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는 부모의 등을 보고 자란다
조윤제 지음 / 앤페이지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인문고전 속에서 찾은 부모가 꼭 배워야 할 자녀교육의 지혜이다. 『논어』 『맹자』 『사기』 등 동양 고전 100여 종을 원전으로 읽으면서 문리가 트이는 경험을 하게 된 저자 조윤제는 옛 것을 알아야 새로운 것을 얻는 지혜를 기를 수 있음을 알려온 인문고전 전문가이다. 

저자는 고전에서 얻은 자녀에게 물려줘야 할 지혜와 덕목을 여섯 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바로 본립도생(本立道生), 자승자강(自勝者强), 학고창신(學古創新), 영정치원(寧靜致遠), 서이행지(恕而行之), 선승구전(先勝求戰)이다.

이 여섯 가지 지혜를 통해 우리 자녀들이 미래를 살아가는 진정한 힘과 능력을 얻기를 바란다고 했다.

책에는 역경을 극복하고 큰 성취를 이룬 사람들의 실천 자세도 소개하고 있다. 우리는 이 사례들을 보면서 우리 삶에서 실천 가능한 방법들을 강구해 볼 수 있다.

올바른 자녀교육은 반드시 부모의 삶에서 비롯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자식들은 부모의 일상을 보고 자신이 나아갈 길에 대해 배움을 얻는다. 

자식은 부모의 등을 보고 배운다

따라서 이 책은 부모를 위한 책이다. 부모가 배움을 얻어 자신의 삶으로 보여주는 것이 근본이다. 부모의 정직한 삶, 올바른 삶의 자세, 배려하는 대인관계가 자녀에게는 가장 큰 가르침이 될 것이다.

나는 여섯 가지 덕목 중에서 나를 극복할 수 있을 때 가장 강해질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진 자승자강(自勝者强)이 가장 와닿았다. 날마다 자신을 성찰하고 돌아보는 사람은 강력한 내면의 힘을 가지게 된다는 내용인데, 특히 습관에 관한 내용이 좋았다.

습관은 한 사람의 인생관과 가치관, 자존감 등 모두를 집약한 인격을 나타낸다고 한다. 

내용에 따르면 나쁜 습관은 자연히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대부분 자신을 둘러싼 환경에서 영향을 받아 굳어진 것이므로 자녀의 나쁜 습관을 고치기 위해서는 가족 전체가 힘을 합쳐야 한단다. 따라서 나쁜 습관 고치기를 가족의 공통 과제로 삼고 함께 고쳐 나가야 한다. 우선 부모가 나쁜 습관이 있음을 솔직하게 인정하는 데서부터 출발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어떻게 고쳐 나갈지 계획과 각오를 함께 나누면 된다. 자녀에게 부모 또한 방관자나 비판자가 아니라 나쁜 습관을 함께 고쳐 나가는 동반자라는 생각을 갖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 포인트이다. 부모의 이런 모습을 보고 자녀는 습관의 중요성을 충분히 공감하게 되고, 나쁜 습관을 고치는 데 적극 참여하게 된다고 한다.

아이의 나쁜 습관을 어떻게 하면 고칠 수 있을까 늘 고민이었는데, 시작점부터가 잘못됐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의 나쁜 습관부터 인정하고 고쳐 나가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그래야 아이들도 자연스럽게 자신의 나쁜 습관을 인정하고 고치려 노력하게 될 것이다.

온 가족이 함께하는 ‘여장일도 쾌단근주 프로젝트’는 선의의 경쟁을 하며, 서로 격려하면서 가족을 화목하게 만드는 지름길이라는 점을 명심해야겠다.

고전에서 건진 지혜와 덕목이라고 해서 마냥 고리타분하고 어려운 줄 알았는데, 자녀교육에 초점을 맞춘 내용이라 쉽게 집중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오늘날 어떻게 실천하면 좋을지 풀어서 설명되어 있기 때문에 그다지 어렵지 않았고, 굉장히 유용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