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하필 교도관이야? - 편견을 교정하는 어느 직장인 이야기
장선숙 지음 / 예미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왜 하필 교도관이야 ]  여자 교도관이 책을 냈다.. 교도소 관련 이야기라 처음 부터 선입관이 있겠지만, 그곳 또한 사람들이 생활 하는 곳 이고 , 경중에 따라 사안이 달라지는 곳이기도 한다. 교정 시설이라고도 불리우며, 구치소, 교도소라고도 한다. 여자 교도관으로서 또래의 수형 생활을 같이 동거 동락 하듯이 지켜 내면서 일부 기쁨과 슬픔도 교차 한다고 적는다.


일반인들이 느끼는 수형 생활이란 어떤 것일까.. 대리 체럼 해볼수도 없는 어쪄면 페쇄적인 공간에서 혹은 어떤자는 중죄를 지어서 어느 날이 될지 모르는 사형수의 시간을 초조 하게 기다리고 있다.


교도관도 사실 교정직 공무원에서 부터 출발 하지만, 일반 행정직이나 다른 공무원들과는 달리 근무 장소가 제한적이다 보니 어찌할 수 없이 거의 출퇴근만 자유로울 뿐 , 근무지 자체가 수형자들 속에 섞여 생활 하며 그들을 감시 하고 혹은 질책 하며 보듬어 주기도 하면서 , 새사람을 만들기위한 전초전을 치른다.


교도관의 직무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 우선적으로 다시 이곳으로 돌아 오지 못하게 재발 방지 차원에서 여러가지의 인성 교육과 체럼, 프로그램, 인문학적 교류, 그리고 뛰어난 강사진의 섭외로 한 시간이라도 더 수형자들에게 감동을 주고 도움이 될 만한 일들을 몸수 찾아서 한다.


시대가 변하여, 예전 보릿고개 시절 처럼, 꽁 보립밥에 콩밥으로면 하루 한 두끼를 연명 하는 것이 아니라 흰 쌀밥에 3찬 - 4찬이 배식 되는 요즈음은 군대 생활 과도 같이 상당히 배식 수준이 향상 되었다..


가족, 그리고 정, 이웃, 이러한 부분이 원할 하지 못하면 사회로 부터 겪리 당할 고충이 크다. 어려서 부터 부모의 품에 안겨 보지 못한 비뚤어진 인성 혹은 자라면서 학대와 온갖 고초를 격어 수형 생활이 오히려 편하다고 하는 자 .


밖에서의 마약 습관을 벗어 나기 어려워 , 자진 하여 교도소에 수감 되어 , 약의 찌든 때를 벗 겨 보고자 힘쓰는 사람 ..

삼라만상의 모든 군상이 한곳에 있다... 염라 대왕이 있다면 우선 분류 일 순위가 악행을 행한자들의 지옥불이 이곳일까 .


하지만, 천성적으로 사람이 죄를 짓고 태어나지 않는 이상 후천적인 잘목된 친구들의 교류나 환경으로 인해 혹은 무지 해서 빠진 보이스 피싱, 시기, 강도 기타 , 더욱 심한 범죄 행위 에도 한편의 기다람과 기댈 수 있는 언덕이 있다라면 이곳에서 근무 하는 교정직 공무원들이 그들 일듯 하다. 


마다 하지 않는 심한 중압감과 , 스트레스는 일반적인 정도를 넘나 들수도 있어서 누구인들 천성적으로 이곳 교정직을 근무 하기를원치는 않을 수도 있으나, 변화 하는 시대롸 사회상 처엄, 우리들의 일글어진 얼굴과 영웅들을 바로 잡아줄 수 있는 최후의 보루 버팀목임을 자처 할 수 있는 그들이 있기에 우리 사회는 안전 하게 돌아 간다.


평안함의 이면에는 이러한 감추기 싫어 하고 본 모습을 피하려는 인간 본성이 있다.. 불편해 하는 이웃과 서로 소통이 되지 않는 사람이라도 어느 정도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면 , 누군가는 용서의 마음으로 다시 태어날수도 있다..


어려운 생각, 직접 당사자가 아닌 이상 용서라는 것 조차 사치 스런 일인 줄 알지만 못내 감추어든 비수처럼 자신을 감내 하는것  사회적인 온갖 멸시를 감내하며  살아내는 것 , 물론 감당 하여야 하는 처벌을 받을 자는 당연히 그 값을 지불 하여야만 나갈 수 있는 곳 , , 교도관들의 정성어린 도움으로 그 시간이 단축된 자들은 또한 얼마나 축복받은 인생일까,

잔여 나머지 시간들이 더는 부자유 스럽고 낭비 되는 시간들이 아니었음을 같은 세상이지만 다른 세상 처럼 살아 가는 또다른 이들에게 힘을 드린다.. 책력거99 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