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OKR 파워 실천편 - K-OKR로 성과내는 24가지 방법 ㅣ OKR 파워
신주은.홍효인 지음 / 가인지북스 / 2023년 11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109/pimg_7732051274148870.jpg)
2024년 갑진년 새해가 시작됐다. 지난주에는 시무식을 겸해 직원들과 함께 점심을 먹으며 새해에는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지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보냈다. 새해가 시작된 지도 벌써 일주일이 넘었으니 시간 참 빨리 간다는 말을 새삼 실감하게 된다.
그런데 새해에는 어떻게 해야 업무 성과를 높일 수 있을지 고민이다. 지난해와 비교할 때 달라진 것은 없을까? 어쩌면 올해도 지난해와 별반 다르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다 보니 연초지만 이런저런 생각과 고민들로 잠못 이루는 시간들이 늘고 있다.
최근에 기업의 성장과 관리에 도움이 될 만한 책이 새로 나와 눈길을 끈다. <OKR 파워 실천편>은 기업의 교육과 컨설팅을 담당하고 있는 가인지컨설팅그룹에서 지난 2020년 국내 OKR 사례를 담아 소개한 <OKR 파워>의 후속작이다.
이 책에는 구글의 성과관리 방식인 OKR을 기업 현장에서 컨설팅과 교육을 했던 경험들을 모아 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국내 OKR 사례들을 소개했다. 또한 OKR로 성과관리부터 평가와 보상까지 실행 방법과 사례도 담겨 있다.
p.24
OKR을 단순히 성과관리 도구로만 생각한다면 큰 오산입니다. OKR은 목표설정 도구이자, 소통을 활성화하는 문화이며, 조직의 실력을 키우는 도구입니다. 가인지컨설팅그룹은 다양한 조직에 OKR을 적용하면서 OKR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3가지의 요소가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p.77
각 사업부, 팀에서는 우리 회사의 올해 전략적인 방향성이 공유되면 이 목표가 달성되는 방향으로 OKR을 수립합니다. 만약 개인 OKR이 이 방향성이 맞고 관리될 수 있다면 문제 되지 않으나 우선순위에 맞는 개인의 OKR이 맞는지 리더와 팀원이 소통하면서 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109/pimg_7732051274148873.jpg)
이 책에서 소개한 다양한 OKR 사례들은 구글이나 다른 글로벌 기업에서 적용했던 것으로 큰 업체가 아닌 우리 회사에서도 잘 맞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그동안 성과 관리를 위해 다양한 방법들을 시도해 봤지만 기존에 해오던 방식에서 완전히 벗어나진 못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말하는 OKR의 핵심은 기업에서 잘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기업이 바라보는 도전적인 목표를 수립하고 달성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해 나가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OKR 목표가 설정됐다면 성과관리를 위한 소통법 'CFR(Coversation, Feedback, Recognition)'을 올바르게 적용해야 한다. 이를 통해 OKR을 시행해오고 있는 기업들은 직원들과 소통과 하는 것은 물론 일하는 방식에서 변화를 이끌고, 혁신적인 지식들을 지속적으로 발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고 한다.
이 책의 저자인 신주은 가인지컨설팅그룹 센터장은 OKR이라는 성과관리 방법론이 5년 전 신선함 주었던 도입기를 지나 성장기에 들어섰다며, OKR을 선도적으로 도입한 기업들이 한국적 비즈니스와 노동환경 속에서 어떤 변화를 보여주었는지에 대해 소개했다고 밝혔다.
또 다른 저자인 홍효인 가인지컨설팅그룹 책임연구원은 이 책을 통해 우리 회사도 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엿볼 수 있길 기대한다며 각자의 삶에서도 OKR과 함께 사명과 목표에 집중해 열매를 맺길 바란다고 말했다.
p.107
우리는 OKR 뿐만 아니라 협업하는 일을 하다 보면 '미팅'을 해야 하는 경우들이 참 많습니다. 그럴 때 협업 툴에서 리더, 동료들의 일정을 미리 안다면 미팅 시간을 이에 맞게 세팅하고 진행하고 나의 일정 또한 조정하며 관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p.142
지금 하고 있는 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 지속적으로 '행동'에 초점을 두어 원인을 찾아 개선해 나가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계획하고, 실행하고, 돌아보는 과정이 있어야만 우리가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에 가까워지고 성장하는 나와 우리 팀을 마주할 수 있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109/pimg_7732051274148874.jpg)
오랜 시간 같은 곳에서 일하다 보면 반복된 패턴으로 주어진 일을 쳐내고 새로운 일도 비슷한 패턴으로 하기 마련이다. 중요한 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서 전문가가 될 것인가에 있다. OKR은 자신의 분야에서 전문가들을 양성하는 한편 관리하고 지속적으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독려한다는 점에서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현재 OKR을 도입해 활용하고 있는 회사는 물론 아직 검토조차 시도해 보지 않은 업체에 있다면 OKR에 관심을 가져보시기 바란다. 업체마다 업무들을 처리하는 방식은 조금씩 다르겠지만 성과를 내고 그 성과를 바탕으로 더 발전해 나가길 바라고 있을 것이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24가지의 OKR 실천 방법은 단순히 이론적인 설명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는 업체들의 실제 사례들을 통해 어떻게 업무에 적용해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새해 새로운 목표를 세우고 도전하고 있다면 전 직원이 함께 읽고 자사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연구해 보시기 바란다.
이 포스팅은 가인지컨설팅그룹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 작성했다.
* 출처 : 박기자의 책에 끌리다, 책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