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면의 악마, 그리고 가장 깊고 어두운 감정들과 마주한다고 생각하니 사실 조금 겁이 나기도 했다. 하지만 안 보고는 못 견딜 것 같다. 공포 영화에 보면 두려움에 떨면서도 꼭 확인해서 험한 꼴을 당하는 주인공처럼 말이다.
책은 우리가 어두운 반쪽을 받아들일 때 비로소 온전한 인간이 된다고 말한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작품 대다수가 매혹적이며, 상당히 아름다우면서도 불편하고, 충격적인 주제를 담고 있다.
저자는 이 작품들이 단지 공포를 위한 공포를 전달할 의도가 아니라, 이는 전개될 내용에 대한 일종의 경고라고 말했다.
이들 작품이 다루는 주제와 모티프 전반은 괴로움과 불편함을 불러일으킬지도 모르지만, 미리 경계하며 조심스럽게 한 페이지 한 페이지 숙독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호사가들 사이에서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그의 아파트 벽에 걸었다고 전해지는 그림 헨리 퓌슬리의 <악몽>이 인상적이었다.
초상화나 풍경화, 문학과 역사를 묘사하던 18세기 후반에 이렇게 기이한 그림을 보고 사람들이 얼마나 충격을 받았을지 짐작이 된다.
퓌슬리는 이 작품으로 유명해지고, <악몽>은 공포의 아이콘이 되었다. 또한 여러 세대 동안 신비의 영감이 되고 상상력을 자극했다고 하니 참 아이러니하다.
이 책의 목적은 매우 선명하다. 독자들이 어둠을 부정하는 대신 어둠과 연결점을 만들고 거기서 찾을 수 있는 모든 경이로움과 영감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감정은 부정하면 부정할수록 커진다. 물론 그 감정 중에서 두려움도 포함된다. 내면의 악마와 어두운 감정들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외면하거나 방치하기보다는 직면해서 제대로 다스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현명하다 생각한다. 예술은 그렇게 할 수 있는 데 용기를 주는 훌륭한 도구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