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 밖의 고사성어 - 일상이 새롭게 보이는 뜻밖의 네 글자 25
채미현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봬누, 중꺾마, 별다줄 등 외계어 같은 이 말들은 신세대들이 즐겨 사용하는 신조어이다.

내봬누는 ‘내일 봬요 누나’의 줄임말이고, 중꺽마는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 별것을 다 줄인다’의 줄임말이다.

바른 말 사용을 하지 않고 별다줄한다고 눈살을 찌푸리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줄임말로도 의미가 다 통하는 대화를 하다 보면 재미있기도 하고 색다른 말맛을 느끼기도 한다.

고사성어를 검색해 보니 다음과 같이 나와 있었다.

고사성어(故事成語)는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한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전근대의 중국에서 일어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가리킨다. 단어 길이는 네 글자가 가장 많지만 짧으면 두 자(예: 完璧)부터 길면 열두 자(예 : 知命者不怨天知己者不怨人)나 된다. 속담과 용법이 같으나 언어적으로 그 형태는 다른데, 고사성어는 관용 단어인 반면 속담은 관용 문구다. 물론 고사성어가 한문에서는 문장이 되는 경우가 많으나, 한국어 안에서는 엄연히 하나의 고사성어 전체가 한 단어처럼 쓰이고 있다.

나는 고사성어가 신조어와 참 닮았다고 생각한다.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자연스럽게 문장이 되는 경우가 많지만, 라떼 세대에게는 그저 한 단어처럼 쓰이는 것도 비슷하다.

또한 고사성어를 통해 역사적인 일들을 알 수 있는 것처럼 신조어가 생겨난 유래를 보면 현 사회의 분위기나, 젊은 세대들의 가치관 등을 이해하게 된다는 점에서도 그렇다.

고사성어는 보편적인 교훈이나 내용을 압축하여

전달하는 말의 ‘경제성’과 ‘간결성’을 갖추고 있다.

『상식 밖의 고사성어』는 처음 생겨날 때의 뜻과 정반대 또는 전혀 다른 뜻으로 쓰이는 고사성어에 대해 풀이하고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글이나 언어가 시대를 반영하지 못하고 본 의미만 고집한다면 자연스럽게 사용되지 못하고 사라질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말과 글도 진화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수백 년에서 수천 년을 굳건히 견뎌낸 고사성어에는 시대를 관통하는 무엇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생각한다.

진화하면서 처음 생겨날 때와는 전혀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고 해도 그 말이 사라지지 않고 남아 있는 것에는 또 다른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 언어가 진화되는 과정과 왜 사라지지 않고 사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도 유의미하고 재미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