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느 영국인 아편쟁이의 고백 ㅣ 세계문학의 숲 3
토머스 드 퀸시 지음, 김석희 옮김 / 시공사 / 2010년 8월
평점 :
(솔직하게) 이 책은 (아편쟁이가 아닌) 평범한 사람에게는 별 쓸모가 없는 책이다. 작가인 퀸시가 말하듯 <어느 영국인 아편쟁이의 고백>은 애초 글이 쓰여질 때부터 명백한 목적을 두고 쓰여졌기 때문이다. 아직 상습이 아닌 아편쟁이들에게 충고와 경고하려는 것이 이유다. 그럼에도 퀸시의 글은 누구에게나 매력적이다. 시작부터 어리둥절한 이 리뷰의 다음이 궁금해진다면 조금 더 책 속으로 들어가보자.
영국의 수필가자 비평가인 토머스 드 퀸시는 평생을 아편쟁이로 고통받으며 살았다고 알려져있다. <어느 영국인 아편쟁이의 고백>은 퀸시의 고백록이다. 자신이 어떻게 아편의 늪에 빠지게 되었는지 그 유래를 찾아 과거로 떠난다. 아편이 주는 쾌락과 고통을 가감없이 묘사한다. 지극히 자기 고백적이며 솔직한 글이다. 누구도 거리낄 것 없이 자기 이야기를 펼쳐나간다. 길지 않은 고백담을 통해 독자들은 토머스 드 퀸시란 인물에 대해 왠지모를 친숙함을 느끼게 될 것이다.
한편 이 내밀한 고백은 문학적이며 객관적이다. 정돈없이 되는대로 쓰여진 듯 보이지만 그의 글은 온갖 지식들로 가득차있다. 흔히 아편같은 약물, 약물 사용자를 떠올리면 체계없이 바보가 되버린다고 생각되곤 한다. 그러나 스스로 아편을 옹호하면서 밝혔듯, 이 안정제가 이미 가진 지식의 체계를 흔들진 않았던 모양이다. 에이~라며 여전히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는 당신. 명백한 증거물인 <어느 영국인 아편쟁이의 고백>을 읽어보기를 권한다.
소설은 아니지만 소설보다 재밌는 한 개인에 대한 이야기라고 설명하면 좋을까? 아니다. 그건 정답에 조금 못 미친다. 물론 이 책이 토머스 드 퀸시에 대한 이야기인건 사실이다. 그러나 읽다보면 독자들은 알게 될 것이다. 진정한 주인공은 퀸시가 아니란 사실을. 환상적인 그 것-때론 행복한 환상을, 대부분은 고통의 환상을 선사하는-, 그렇다. 바로 아편. 당신도 형언할 수 없는 아편의 극적인 매력에 빠져들 것이다.
지금 시대, 지금 장소에서 이 글을 접하는 대부분 독자들은 아편을 접할 일이 없을 것이다 (더구나 퀸시 정도의 어마어마한 양에 중독되는 일은). 그렇기에 (다시 말하지만) 실용적으로 이 책은 우리에게 쓸모가 없다. 그러나 대리 환상의 세계를 선사한다는 점에서, 무엇보다 꾸밈없이 아름다운 퀸시의 글을 만날 수 있단 점에서 <어느 영국인 아편쟁이의 고백>의 가치는 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