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 - 영원히 철들지 않는 남자들의 문화심리학
김정운 지음 / 쌤앤파커스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에도 있는지 모르겠다. 여고나 여대 앞에서 출몰하는, 여학생이 지나가면 입고 있던 바바리코트를 짠하고 펼치며 자신의 은밀한 곳을 보여주는 남정네들, 일명 바바리맨 말이다. 그런데 이 바바리맨이 우리가 매일같이 이용하는 사이버상에 나타났다면? 그리고 그 사람이 바로 당신이라면! 바바리맨은 자신의 사적인 부분을 타인에게 보여주며 그 반응을 즐기는 사람들이다. 싸이월드, 블로그에 자신의 내면까지 드러내며 타인과의 공감을 원하는 현대인들은, 그런 의미에서 인터넷판 바바리맨은 아닐까? (라고 저자는 말한다.)

 

인터넷상에서 스스럼없이 자신을 공개하고 타인의 생활 뿐 아니라 마음까지 훔쳐보고, 보여주는 일은 현대 사회의 새로운 재밋거리다. 사이버 공간을 통해 별 것 아닌 '내 이야기'가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흥! 그까짓 별거아닌 일상 중얼거리는 게 어쨋다고!' 라고 생각한다면 당신은 재미없는 사람이다. 문화심리학자 김정운은 바로 '내 이야기'들이 세상에 충만할 때 비로소 세상은 재밌어지고, 건강해진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자기 이야기를 하기 시작한다. 그 솔직한 이야기들이 생각보다 졸깃하니 재밌다. 재미를 챙기다보니 그 속에 숨겨진 문화심리학이 절로 따라오는 책, <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샘앤파커스.2009).

 

저자인 김정운은 주구장창 '재미'를 강조한다. 재미있는 삶이 건강한 삶이고, 재미를 추구해야만 우리는 행복해질 수 있다고. 그러니 잘 놀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니, 다들 바쁘게 일하느라 정신없는 세상에서 좀 배웠다 싶은 사람이 한다는 말이 놀으라고? 미치고 환장하겠다. 그런데 이 사람 얘기 들다보니, 틀린 말 하나 없다.

 

그가 말하는 재미있고 행복하고 건강하게 사는 법은 사실 별거없다. 곱씹어보면 사실 우리가 이미 다 알고 있는 이야기다. 행복하고 싶으면 구체적으로 자기만의 행복을 정의하고, 자신이 즐거움을 느끼는 일을 리추얼화(의식화)한다. 인생사 어쩌피 하던 안하던 후회하는 법, 그렇다면 조금이나마 덜 후회하고 빨리 일상으로 복귀하기 위해 일단 저지르고 보라고 충고한다. -하지 말걸의 후회가 -했어야 하는데 후회보다 짧다나? 한편 우울해지기 시작한 사람에게는 무조건 움직이는 게 약이라고 말한다. 집 밖에 나가 건물 상호만 봐도 집에 처박혀 있는 것보다 효과적이라니 만성적으로 우울과 친구 먹은 내가 필히 기억해야 할 문구다.

 

그러나 무엇보다 '재미'있는 삶을 위한 첫 번째 처방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것이다. 누구도 알려주지 않는 재미의 비밀은 모두 자신 안에 숨어 있다. 그걸 찾아서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기만 하면 모든 일은 일사천리로 해결된다. 나의 존재는 타인의 인정, 사회적 지위 없이도 꿋꿋하게 나를 지탱해주고, 근면성실은 절로 따라온다. 나를 내가 컨트롤 한다고 느낄 때 삶은 그저 살아가는 데서 '재미'있게 사는 일로 변신한다. 생각만 해도 즐거운 일이다!

 

여기까지 읽고 뭐가 그렇게 복잡해? 라며 머리 긁적이는 분이 있다면, 좋다. 저자가 말하는 초특급 시크릿을 알려주겠다. 바로... 감탄하기. 사소한 일이라도 좋다. 하루에 몇 번이고 감탄하라. 나 자신에게도 타인에게도 아낌없이. 그리고 감탄받아라. 엄청난 일을 잘해서가 아니라 당신이란 존재에 대해. 별 것 아닌 일들에 대해. 처음엔 쑥쓰러울지도 모른다. 우리 민족은 어느새 얼씨구, 지화자같은 멋진 감탄사들을 잃어버렸으니까. 하지만 감탄도 습관이다. 여기에 익숙해질 무렵 우리는 지금보다 훨씬 너그럽고 인간답게 살아가는 자신의 모습을 보며 놀라게 될지도. 와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