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을 뒤엎는 돈의 심리학 - 돈을 보는 관점이 그 사람의 인생을 좌우한다
저우신위에 지음, 박진희 옮김 / 미디어숲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심리학 관점에서 출발해 돈과 자기 자신을 바라보는 시각을 새롭게 정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이다.

저자는 ‘돈의 심리학’의 연구 목적은 돈과 사람의 정서, 인간관계, 행동 그리고 각종 전략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등을 포함한다 말한다.

돈은 인간의 심리를 조종하고, 인간의 심리는 다시 돈을 통해 외부 세계로 표출된다. 따라서 그 사람이 돈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보면 그의 인성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한다.

돈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대단하다는 것을 살면서 많이 목도했고, 체험했기에 저자의 이 말에 동조할 수밖에 없을 것 같다.

‘가난한 사람의 사고방식’이나 ‘부자의 사고방식’ 같은 말은 돈 관련 책에 항상 등장하는 단골 문장이다. 그래서 돈이 인간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어렴풋이 알지만 정확한 메커니즘은 이해하지 못한다. 이 책은 이 메커니즘을 속 시원하게 알려준다.

한 사람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사람의 돈이 어디로 가는지 보면 된다는 점이 신기하다.

나는 관상학은 과학이라고 생각한다. 나이가 들수록 자신의 얼굴에 책임을 져야 한다는 말을 실감하고는 한다.

명리학이나 관상학이 모두 통계학과 관련된 것을 생각해 보면 돈을 사용하는 통계를 통해 한 사람의 심리를 어느 정도는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 근거 있는 주장이라 생각한다.

얼마 전에 읽은 책에서 물건을 정리하면서 못 버리는 물건을 살펴보면 자신이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알게 된다는 내용이 있었다. 이것도 '돈의 심리학'과 같은 원리인 것 같다.

책에 따르면 돈 쓰는 방식, 우리와 돈의 관계를 종합해서 돈 문제와 관련된 5가지 유형이 있다고 한다.

안절부절형, 햄스터 형, 행복형, 허세형, 회피형이 그것이다.

나는 안절부절형에 가까웠다. '아무것도 안 하기보단 뭐라도 하는 것'을 선호한다. 내가 스스로 안절부절형이라 생각한 결정적인 단서는 주식이다. 주식에 잠시 투자한 경험이 있는데 매수와 매도를 반복하다가 손해를 봤다. 나는 주식을 매수한 순간부터 조바심이 일어서 참을 수가 없었다. 수익을 얻는 것은 뒷전이고 돈이 움직이지 않으면 불안했다. 그 경험으로 나는 주식 투자와는 거리가 먼 사람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아무튼 나는 이 책에서 말하는 안절부절형이라 할 수 있다.

돈을 버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이 아니라 돈을 대하는 나의 심리를 알아보고,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점이 신선하고 좋았다.

<오은영의 금쪽같은 내 새끼>라는 프로그램을 보면 아이들의 문제가 심리 상담만으로도 놀랍도록 개선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돈의 문제도 심리를 잘 알고 개선한다면 경제적인 면이 많이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돈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한다면 돈을 사용하는 모든 사람이 읽어야 할 책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