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두에게 잘 보일 필요는 없다 - 좋은 사람과 만만한 사람 사이에서 고민하는 당신을 위한 관계 심리학
함광성 지음 / 웨일북 / 2022년 8월
평점 :
사회생활을 하면서 많은 사람과 관계를 맺게 되고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싶어 좋은 사람이 되려고 노력한다. 남의 기분을 살피고, 상대에게 폐를 끼치기 싫어 도움이 요청하지 못할 때 있다. 또 내가 한 말이 남에게 혹시나 상처를 줄지 몰라 말을 할 때도 신경 써서 용어를 선택하기도 한다. 때로는 내 맘이 상하는 일이 있어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그냥 아무 말도 하지 못할 때가 있다. 그래서 이 책의 제목이 내 마음에 와닿았는지 모른다.
이 책은 심리상담전문가인 저자가 타인에 관대한 만큼 나에게도 관대했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이 책을 썼다고 하니 타인보다 나에게 덜 관대한 나 같은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책이다.
좋은 사람과 ‘호구’ 사이에서 고민하는 사람들에서는 관계에서 생기는 불편함의 원인을 자신에게만 돌리는 이유를 설명한다. 마음속에 깊이 자리 잡은 죄책감과 수치심에서 기인하며, 강박적으로 상대를 배려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상대방이 나 때문에 기분이 안 좋은 것을 두려워하고, 관계를 끝내는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남에게 휘둘리기 쉬우며 스스로에 대해 무능하다고 생각하며 만족하지 못하고 미흡한 부분을 자꾸 찾아 채우려고 하기에 쉬는 것도 불편하다고 한다. 1장을 읽으면서 내 이야기를 하는 것 같다.
나는 왜 강박적으로 남을 배려하게 되었을까?에서는 과거의 경험과 감정, 행동들이 서로 연결되어 성격이 되었고, 어릴 적부터 ‘이른 어른’의 요구를 받다 보니 내 욕구보다 타인의 욕구가 더 커지는 훈련을 받기 때문이라고 한다. 자기 돌봄 욕구를 억압한 결과이며, 부모의 양육방식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부모의 숲에서 사회의 숲으로 옮겨지면서 결과로 과정을 증명하는 사회분위기 즉 ‘나서봐야 좋을게 없다는 경험’과 ‘남들과 다르면 틀린게 되는 사회’분위기가 나를 점점 더 강박적으로 배려하게 했을 수 있다고 한다. 점점 더 커가면서 되는 것보다 안되는 것을 더 강요받은 경험을 떠올리게 된다.
죄책감과 수치심에서 벗어나는 7가지 마인드셋에서는 문제와 나를 분리하는 연습, 내 자아를 존중하는 법, 생각을 짧고 적게 하기, 감정의 편식에서 벗어나 내 감정 존중하기, 내가 결과를 완전히 통제할 수 없음을 받아들이기, 가깝게 지내고 싶은 관계라면 폐끼치는 것을 두려워말라는 조언을 한다.
나를 우선순위에 두는 심리 연습에서는 나를 관찰하고 알아차리는 과정을 가지라고 말한다. 감정도 습관이기에 죄책감과 수치심을 알아차리기➔멈추고 평가하기➔상대방에게 할말과 내 마음에게 할 말 구분하기의 과정을 설명한다. 해봤자 안 될 거라는 체념은 학습된 무기력이므로 안된다는 생각을 바꾸어야 하며, 완벽하지 않아도 된다고 스스로에게 자꾸 이야기해야 한다는 점을 설명한다. 단점보다는 장점을 찾아 자존감을 높이려고 노력해야 하며 어렵다면 자존감이 높은 사람인 척 연기하는 것을 권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마음이 편해졌다. 나조차 나를 제대로 살피지 못한 점을 반성하며, 나에게 너무 미안해하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지금도 충분히 잘하고 있어.”
스스로 자주 다독여주어야겠다고 생각했다. 관계를 맺으면서 타인 중심이 아니라 내 중심으로 옮겨도 괜찮다고 생각했다. 내 맘이 불편하지 않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