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은 인생이다 - 부동산은 기회다
김현기 지음 / 더로드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동산은 인생이다 -                                         

필자는 ‘부동산고수’가 곧 ‘인생고수’라는 생각을 자주 한다.
부동산의 사용가치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사람들이야말로 성공한 부자라는 사고 때문이다. 부동산이나 사람이나 사용가치가 극대화될 때 존재감이 빛나는 것 아닌가. 부동산과 사람관계가 원활하게 정립될 때 비로소 가치가 빛날 수 있는 것이다. 
사람의 존재가치가 빛날 수 있을 때 부동산의 존재감 역시 빛날 수 있다. 부동산주인의 힘과 역할이 그만큼 중요한 것이다. 부동산을 선용했을 때와 악용했을 때의 차이는 극과 극. 극명한 차이를 보인다. 부동산 고수가 되어야 하는 이유다.


글 주제 이야기 이다. , 저자는 다년간 부동산 관련 컨설팅이나 땅연구가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고 , 도특 하게도 연예 기장 생활을 한 분이다. 


나름 부동산 고수라고 자처라는 그의 이야기를 따라 가노라면 한편의 철학적인 장면과 마주 한다. 우리는 왜 부동산을 바라보고 안달 하고 , 애태우며 , 절망 하는가 ,  물 흐르듯 순리데로 살아가는 것이 인생이라면 부동산의 탄생과 조화 커나감과 변형은 그또한 나무가 대지위에 뿌리를 내리고 사계절의 변화를 받아 들여 새싹과  낙엽을 피고 지면서 대자연의 순리에 맞춰 , 새성 소멸을 하듯 부동산 또한 사람들의 유동과 집단 거주 혹은 일자리의 이동이라는 집합과 분산을 반복 하며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거나 모이는 곳은 지대가 비싸지며 

받댛로 흩어 지는 곳은 지대가 떨어 지는 지역 이다. 라는 말은 일리가 있다. 


거꾸로 책을 읽어 나가자면 권말 부록으로 경기권 뜨는 지역으로 몇게 지역을 망라 한곳이 있는데 아래와 같다. 

부동산은 인생이다 - YES24                                           

권말 부록
땅값상승률, 인구증가율 모두 높은 투자지역

01. 용인의 지역 랜드 마크
02. 하남의 지역 랜드 마크
03. 화성의 지역 랜드 마크
04. 평택의 지역 랜드 마크
05. 시흥의 지역 랜드 마크

--------------------------------------------------------------------------------------------------------------------


상기 지역 부근에 계시는 분들은 한번 시간이 날떄 직접 지역 답사를 해보거나 사람들의 유동성이나 일자리가 몰리는 지역이 어디인지를 살펴 보면 많은 도움이 될 듯 하다. 


우리들 보통의 경우는 신문 지상 혹은 뉴스 메체를 통하여 대부분의 부동산 정보를 접하고 , 서민에겐 친숙한 아파트의 매매가의 등락에는 최근 수년간 등락을 거듭 하면서 많은 사람들의 희비가 엇갈렸다. 단순히 정책적인 사고라고 하기엔 너무나도 큰 갭을 ?  이번 정부에선 만들어 내었고 , 과감하게도 세제 압박 한가지 카드로만 무려 10여회 이상의 부동산 시행령을 개정 하였다.. 그 와중에 그냥 가지고만 있어도 내집가격이 폭등 하는 현장에 있었던 사람도 있었고 아쉽게도 오르기전 피치 못할 사정으로 팔고 나고 전세 난민으로 혹은 월세 난민으로 전락한 사람들도 부지 기수지만 , 대다수는 평균치에 수렴 하지 못한다. 


대체로 이미 기사화 된 지역이거나 뉴스에 한번 이상 회자된 지역은 미래 개발 혹은 도시 철도나 간선 도로망의 확충 까지 인프라 스트럭처의 개발 후 이익까지도 감안된 프리미엄으로 현 시세에 나온다. 


모든 재화가 그렇듯이 낙하하는 지점에엇 낙하물을 잡기는 어렵고 , 상승 하는 수직 곡선에서는 또한 중간을 잡기 어렵다.  물이 흘러 강으로 가고 바다로 간다면 , 강가 어느 길목이나 한켠에 미리 입지를 선점 하는 길이야 말로 고수의 안목이고 탁월한 입지의 선택일 것이다. 


저자는 또한 바람 부는 데로 혹은 발길 닻는 데로 부동산을 탐방 해보라고 한다. 자신과 합일 화된 부동산을 찾는 것은 그렇게 부단한 노력의 결과로서 매듭 짓는 것이고 그것이 어쩌면 또하나의 다른 출발선이 될 수도 있다라는 것에 동의 한다. 


최근 , 20- 30 세대 혹은 직장인들 사이에서 영끌 이라는 신조어가 나오게끔 한것도 이러한 부동산 광풍의 한편의 시나리오가 아닐까 , 이제 아니면 다시 잡지 못할 부동산 이라고 생각 한다면 , 


세상의 이치를 돌고 돌아 , 오르고 내리고를 반복 하지만 유독 제한적인 대지 혹은 토지와 땅 ㅡ 그리고 아파트 등을 깔고 앉은 대지권등은 거꾸로 갈 기미가 없다. 


아마도 , 대한민국 태생 자체가 좁은 땅 떵어리리속에서 , 서울과 경기권을 중심으로 한 일자리 창출이 집중화 되었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이 든다.  저자나 필자 또한 같은 생각이다. 


아무리 인위적으로 지방 분산화를 지지 하고 물리적으로 공기업을 이동 한다고 하여도 작은 움직임만 있을 뿐이고 대세에는 큰 영햘이 없다. 


다시 입지론적인 지점과 부동산의 투자 타이밍 적인 장면 으로 돌아가자면 , 이전 광명시권역 개발과 ,기타 제2외곽 순환 도로 선상에 있는 주요 시, 군 , 구 들이 또한 다움 상승장에서의 주목 되는 행보를 보이지 않을까 합니다만 , 여전히 부동산은 또한 심리적인 이슈도 상승과 하강을 받복 하는 게임이기데 누가,  언제, 어떯게 그 호재를 잘 받 아 들이고 미리 그 지역을 알고 찾아 들어 갔는가 하는 점은 투자자의 정보 능력과는 별개로 작용 할 수 도 있겠습니다. 


결론적으로 고수의 부동산 인생의 고수 그 자체는 조급하지 않게 미리 그러한 흐름과 변화를 내어다 보는 점이 일반 투자가 들과 다르다고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기회비용 적인 측면을 고려 하더라도 , 인생의 몇 번은 기회가 온다고 하지만 준비되지 않은자의 기회 라는 것은 아무도 모른체 그 지점이 지나가 버려 결과만을 나중에 알아 차릴 때 입니다. 반복 되는 일상에서 무슨 큰 변화를 그릴 수 있느냐고 반문 하는 사람 또한 , 매일 매일 의 노력과 관점의 공부는 분명 다른 사람관는 차별화된 안목을 키워 줄 수 있고 , 이는 인생을 살아 가는데 있어서 부동산 뿐 만 아니라 본인의 일처리와 업무 수행 능력에 있어서도 등과 관계를 이룹니다.  부디 이글을 읽는 모든 분들이 성공 하고 건승 하시길 바라는 마음 가득 금주 부처넘 오신날을 맞이 하여 빌어 봅니다... 오늘은 이만 .. Written by E HNA 고수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