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는 착각 - 뇌는 어떻게 인간의 정체성을 발명하는가
그레고리 번스 지음, 홍우진 옮김 / 흐름출판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누구인가?’ 이 질문에 보통 사람들은 ‘현재의 나’를 설명할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현재의 나(我)는 그저 망사일 뿐이라고 말한다. 현재의 나는 잘나의 순간에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찰나의 순간에 현재의 나는 이미 과거로 미끄러져 가고 있다는 이야기이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현재를 산다고 생각하지만, 실질적으로는 과거에 갇혀 살고 있다는 논리이다.

여하튼 저자는 자아는 수많은 사건 중에서 특정한 부분을 편집하고 맥락을 이어붙인 기억의 집합이라고 말한다. 즉, 내가 나와 세상에 들려주는 ‘나에 대한 편집된 이야기’이며 우리는 무수히 많은 자아를 가진 채 살아간다는 것이다.

이제 보니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은 정말 난해하고, 까다롭기 그지없는 질문인 것 같다.

『나라는 착각』은 자아 정체성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자아 정체성에 관한 질문은 결국 자기 인식에 관한 탐구로 이어지므로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관한 여정으로 이어진다.

이 책은 우리의 뇌가 우리의 삶에 대한 서사를 어떻게 구성하며 그 서사가 어떻게 우리의 자아 정체성을 발명하는지 밝힌다.

뇌가 자아 정체성을 발명한다는 표현이 인상적이다.

우리 안에는 과거, 현재, 미래라는 3명의 내가 산다. 일반적으로 과거, 현재, 미래의 자아는 하나의 존재로 매끄럽게 결합하기에 인간은 자신을 단일한 존재로 인식한단다.

또한, 의식의 형태를 과거와 미래에 연결하는 것이 나에게 독특한 정체성을 선사하기 때문에 자아 정체성의 비밀을 풀기 위해서는, 우리 뇌가 어떻게 현재의 나를 과거, 미래의 나와 연결하는지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내가 지금껏 나라고 믿었던 것들은 나의 뇌가 만들어낸(발명한) 서사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하니 좀 허탈하다. 이왕이면 좀 더 괜찮은 나를 만들 수도 있었을 텐데.

그래도 나의 뇌로 흘러 들어오는 정보를 정리하는 데 어떤 서사가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즉, 내가 믿고 있던 정체성의 근원을 찾아내는 과정은 나름 재미있었다.

그리고 아직 미완성인 나의 서사를 어떻게 잘 활용해서 더 나은 서사로 만들 수 있을지도 고민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