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가, 퇴직 교사, 유치원 원장, 전문강사 등 다양한 분야의 작가들이 이 책 한 권에 모였다. 7명의 작가들이 첫 글을 쓰게 된 동기부터 출간 기획서를 쓰고, 출판사 계약 이후 책이 출간되기까지의 과정을 각자의 개성대로 이야기한다.
다양한 분야, 다양한 연령대 작가들이지만 공통적으로 한목소리를 내고 있는 한 가지가 있다. 바로 책 쓰기는 정말 매력적인 일이라는 것이다.
이삼현 작가는 글쓰기를 신호등에 비유했다. 글을 쓰다 보면 내 마음이 안심하는 빨간 불이 보인다고 했다. 잘 사는 줄 알았지만 그렇지 않았음을 느끼고, 그게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알아버린다는 것이다. 그래서 문제가 더 커지기 전 미리 고칠 수 있다고 한다.
일기를 써 본 경험으로 글쓰기가 문제를 객관적으로 해석하고, 나를 성찰하기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임은 익히 알고 있었지만 이삼현 작가의 글을 읽으니 글쓰기의 효용에 대해 더 확실히 알게 되는 것 같다.
누가 쓰라는 사람도 없지만 책을 쓴다는 상상만 해도 손이 오그라들어서 없어질 것만 같이 부끄럽다. 나 같은 아줌마가 무슨 글을 쓸 수 있을까 회의감의 든다.
김승환 작가는 내 글이 누군가에게 읽힌다는 건 어쩌면 드넓은 광장 한가운데 눈을 가린 채 홀로 서 있는 기분일지도 모른다고 표현했다.
정말 딱 저 기분일 것 같다. 아니 한 발 더 나아가 눈을 가린 채 벌거벗고 서 있는 기분일 것 같다.
그럼에도 세상 사람은 내 글에 생각만큼 관심이 없으며, 관심이 있다면 그건 읽을 만한 글이라는 신호이니 걱정할 시간에 일단 펜을 들라 말한다.
이 말을 들으니 독자가 나 혼자라고 해도 일단 써 보면 어떨까? 하는 용기가 슬그머니 생기는 기분이다.
김성주 작가는 사람은 누구나 보석 같은 생각이나 보배로운 경험을 마음에 담아 놓는다고 한다. 그러한 생각이나 경험을 이 세상에 책으로 남기고 싶다면 망설이지 말고 이 책을 읽으라 권했다. 그리고 일곱 작가 중 누구에게라도 메일로 자문을 구해보라 말한다.
책 한 권에 일곱 명의 작가를 만날 수 있다는 점은 아주 매력적인 포인트이다. 그리고 이렇게 자문도 자처해 주니까 더 반갑다.
책 쓰기가 꿈이라면 이 자문권 하나만으로도 이 책을 읽을 가치가 충분하다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