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 써봅시다 책이 뭐라고 - 일상이 콘텐츠가 되는 하루 30분 프레임 책 쓰기
신선수 지음 / 청림출판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된 삶을 벗어나고 싶었지만, 주변에서 멘토를 만날 수 없었던 저자는 독서를 돌파구로 삼았다. 

교보문고 앞 건물 벽에 걸려 있는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라는 말에 감동을 받아 책을 읽기 시작한 후로 독서는 삶의 가장 중요한 일부가 되어 일하는 시간과 잠자는 시간을 빼고는 늘 책을 읽었다고 한다.

그렇게 10년이라는 세월이 흐른 어느 날 문득 책만 읽는 수동적인 자기계발에서 책을 쓰는 능동적인 자기계발로 나아가야겠다 마음먹게 된다. 

하지만 3년 동안 책을 쓰기 위해 도전했지만 끝까지 완성하지 못한다. 그 후 절치부심하여 다시 책을 쓰기 시작하여 1년 만에 첫 책인 《한 시간에 끝내는 영어 말하기의 모든 것》이라는 책을 출간하게 된다.

저자가 처음 3년간 썼던 책은 실패하고, 나중에 쓴 영어책은 출간할 수 있었던 비결이 바로 ‘프레임 책 쓰기’의 기술을 발명이라고 한다.

저자는 이 책을 읽는 독자들도 변화에 대한 열정과, 이 책에서 말하는 방식을 따르면 누구나 책을 낼 수 있다고 확신했다.

삶의 변화를 꿈꾸지만 실패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현실에 안주하며 사는 사람들이 많다. 

이에 저자가 말하는 책 쓰기의 좋은 점은 꽤나 설득력이 있다. 

책 쓰기가 좋은 점은 실패를 하더라도 기존의 삶이 무너질 우려가 전혀 없다는 점에 있다.

출간을 못했다고 해서 큰일이 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정말 열심히 준비해서 책 출간에 성공한다면 당당하게 한 분야의 전문가로 인정받고 경제적인 보상도 충분히 받을 수 있다.

게다가 책을 쓰면서 축적한 지식과 경험은 내 삶을 발전시킬 밑거름으로 남는다.

듣고 보니 책 쓰기는 장점은 많은데 무단점에 부작용이 없다는 것이 단점이니 안 하는 것이 바보라는 생각마저 든다.

거기다 책 쓰기는 실패가 없다(출간이 목적이라면 출간될 때까지 쓰면 되기 때문)고 하니 이 얼마나 매력적인 일인지 모르겠다. 

책을 쓴다는 일은 보통 사람들에게는 꿈도 못 꾸는 일이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나면 제목(『한번 써봅시다 책이 뭐라고』)처럼 ‘책이 뭐라고 까짓것 한 번 써봐?’라는 생각이 들지도 모른다. 그만큼 책 쓰기를 만만하게 여길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책이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프레임 책 쓰기’는 초보자들도 하루 30분만 글을 쓰면 6개월 만에 한 권의 책을 완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렇게 될 수 있는 근거는 바로 대중서는 대부분 주장, 논거, 예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글을 쓰기 전 미리 프레임을 갖추면 쉽게 한 편을 글을 쓸 수 있고, 이렇게 글이 모이면 책이 되기 때문이다.

저자는 책 쓰기에 필요한 유일한 준비물은 결심뿐이라 했다. 책 쓰기는 실패 리스크가 없는 가장 큰 투자라고 말하며 미루지 말고 오늘 바로 시작하라 격려하고 있다.

마케팅 분야의 바이블 《보랏빛 소가 온다》의 저자 세스 고딘의 말(“나는 첫 책으로 성공한 것이 아니다. 다만 당신은 내가 앞서 실패한 100권의 책을 알지 못할 뿐이다.”)처럼 실패한 100권의 책이 남아도 좋으니 한 번 써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