 남성 중심의 폐쇄적이고 왜곡된 조직 문화에서 일어난 성폭력의 피해자가 되어야 했다. 그렇게 그는 공정하고 평등하게 대우받기 위해 매 순간 투쟁해야 했고,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목소리를 내야만 한다는 것을 깨달을 수밖에 없었다.
‘내부고발자’란 기업이나 정부기관 내에 근무하는 조직의 구성원이나 구성원이었던 이가 조직 내부에서 벌어지는 부정, 부패, 비리, 불법, 예산낭비 등을 폭로하는 사람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양심선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영어로는 ‘휘슬블로어(Whistle Blower)’, ‘딥스로트(Deep Throat)’라고 부른다. 휘슬블로어는 ‘호루라기를 부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영국 경찰이 호루라기를 불어 시민의 위법행위와 동료의 비리를 경계한데서 유래 한다. ‘딥스로트’란 명칭은 닉슨 미국 대통령을 사임에 이르게 했던 1972년 워터게이트 사건의 중요 정보원이 사용한 별명이었다.
내부고발자라 불리우는 희슬 블로어는 , 단지 미투에 한하지는 않는다 사회적 약자를 포함한 반대편에 대항 하는 모든 조직의 한 부분이 그러한 내부 고발자의 지위에 설수도 있고, 한동안 자신이 몸담았던 조직을 배반 한다라는 뜻으로 배신자의 낙인이 찍혀 가면서 , 그러한 사실을 밝히거나 역사에 기록으로 남기는 일도 종종 있다..
하지만 , 자본주의 사회이건 , 기타 사회주의 공산권의 사회이건, 조직의 위계 질서에 도전장을 내미는 일이나 윗선 혹은 상부의 지시를 반박 하면서 자신의 주장을 펼치거나 , 반대 의견을 내는 일 조차 금기시 되는 일이 현대 사회에 이르기까지 왕왕 내려운 일이기도 하다.
여성이어서 더욱 불편 할 수 밖에 없엇던 수잔은 비단 , 사회 활들을 하기 시작 하여 ㅡ 우버에서의 내부 고발자의 역할을 자처 하기 전까지도 대학에서 혹은 소도시 어느 조직에서도 그로한 차별과 성적 간접 차이를 겪어 내어야 했다.
국민의 대부분의 권리인 투표 참정권 또한 , 서방의 민주화된 나라에서도 1900년대 이후 들어와서 한참이나 지난 후였고, 이후에도 여성들에 대한 권리 또한 축소 은페 되거나 과소 평가되는 일이 사회적으로 혹은 회사적으로도 공과사를 나누는 일에도 인색 한 점이 많았다.
이제는 21세기를 살아가는 성평등의 사회라고도 하지만 , 기본 체력과 재능 자질이 사람마다 다른 것처럼 성비로 나누어서 달리해서는 오히려 문제 해결의 근원점에서 멀어져만 갈 뿐이다.
4차 산업 , 인공지눙 , 로봇 데이터로 무장된 현제의 기업 문화는 현제 진행형이고 이러한 내부 고발자들의 용기와 감수로 인해 진일보 했다라고도 할 수 있겠다. 하지만 , 그늘에 가리워진 수맣은 또다른 수잔은 아직도
자신의 밥그롯이 날아 갈까봐 벙어리 냉가슴으로 회사 있는 동한 혹은 조직 에 있는 동안 참아 내어야만 하는 사회적 혹은 성평등의 약자들은 언제나 처럼 바귀어진 매래를 기다려 볼 것인가. Written by E 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