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41 | 142 | 143 | 144 | 14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빨강 머리 앤의 정원 - 빨강 머리 앤이 사랑한 꽃, 나무, 열매 그리고 풀들
박미나(미나뜨) 지음, 김잔디 옮김, 루시 모드 몽고메리 원작 / 지금이책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앤을 떠올리면 매슈와 벚꽃 길 가득한 숲을 지나오면서 이름을 여기저기 붙여주는 모습이 생각난다. 종알 종일 거리는 앤 옆에서 무뚝뚝한 매슈는 듣고만 있다. 앤은 고아원에서 자랐지만 전혀 주눅들지않고 모든 것에 상상력을 발휘하며 맘껏 누리는 소녀였다. 앤과 함께 벚꽃 길을 걷는다면 어떤 느낌일까... 쉴새없이 종알대는 앤을 상대하느라 진이 빠질까..아님 덩달아 나도 명랑해져서 여기 저기 기웃거릴까...아마 후자일것이리라... 즐거움과 명랑은 쉽게 전염되니까 말이다. 그리고 내가 아는 앤은 남의 기분을 잘 맞춰주는 공감능력 백퍼의 여자아이니까 말이다.

이 책은 앤의 성인시절 이야기를 담은 내용까지 총 망라해서 그 시절 앤과 함께 해 온 꽃과 풀, 열매, 나무 들에 관한 일러스트집이다. 앤하면 숲 속 이외의 곳에 있는 앤을 연상하기 힘들다. 그만큼 앤은 숲과 자연에 친숙해져있고 그 속에 박혀있는 존재이다. 학창시절에 앤 전집을 사서 며칠 동안 꼬박 읽었던 기억이 난다. 내용은 그다지 기억나지않지만 앤이 공부를 마치고 다시 고향으로 돌아와 교편을 잡고 길버트를 만나고...하는 장면 장면은 잊혀지질 않는다. 그 속엔 모두 풀, 나무 ,꽃, 열매 들이 존재했다. 자연이 있었다.

이 책을 보면서 다시 앤을 만나고 싶었다. 그 시절 상상력과 호기심으로 가득했던 날들로 돌아가고 싶다. 앤과 함께 웃고, 울고 설렜던 순간들을 떠올린다. 초록색 지붕 아래서 그 지붕보다 훨씬 큰 꿈들을 키우고 우정을 쌓았던 앤....

우리 모두는 앤과 같은 친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앤과 같은 항상 거기 있어주는 자연이 필요하다.

요즘은 자연에서 위로를 얻는다. 피우지 못할 줄 알았는데 열심히 봄 햇살에 올라온 튤립 구근... 민들레, 개나리... 계절을 알리는 전령사들... 아름다움은 순간이고 영원한 것은 없지만, 그 순간과 아름다움을 즐기는 것은 바로 지금 이 순간이다. 앤에게서 지금을 즐기는 법을 배운다.

다시 앤의 벚꽃 길을 떠올린다. 앤이 붙여준 이름이 뭐였지....음.... 기억이 안난다. 다시 책을 펼쳐야겠다.

출판사지원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젠더 모자이크 - 뇌는 남녀로 나눌 수 없다
다프나 조엘.루바 비칸스키 지음, 김혜림 옮김 / 한빛비즈 / 2021년 4월
평점 :
절판


모자이크처럼 다양한 두뇌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물농장 새움 세계문학
조지 오웰 지음, 이정서 옮김 / 새움 / 2021년 4월
평점 :
절판


동물농장을 보면 사람이 보인다. 아이러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리의 도서관 1
자넷 스케슬린 찰스 지음, 우진하 옮김 / 하빌리스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오딜과 릴리의 이야기가 씨실과 날실처럼 교차해서 펼쳐지는 소설이다. 작가는 이 소설을 위해 수많은 자료 조사를 하고 구상, 기획 했다고 한다. 그리고 여기에 등장하는 파리 미국 도서관을 지키기 위한 투쟁이 바로 역사적 사실이라니... 참 소설같은 역사다. 아님 역사같은 소설이라고 해야하나... 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군과 대항한 무기는 총도 화학무기도 아닌 바로 책이었다. 도서관 사서들의 투쟁 의지가 바로 책 속에 담겨있었다.

전쟁통에 믿고 의지할 것은 도서관 직원들에게는 오로지 책이었다. 책의 구절들을 서로 나누면서 서로에게 책을 추천해주는 모습은 인상깊었다. 한 단락, 한 줄 속에 스스로의 모습을 반추해보며 구절들을 곱씹으며 하루를 버틸 용기를 얻는 사람들...

오딜은 릴리를 만나서 서서히 변화한다. 그 변화는 봄이 오는 것처럼 천천히 그리고 자연스럽게 온다. 릴리 역시 마찬가지이다. 릴리는 프랑스어 선생님인 오딜을 떠나고 싶어하지 않는다. 오히려 가족보다 더한 느낌으로 릴리에게 오딜은 크게 다가온다.

이 책은 크게 보면 오딜의 이야기이다. 그 시절 그녀가 어떻게 살아왔고 견뎌왔는지, 그리고 동료들과 어떻게 투쟁했는지에 관한 회고록인 동시에 역사적인 이야기다. 그리고 릴리는 우리와 오딜을 연결해주는 화자인 동시에 어쩌면 바로 우리 자신의 모습으로 그려져있다. 순수한 호기심에서의 소녀로 말이다.

그리고 그 시절, 전쟁통에도 사랑은 있었다. 비찌를 사이에 둔 폴과의 사랑... 아.. 어찌 될지... 두근 두근

자, 이제 2권을 펼쳐야겠다.


출판사 지원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억나지 않아도 유효한
해이수 지음 / 뮤진트리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굳이 기억이 안나도 좋다. 그 약속을 기억하지 못해도 말이다. 그 약속은 유효하다. 네가 기억하지 못해도, 설마 내가 기억하지 못할 지라도... 이 책에는 이런 기억들이 오롯이 적혀있다. 저자 특유의 서늘하지만 따뜻한 문체로 말이다.

내가 해이수라는 이름 석자를 접한 건 (물론 그 이름이 흔한 건 아니어서 잊혀지질 않기도 했지만) 한계레센터 강좌 표지에서다. 서울에서 있을 때 무료한 주말 시간 난 무언가를 해 보려고 이리 저리 기웃 기웃 했던 것같다. 거기서 문학 강좌란에 강사 해이수...소설가 해이수라는 이름을 만났다. 아..그래, 이것 한번 들어봐야지... 그때 바로 수강신청을 했다면 해이수 작가는 내가 아는?사람이 되었을 테지만 난 그러지 못했다.

이왕 배운다면 그리고 소설가 해이수한테 배운다면 최소한 그가 쓴 글들을 읽어야하지 않겠나가 내 지론이었다. 책방에서도 사고, 중고서점에서도 그의 책을 만났다. 젤리피쉬, 캥거루가 있는 사막 등은 그 시절에 읽은 책들이다. 책들을 열심히 읽고서도 난 그의 강좌 대신 다른 강좌를 수강했다. 왜 그랬는지 모르겠지만 문학 강의, 글쓰기 강의가 약간의 부담으로 다가온 것같다.

그 후 그 이름을 볼 기회는 없었는데, 참 우연찮게 그 이름을 만났다. 바로 블랙리스트에서 말이다. 각 종 블랙리스트가 쏟아져나오던 정권 말기에 이창동 영화감독과 함께 해이수 소설가도 있었다. 뉴스 화면으로 언뜻 지나간 수많은 이름 중에 유독 내 눈에 들어온 이름이다.

그러다가 이제 책으로 만났다. 소설도 아닌 에세이로 말이다. 에세이 안에서 온전히 해이수라는 사람을 느낄 수 있었다. 소박하면서 순수하고 어릴 적 누나 책상을 들락날락하면서 책도 읽고 글도 쓰는 그의 모습도 그려지고, 히말라야를 걷는 그의 모습도 상상이 됐다. 그리고 지금 아마 그는 미얀마 사태에 가슴아파하고 있을 것같다. 그 책에서 그 나라에 대한 애정이 느낄 수 있었기에... 다시 그의 소설을 읽어 보고 싶다.


출판사 지원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41 | 142 | 143 | 144 | 14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