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모델 4.0 - 저성장.대변혁의 파고를 어떻게 넘을 것인가
박대순 지음 /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지니스 모델 4.0 ]  18세기 산업 혁명기를 거쳐 200여년이 지난 현대 사회에서는 그동안 겪어 보지 못했던 기업 문화와 발명 , 별견 , 신기술등이 하루가 다르게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전 100여년 전만 같으면 그다지 빠르지 않은 속도로 자신의 공장의 일감이 떨어지지 않을정도 노동과 생산성을 보이며, 성장 가능한 기업으로의 변모도 꽤하였다. 그러나 2차 산업쳑명에서 1900년대 1차 2차 세계 대전을 겪은 인류는 공핍과 대공황의 트라우마가 있다 , 경제학자 애덤스의 보이지 않은 손의 존재를 넘어서는 그 못엇이 최근 도래 하고 았는 4차 산업 력명에 따흔 변곡점이 이미 시작 되고 있다라는 점이 시사점이다.


기업이던 개인이던 생존 요건은 비숫 할수 있다. 일정 규모의 가동성과 생산성이 있어 수요과 공급이 균형을 이뤄야 하고 너무 치우치지도 않아야 한다. 이전 기업의 흥망의 요건이 생산성과 더 빠른 개발 과제에 있엇따고 한다면 인터넷 시대를 지나오는 오늘날의 세대는 융복합 산업이 현재를 리드 하고, 이전에는 서로 경쟁이 될 법 하지 않는 산업군이 겹쳐서 서로 경쟁 구도를 나타낸다.   좋은 예로 , 이전 나이키의 경쟁 상대는 아디다스 엿다면 이후 인테넷 시대에는 게임과 같은 S.W가 운동화의 경쟁자이다, 실내에 머무는 시간이 많은 10대들에겐 운동화를 신고 농구하러 갈일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


짐 콜린스 , 그의 첫번째 역작이 " Good to great " 여서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의 발굴과 발자취를 찾는데 지난 10여년의 시간을 쏟아 부었다면 , 근래에 나논 , 그많은 위대한 기업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가 -- 제 4차 산업 혁명에 있어서의 생존을 가늠 하게된 변곡점이 아니었을까...


기존의 비지니스 모델과 전략만으로는 다가올 제너레이션에 쉽게 대응 하기가 어렵 다라는것이 저자의 생각이다.  흔히들 매머드급 큰 회사들의 회전 반경은 무척 커서 , 시행착오로 잘못된 선택의 길로 들어 섰다라는 것을 알아도 관성적으로 한번에 되돌리기 어려운 법이다.   개발와 연구, 생산의 삼위 일체를 이전의  기업의 균형잡힌 생산 체계및 발전상이라고 한다면 , 이제는 급변 하는 혹은 그 변곡점이 어느 지점인지를 미리 예측 하기가 어려운 시대 , 리스크 헤지를 위한 여러 가지 방편을 준비하여 가는 수밖에 없는 일이다.


최적화의 방식을 알더라고 , 그 변수를 제한 하는 현실의 변곡점은 또다른 이야기이기 때문에 늘 지표를 수정 하여야 할 일은 차고 넘친다.   미래는 더욱 빠르게 오고 변화는 어느 순간 이뤄져 , 기업의 존망이 기로에 서게 되는 일이 종종 있다. 코닥이 필름업계의 왕좌를 군림하면서 한순간에 쇠락의 길을 걸었고 , 소니의 MP3 나 , 닌텥도의 게임기 또한 에플의 혁명적인 진화를 받아 들이기 어려웠다,  완전한 쇠락 곡선을 그리기 전 까지 말이다.


누군가에겐 새로운 시사점이 될 변혁이지만 기존 기업들에게는 지옥의 변주곡일 수도 잇는 것이다.


현제를 알고 미래를 준비하는자 , 위럼에 빠지지 않을 리스크 관리를 다가오는 변수 및 지표 변화관리를 해나가면서 비지니스 모델의 여러 방식을 섭렵해서 시도해 보는 것또한 좋은 일일 것이다. , 변하지 않는 기업 가치 사슬은 고객과 핵심 자원 , 그리고 수익을 낼 수 있는 마케팅 구조인 것이다.  세상에는 수많은 비지니스 모델이 있지만 정작 실행에 옴기고

그 해당 기업에 맞는 방식은 또한 다른 것이다.


신사업, 혹은 사업 다각화를 시도해볼 계획이 있는 기업들은 또한 반드시 성장 비지니스 모델을 나름 자신들의 회사 이익 실현가치와 동반 상승 할 수 잇는 시나리오를 준비 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준비 사항에 비니지스 캔버스 를 활용한

가치를 창출 하고 , 획득 하는 원리를 9가지 요소로 분석 하고 설계하여 최대의 성과치를 내게 한다.


9가지 요소를 간단히 인용 하면- " 고객은 누구 이며,  (고객 세그먼트 ) , 고객과는 어떤 관계를 맺으며, 수익은 어떻게 창룰 하며, 중요한 자원은 무엇이며 ( 핵심자원) , 중요한 활동은 무엇이며 ( 핵심 활동) , 자원과 활동을 지원할 파트너는 누구이며 ( 핵심 파트너 ) , 자원과 활동에 어떤 비용이 발생 되는가 ( 비용 구조 ) 등  입니다.  이러한 혁신은 9가지 요소들 개별적으로 개선 혹은 재편 하는 것이지만 결국 상호 시너지 있는 결과물을 만드는 것에 주안점이 있다.


그외에도 다른 많은 종류별 비지니스에 따른 정량적 정성적인 분석 기법을 활용 하여 지표 관리하수 있는 시스템은 회사별도 개별 적용을 해 보아야 할 것이다.


결국, 그러한 시스템 운용이나 방법론도 그안의 구성원인 사람들이 결정하고 , CEO가 판단 내려야 할 이슈 이다.

제대로된 방식으로 기업이 운용 되고 발전적인 방행으로 가기 위해서도 이러한 비지니스 모델별 전략적 적용이나 시물레이션은 반드시 필요로 한다고 할 수 있다.


작은 기업에서 , 큰 기업 그리고 지속 성장 해 나가는 기업의 베이스와 저력은 과연 무엇인지가 궁금해지는  99.999 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