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지프 신화 - 부조리에 대한 시론 현대지성 클래식 66
알베르 카뮈 지음, 유기환 옮김 / 현대지성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포스팅은 현대지성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 작성했다.


<시지프 신화>는 프랑스 실존주의 문학을 대표하는 알베르 카뮈의 철학적 에세이로, 인간 존재와 삶의 '부조리(absurd)'를 통찰하며 "삶은 과연 살아갈 가치가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철학자가 아니더라도 우리는 살면서 이런 질문을 한두 번 자신에게 던져봤을 것이다.


그리스 신화 속에서 시지프는 신들을 속인 죄로 거대한 바위를 산꼭대기로 굴려 올리는 형벌을 받는다. 하지만 바위는 꼭대기에 도달하면 다시 굴러떨어지고, 시지프는 그것을 끝없이 반복해야 한다. 카뮈는 이러한 반복을 '부조리'라 표현하고, 인간의 삶 역시 유한성과 죽음을 인지하면서도 계속 살아가야 하는 부조리한 상태라고 설명한다.


우리 삶도 되돌아보면 하루하루 끊임없이 반복된 삶을 살고 있다. 우리가 살아가는 반복적인 삶이 형벌이라고까지 하긴 어렵지만 나아지지 않는 삶은 다람쥐 쳇바퀴 돌듯 미래가 없다. 따라서 그런 삶은 회의가 들 수밖에 없다. 알베르 카뮈는 <시지프 신화>에서 이 이야기를 '부조리(absurd)'의 은유로 사용했다.


여기서 말하는 부조리란, 인간은 삶의 의미를 찾고자 하지만, 세계는 침묵하고 아무런 답을 주지 않기에 느끼는 근본적인 괴리감 같은 것이다. 카뮈는 시지프가 바위를 끊임없이 밀어 올리는 행위는 부조리하지만, 그 운명을 의식적으로 받아들일 때 오히려 자유롭다고 봤다.



그러나 카뮈는 시지프를 비극적 인물이 아니라, 오히려 부조리한 현실을 인식하고 맞서 싸우는 '의식적인 존재'로 해석한다. 그는 "시지프는 행복해야 한다"고 말하며, 의미 없는 노동 속에서도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받아들인 시지프의 자세야말로 진정한 인간의 태도라고 본다. 이는 단순한 체념이 아닌, 현실을 똑바로 응시하고 의미를 부여하며 살아가려는 철학적 태도다.


이 책은 부조리의 추론, 부조리한 인간, 부조리한 창조, 시지프 신화, 그리고 부록으로 프란츠 카프카의 작품에 나타난 희망과 부조리의 4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조리의 추론'에서는 인간이 세계와 맞닥뜨리는 부조리한 상황을 사유하고, '부조리한 인간'에서는 역사 속 다양한 인간 군상들의 실존을 조명한다.


'부조리한 창조'에서는 예술이 어떻게 부조리 속에서 의미를 창조할 수 있는지를 조명하고, 마지막으로 '시지프 신화'에서 카뮈 철학의 정수를 보여 준다. 즉, 카뮈는 부조리를 인식한 후 자살이 아닌 '반항'과 '수용'을 통해 살아갈 것을 권유한다.


<시지프 신화>는 단순히 고전 철학서만으로서의 존재 가치를 넘어 부조리한 현실에 대해 고민하는 모든 이들에게,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묻고 사유하게 하는 책이다. 따라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카뮈의 철학적 통찰은 여전히 유효하다. 카뮈는 허무주의에 빠지지 않으면서도 부조리한 현실을 직시하는 태도를 제시하며,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이 있는 사유를 이끌어내고 있기 때문이다.



<시지프 신화>는 현대인의 삶에 깊은 통찰을 제공하는 작품이다. 현대 사회에서 우리는 끊임없이 의미를 추구하지만, 기대와 현실은 자주 어긋난다. 이때 카뮈는 우리에게 현실을 외면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인식하라고 조언한다.


즉, 부조리를 인식하면서도 당당히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을 통해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가 어떻게 의미를 찾고 삶을 이어가야 할지를 생각해야 한다고 일갈한다. 이 책은 고전이지만, 여전히 우리 곁에서 질문을 던지고 답을 찾게 하는 살아 있는 철학서다.


<시지프 신화>로 자기 삶을 되돌아보았다면 카뮈의 다른 작품인 <페스트>, <이방인> 등도 함께 읽어보길 추천드린다.



* 출처 : 박기자의 끌리는 이야기, 책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